Phänomenologie des Geistes
Hegel Gesammelte Werke9(Felix Meiner, 1980)
Einleitung
*여기에 올리는 번역은 저의 원전 해석을 바탕으로 일어역본(樫山欽四郞, 2009)과 한글역본(임석진, 1995)을 참조해 올린 것입니다. 한글 번역문으로 이해하기에는 임석진의 2005년 개역본이 아무래도 신뢰할 만하다고 봅니다. 저의 번역문은 어디까지나 개인적 학습의 도구일 뿐이며, 이 번역의 신뢰도는 원문과 번역문의 대조를 통해 판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간에 가다가 혹시 멈출지라도, 일단 대장정의 첫발을 놓습니다.
Es ist eine nätürlich Vorstellung, daß eh in der Philosophie an die Sache selbst, nemlich an das wirkliche Erkennen dessen, was in Wahrheit ist, gegangen wird, es nothwendig sey, vorher über das Erkennen sich zu verständigen, das als das Werkzeug, wodurch man des Absoluten sich bemächtige, oder das Mittel, durch welches hindurch man es erblicke, betrachet wird.
철학에서 문제로 삼는 것, 즉 참으로 존재하는 것에 관한 실재적 인식에 착수하기 전에, 절대자를 자기 것으로 하는 도구 혹은 절대자를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수단에 관한 인식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연히 생각되고 있다.
Die Besorgniß scheint gerecht, theils daß es verschiedene Arten der Erkenntniß geben, und darunter eine geschickter als eine andere zur Erreichung dieses Endzwecks seyn möchte, hiemit durch falsche Wahl unter ihnen,-theils auch daß, indem das Erkennen ein Vermögen von bestimmter Art und Umfange ist, ohne die genauere Bestimmung seiner Natur und Gräntze, Wolken des Irrthums statt des Himmels der Wahrheit erfaßt werden.
한편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인식이 있고, 그 최종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그 다양한 인식 중 어떤 하나가 다른 것보다도 적당하지 않을까, 그래서 거기엔 잘못된 선택이 있지 않을까 하는 불안[과], 또 한편으로는 인식이 일정한 종류와 범위를 갖춘 능력인데, 인식의 본성과 범위를 정확히 규정하지 않음으로써 진리의 천상 대신에 오류의 먹구름이 드러나지 않을까 하는 불안이 정당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