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현상학 강독 :

헤겔 Hegel 2025. 4. 7. 17:44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텍스트 : G.W.F. Hegel, Phänomenologie des Geistes, 아카데믹판 h.v. G.J.P.J. Bolland(Leiden A.H. Adriani, 1907)

A.Bewusstsein
III.Kraft und Verstand, Erscheinung und uebersinnliche Welt  S.104-

Hier sind diese beiden Seiten Momente der Kraft ; sie sind ebensowohl in einer Einheit, als diese Einheit, welche gegen die für sich seienden Extreme als die Mitte erscheint, sich immer in eben diese Extreme zersetzt, die erst dadurch sind. Die Bewegung, welche sich vorhin als das Sichselbstvernichten wiedersprechender Begriffe darstellte, hat also hier die ‚gegenständliche‘ Form und ist Bewegung der Kraft, als deren Resultat das Unbedingtallgemeine als ‚Ungegenständliches‘ oder als ‚Inneres‘ der Ding hervorgeht.
여기서 이 두 측면은 힘의 계기들이다. 그들은 하나의 통일 속에 있는 동시에, 이 통일 자체는 각각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려는 극단들에 대하여 하나의 중간처럼 드러난다. 그러나 이 중간은 끊임없이 바로 이 극단들로 분열되며, 바로 그 분열을 통해서만 그 극단들은 존재하게 된다. 앞서 모순된 개념들이 스스로를 소멸시키는 운동으로 나타났던 그 운동은, 이제 여기서 대상적인 형식을 취하게 되었고 힘의 운동으로 나타난다[힘의 운동이라는 객관적 형식으로 전환된 것. 즉 같은 구조지만 더 구체화된 현실적인 형태로 나타난 것]. 그리고 이 운동의 결과로서 무조건적 보편자는 더 이상 대상적인 것이 아니라 비대상적인 것 또는 사물의 내면으로 드러난다[이 보편자는 이제 더 이상 감각적으로 주어지는 대상이 아니라 사물의 ‘내면(Inneres)’, 즉 본질, 힘의 배후에 있는 원리로 등장한 것. 이것은 대상이 아니라 의식 속에서 개념으로 파악되는 원리, 철학적으로 말하면 이성의 대상임].

상동

반응형

파국을 막으려면

주장 Behauptung 2025. 3. 29. 00:56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헌재를 기다릴 시간과 이유가 상실되고 있다. 빨리 선고하라고 재촉받아도 묵묵부답인 것은 현재 5대3일 가능성이 높다. 이런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결단하는 정치집단이 나와야 한다. 국무위원 전체와 아울러 헌재 재판권 전원 탄핵하고 개헌 내지 입법을 통해 비상내각을 설치해야 한다. 조기대선이 문제가 아니라 윤석열이 돌아오는 것이 문제다.

https://youtu.be/gKKK_SgtaKo?si=RBvQVjbKfbkPShIo

반응형

독일 기본법 특이 조항2

책들 Bücher 2025. 3. 26. 01:54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III.연방의회

38조(선거) 1항 2문 Sie[Die Abgeordneten des Deutschen Bundestages] sind Vertreter des ganzen Volkes, an Aufträge und Weisungen nicht gebunden und nur ihrem Gewissen unterworfen.
의원은 전 국민의 대표자이며 위임과 명령에 구속되지 않고, 오직 그의 양심에 따른다.

39조(집회와 임기) 1항 1문 Der Bundestag wird vorbehaltlich der nachfolgenden Bestimmungen auf vier Jahre gewählt. 2문 Seine Wahlperiode endet mit dem Zusammentritt eines neuen Bundestages. 4문 Im Falle einer Auflösung des Bundestages findet die Neuwahl innerhalb von sechzig Tagen statt.
연방의회 의원은 다음의 규정을 제외하고는 4년의 임기로 선출된다. 임기는 차기 연방의회의 집회로 종료된다. 연방의회가 해산된 경우에는 차기 선거는 60일 이내에 실시한다.
2항 Der Bundestag tritt spätestens am dreißigsten Tage nach der Wahl zusammen.
연방의회는 늦어도 선거 후 30일에 집회한다.
3항 1문 Der Bundestage bestimmt den Schluss und den Wiederbeginn seiner Sitzungen. 2문 Der Präsident des Bundestages kann ihn früher einberufen. 3문 Er ist hierzu verpflichtet, wenn ein Drittel der Mitglieder, der Bundespräsident oder der Bundeskanzler es verlangen.
연방의회는 회의의 폐회와 재개를 결정한다. 연방의회 의장은 그전에 연방의회를 소집할 수 있다. 의장은 의원의 3분의 1, 연방대통령 또는 연방수상이 요구할 때에는 연방의회를 소집하여야 한다.

40조(의장과 의사규칙) 2항 1문 Der Präsident übt das Hausrecht und die Polizeigewalt im Gebäude des Bundestages aus. 2문 Ohne seine Genehmigung darf in den Räumen des Bundestages keine Durchsuchung oder Beschlagnahme stattfinden.
의장은 연방의회 건물 내에서 가택권과 경찰권을 행사한다. 연방의회 공간에서 의장의 승인이 없으면 수색이나 압수는 허용되지 않는다.

41조(선출심사) 1항 1문 Die Wahlprüfung ist Sache des Bundestages. 2문 Er entscheidet auch, ob ein Abgeordneter des Bundestages die Mitgliedschaft verloren hat.
선거심사는 연방의회의 소관이다. 또한 연방의회는 연방의회 의원의 자격상실을 결정한다.
2항 Gegen die Entscheidung des Bundestages ist die Beschwerde an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zulässig.
연방의회의 결정에 대하여 연방헌법재판소에 제소할 수 있다.

42조(집회의 공개성과 다수결의 원칙) 1항 1문 Der Bundestag verhandelt öffentlich. 2문 Auf Antrag eines Zehntels seiner Mitglieder oder auf Antrag der Bundesregierung kann mit Zweidrittelmehrheit ausgeschlossen werden. 3문 Über den Antrag wird in nichtöffentlicher Sitzung entschieden.
연방의회의 의사는 공개된다. 연방의회 의원 10분의 1 또는 연방정부의 신청에 의하여 3분의 2의 다수의 동의로 비공개로 할 수 있다. 이 신청은 비공개회의에서 결정된다.
2항 1문 Zu einem Beschlusse des Bundestages ist die Mehrheit der abgegebenen Stimmen erforderlich, soweit dieses Grundgesetz nichts anderes bestimmt. 2문 Für die vom Bundestage vorzunehmenden Wahlen kann die Geschäftsordnung Ausnahmen zulassen.
연방의회 의결은 기본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투표수의 과반수에 의한다. 연방의회가 실시하는 선거에 대하여는 의사규칙이 예외를 허용할 수 있다.

44조(조사위원회) 2항 1문 Auf Beweiserhebungen finden die Vorschriften über den Strafprozess sinngemäß Anwendung. 2문 Das Brief-, Post- und Fernmeldegeheimnis bleibt unberührt.
증거조사에는 형사소송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서신, 우편, 통신의 비밀은 침해되지 않는다.

IV.연방참사원

50조(과제) Durch den Bundesrat wirken die Länder bei der Gesetzgebung und Verwaltung des Bundes und in Angelegenheiten der Europäischen Union mit.
주는 연방참사원을 통하여 연방의 입법과 행정 및 유럽연합의 사무에 참여한다.

51조(구성) 1항 1문 Der Bundesrat besteht aus Mitgliedern der Regierungen der Länder, die sie bestellen und abberufen.
연방참사원은 주정부가 임면하는 주정부의 구성원으로 구성된다.
2항 Jedes Land hat mindestens drei Stimmen, Länder mit mehr als zwei Millionen Einwohnern haben vier, Länder mit mehr als sechs Millionen Einwohnern fünf, Länder mit mehr als sieben Millionen Einwohnern sechs Stimmen.
각 주는 적어도 3개의 투표권을 가진다. 인구 200만을 초과하는 주는 4개의 투표권을, 안구 600만 초과 하는 주는 5개의 투표권을, 인구 700만을 초과하는 주는 6개의 투표권을 가진다.

52조 1항 Der Bundesrat wählt seinen Präsidenten auf ein Jahr.
연방참사원은 임기 1년인 의장을 선출한다.

V.연방대통령

54조(연방회의를 통한 선출) 1항 1문 Der Bundespräsident wird ohne Aussprache von der Bundesversammlung gewählt.
연방대통령은 연방회의에서 토론을 거치지 않고 선출한다.
2항 1문 Das Amt des Bundespräsident dauert fünf Jahre. 2문 Anschließende Wiederwahl ist nur einmal zulässig.
연방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다. 연임은 1회에 한한다.
3항 Die Bundesversammlung besteht aus den Mitgliedern des Bundestages und einer gleichen Anzahl von Mitgliedern, die von den Volksvertretungen der Länder nach den Grundsätzen der Verhältniswahl gewählt werden.
연방회의는 연방의회 의원과 비례대표의 원칙에 따라 주의회가 선거한 동수의 구성원으로 구성된다.
4항 1문 Die  Bundesversammlung tritt spätestens dreißig Tage vor Ablauf der Amtszeit des Bundespräsidenten, bei vorzeitiger Beendigung spätestens dreißig Tage nach diesem Zeitpunkt zusammen. 2문 Sie wird von dem Präsidenten des Bundestages einberufen.
연방회의는 늦어도 연방대통령의 임기 만료 30일 이전에, 그리고 조기에 임기가 종료된 경우에는 늦어도 그 때부터 30일 이내에 집회한다. 연방회의는 연방의회의 의장이 소집한다.
6항 1문 Gewählt ist, wer die Stimmen der Mehrheit der Mitglieder der Bundesversammlung erhält. 2문 Wird diese Mehrheit in zwei Wahlgängen von keinem Bewerber erreicht, so ist gewählt, wer in einem weiteren Wahlgang die meisten Stimmen auf sich vereinigt.
연방회의 구성원의 과반수의 투표를 얻은 자는 연방대통령으로 선출된다. 제2 선거절차에서도 과반수의 투표를 얻은 후보자가 없을 때에는, 계속되는 투표에서 최다득표를 한 자가 선출된다.

55조 1항 Der Bundespräsident darf weder der Regierung noch einer gesetzgebenen Körperschaft des Bundes oder eines Landes angehören.
연방대통령은 연방정부 및 주정부, 그리고 입법부에도 직을 겸할 수 없다.

57조(대행) Die Befugnisse des Bundespräsidenten werden im Falle seiner Verhinderung oder bei vorzeitiger Erledigung des Amtes durch den Präsidenten des Bundes Rates wahrgenommen.
연방대통령의 권한은 연방대통령이 권한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와 궐위된 경우 연방참사원 의장이 행사한다.

58조(부서) 1문 Anordnungen und Verfügungen des Bundespräsidenten bedürfen zu ihrer Gültigkeit der Gegenzeichnung durch den Bundeskanzler oder durch den zuständigen Bundesminister. 2문 Dies gilt nicht für die Ernennung und Entlassung des Bundeskanzler, die Auflösung des Bundestages gemäß Artikel 63 und das Ersuchen gemäß Artikel 69 Abs. 3.
연방대통령의 명령 및 처분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연방수상 또는 관할 연방의 부서가 필요하다. 이 규정은 연방수상의 임면, 제63조에 따른 연방의회의 해산, 제69조 제 3항에 따른 요청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59조(국제법적 대표권) 1항 2문 Er schließt im Namen des Bundes die Verträge mit auswärtigen Staaten.
대통령은 연방의 이름으로 외국과 조약을 체결한다.
2항 1문 Verträge, welche die politischen Beziehungen des Bundes regeln oder sich auf Gegenstände der Bundesgesetzgebung beziehen, bedürfen der Zustimmung oder der Mitwirkung der jeweils für die Bundesgesetzgebung zuständigen Körperschaften in der Form eines Bundesgesetzes.
연방의 정치적 관계를 규정하거나 연방 입법 사항과 관계있는 조약은 연방 법률의 형식으로 연방입법을 담당하는 기관의 동의 또는 참여를 요한다.





반응형
반응형

텍스트 : G.W.F. Hegel, Phänomenologie des Geistes, 아카데믹판 h.v. G.J.P.J. Bolland(Leiden A.H. Adriani, 1907)

A.Bewusstsein
III.Kraft und Verstand, Erscheinung und uebersinnliche Welt  S.99-

Dem Bewusstsein ist in der Dialektik der sinnlichen Gewissheit das Hören und Sehen u. s. w. vergangenen und als Wahrnehmen ist es zu Gedanken gekommen, welche es aber erst im unbedingt Allgemeinen zusammenbringt. Dieses Unbedingte wäre nun selbst wieder nichts anderes als das auf eine Seite tretende ‚Extrem‘ des ‚Fürsichseins‘, wenn es als ruhiges einfaches Wesen genommen würde, denn so träte ihm das Unwesen gegenüber;
감각적 확실성의 변증법에서 듣기와 보기 등등은 의식에게서 사라지고 지각으로서 의식은 개념에 도달하지만 의식은 무제약적 보편 속에서 비로서 이것들을 하나로 모은다. 이 무제약자가 고요하고 단순한 본질로 간주될 경우, 그것은 이제 다시금 ‘자립적 존재’라는 한쪽 극단으로 나타나는 것에 불과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되면 그것의 반대편에 비본질이 맞서게 되기 때문이다.

상동 99

aber auf dieses bezogen wäre es selbst unwesentlich und das Bewusstsein nicht aus der Täuschung des Wahrnehmens herausgekommen, allein es hat sich als ein solches ergeben, welches aus einem solchen bedingten Fürsichsein in sich zurückgegangen ist. Dieses unbedingte Allgemeine, das nunmehr der wahre Gegenstand des Bewusstsein ist, ist noch als ‚Gegenstand‘ desselben; es hat seinen ‚Begriff‘ noch nicht als ‚Begriff‘ erfasst. Beides ist ㅣwesentlich zu unterscheiden; dem Bewusstsein ist der Gegenstand aus dem Verhältnisse zu einem Anderen in sich zurückgegangen und hiermit ‚an sich‘ Begriff geworden, aber das Bewusstsein ist noch nicht für sich selbst der Begriff und deswegen erkennt es in jenem reflektierten Gegenstande nicht sich.
그러나 그것(Unbedingte)이 이에 관계되는 한, 그것 자체도 비본질적인 것이며, 의식은 지각의 착각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의식에게는 바로 그러한 제약적인 자립적 존재로부터 스스로 안으로 되돌아기는 것[반성작용]이 일어난다. 이제 의식의 참된 대상이 된 이 무제약적 보편은 여전히 의식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즉, 그것은 아직 자기 자신의 ‘개념’을 ‘개념’으로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 둘은 본질적으로 구별되어야 한다[대상으로서의 개념과 개념으로서의 개념의 구별. 후자는 의식이 개념을 자기 자신의 사고 과정으로 파악하는 상태]. 의식에게 대상은 다른 것과의 관계 속에서 벗어나 스스로 안으로 되돌아갔으며, 이로써 대상은 ‘자체로서’ 개념이 되었다. 그러나 의식은 아직 자기 자신에게 개념이 되지 못했기 때문에, 그 반성된 대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지 못한다[즉, 대상은 개념적으로 구성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의식은 그것을 자기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태에 머물러 있음].

상동 99-100

‚Für uns‘ ist dieser Gegenstand durch durch die Bewegung des Bewusstseins so geworden, dass dieses in das Werden desselben verflochten und die Reflexion auf beiden Seiten dieselbe, oder nur Eine ist ; weil aber das Bewusstsein in dieser Bewegung nur das gegenständliche Wesen, nicht das Bewusstsein als solches zu seinem Inhalte hatte, so ist für es das Resultat in gegenständlicher Bedeutung zu setzen und das Bewusstsein noch von dem Gewordenen zurücktretend, so dass ihm dasselbe als Gegenständliches das Wesen ist.
‘우리에게’ 이 대상은 의식의 운동을 통해 이렇게 형성되었으며, 의식이 그 대상의 생성 과정에 얽혀 있고, 양측의 반성이 동일하거나 단지 하나일 뿐이다[변증법적 과정에서 의식이 대상을 반성(reflektieren)하는 것과 대상이 의식 속에서 반성되는 것이 결국 동일한 과정.
즉, 의식과 대상의 반성 작용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동일한 과정이 된다는 것. 결국, 대상은 단순히 외부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이 그것을 인식하는 방식 속에서 형성]. 그러나 의식이 이 운동 속에서 의식 그 자체가 아니라, 단지 대상적 본질만을 그 내용으로 삼았기 때문에, 의식에게 있어 그 결과는 여전히 대상적인 의미로 정립된다. 따라서 의식은 아직 그 형성된 결과(Gewordene)로부터 물러나 있으며, 그 결과가 여전히 의식에게는 외부의 대상적 본질로 남아 있다[의식은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대상을 형성하지만, 아직 자신을 대상 속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것. 즉, 의식이 대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단계로 나아가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헤겔의 변증법에서 자기 인식(self-consciousness)의 형성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의식이 더 이상 대상을 외부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대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단계로 넘어가야 함].

상동 100

Der Verstand hat damit zwar seine eigene Unwahrheit und die Unwahrheit des Gegenstandes aufgehoben und was ihm dadurch geworden, ist der Begriff des Wahren als ‚an sich‘ seiendes Wahres, das noch nicht Begriff ist, oder das des ‚Fürsichseins‘ des Bewusstseins entbehrt und das der Verstand, ohne sich darin zu wissen, gewähren lässt ; dieses treibt sein Wesen für sich selbst, so dass das Bewusstsein keinen Anteil an seiner freien Realisierung hat, sondern ihr nur zusieht und sie rein auffasst. ‘Wir’ haben hiermit noch für erste an seine Stelle zu treten und der Begriff zu sein, welcher das ausbildet, was in dem Resultate enthalten ist ; an diesem ausgebildeten Gegenstände, der dem Bewusstsein als ein Seiendes sich darbietet, wird es sich erst zum begreifenden Bewusstsein.
이로써 오성이 자기 자신의 비진리와 대상의 비진리를  폐기한 결과로 오성에게 주어진 것은, ‘자체로서(an sich)’ 존재하는 참된 것의 개념이지만, 그것은 아직 개념이 아니거나, 의식의 자립적 존재(Fürsichsein)를 결여한 상태이다. 그리고 오성은 그 안에서 자기 자신을 알지 못한 채, 그것을 그대로 내버려 둔다[오성은 대상의 모순을 폐기하고, 대상이 단순한 감각적 실체가 아니라, ‘자체로서 참된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지만 그것을 진정한 개념으로 정립하지는 못하고, 단순히 ‘자체로 존재하는 진리’로만 받아들임. 즉 오성은 대상을 분석하고 개념화하지만, 그것이 의식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즉, 자립적 존재로서 의식의 역할)는 성찰하지 않음으로써 오성은 이러한 상태를 변증법적으로 발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는 태도를 취함]. 이것(dieses)은 자기 본질을 스스로 전개해 나가며, 의식은 그 자유로운 실현 과정에 아무런 참여도 하지 않고, 단지 그것을 지켜보며 순수하게 받아들일 뿐이다[여기서 dieses는 앞 문맥에서 언급된 **대상(혹은 개념적 진리)**을 가리킴. 대상은 자기 본질을 스스로 전개하며 발전해 나가지만, 이 과정에서 의식이 능동적으로 개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즉 의식은 단순히 대상이 전개되는 모습을 ‘관찰자’의 입장에서 바라볼 뿐, 그것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지 못하고 단순히 그것을 ‘순수하게 받아들일’ (auffassen)뿐인, 달리 말해 의식이 단순히 대상을 외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 즉 의식이 아직 대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지 못한 단계]. ‘우리’는 비로서 그 자리에 나아가, 결과 속에 포함된 것을 전개하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개된 대상, 즉 의식에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그 대상 속에서, 의식은 이제야  개념적으로 파악하는 의식이 된다[우리(즉, 철학적 사유)는 단순히 대상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개념을 전개해야 함. 대상은 단순한 외부적 존재가 아니라, 그 속에 포함된 본질을 개념적으로 분석하고 변증법적으로 발전시켜야할 존재임].

상동

Das Resultat war das Unbedingtallgemeine, zunächst in dem negativen und abstracten Sinne, dass das Bewusstsein seine einseitigen Begriffe negierte und sie abstrahiert, nämlich sie aufgab ; das Resultat hat aber an sich die positive Bedeutung, dass darin die Einheit ‚des Fürsichseins‘ und ‚des Füreinanderesseins‘ oder der absolute Gegensatz unmittelbar als dasselbe Wesen gesetzt ist. Es scheint zunächst nur die Form der Momente zu einander zu betreffen, aber das Fürsichsein und das Füranderesseins ist ebensowohl der ‚Inhalt‘ selbst, weil der Gegensatz in seiner Wahrheit keine andere Natur haben kann als die sich im Resultate ergeben hat, dass nämlich der in der Wahrnehmung für wahr gehaltene Inhalt in der Tat nur der Form angehört und in ihre Einheit sich auflöst. Dieser Inhalt ist zugleich allgemein ; es kann keinen anderen Inhalt geben, der durch seine besondere Beschaffenheit sich dem entzöge, in diese unbedingte Allgemeinheit zurückzugehen. Ein solcher Inhalt wäre irgend eine bestimmte Weise für sich zu sein und zu Anderem sich zu verhalten ;
그 결과는 절대적 보편으로서, 처음에는 부정적이고 추상적인 의미에서, 즉 의식이 자기 자신의 일면적인 개념들을 부정하고, 그것들을 추상화하여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결과는 그 자체로 긍정적인 의미를 내포하는데, 그 안에서 ‘자립적 존재'와 ‘서로를 위한 존재'의 통일, 즉 절대적 대립이 곧 동일한 본질로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이 과정이 단지 여러 계기들의 형식에만 관련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자립적 존재(Fürsichsein)와 서로를 위한 존재(Füreinandersein)는 단순한 형식적 관계가 아니라 내용 그 자체이기도 하다[즉, 이 두 개념이 단순히 개념적 구별이 아니라, 대상의 본질적 성격을 형성하는 요소]. 왜냐하면, 대립이 참된 의미에서 그 결과 속에서 드러난 본성과 다를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지각 속에서 참된 것으로 여겨졌던 내용은 실제로는 단지 형식에 속하는 것이었으며, 결국 그것은 형식의 통일 속에서 해소된다. 이 내용은 동시에 보편적이다. 특정한 성질을 가짐으로써 이 절대적 보편성으로 돌아가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다른 내용은 있을 수 없다[어떤 특정한 내용도 단지 개별적인 것으로만 머물지 않고, 결국 보편성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 만약 그런 내용이 있다면, 그것은 곧 어떤 특정한 방식으로 스스로 존재하며 다른 것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가지는 것일 것이다[만약 그런 내용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단순한 개별성이 아니라 다른 것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개념이지만, 이러한 개별적인 존재 역시 궁극적으로는 보편적 개념 속에서 이해될 수밖에 없다는 것].

상동 101

Weil aber dieses Unbedingtallgemeine Gegenstand für das Bewusstsein ist, so tritt an ihm der Unterschied der Form und des Inhalts hervor und in der ㅣGestalt des Inhalts haben die Momente das Aussehen, in welchem sie sich zuerst darboten, einerseits allgemeines Medium vieler bestehender Materien und andererseits in sich reflectiertes Eins, worin ihre Selbstständigkeit vertilgt ist, zu sein. Jene ist die Auflösung der Selbstständigkeit des Dinges oder die Passivität, die ein Sein für ein Anderes ist, dieses aber das ‚Fürsichsein‘ ; es ist zu sehen, wie diese Momente in der unbedingten Allgemeinheit, die ihr Wesen ist, sich darstellen.
그러나 이 절대적 보편이 의식에게 대상이 되는 순간, 그 안에서 형식과 내용의 구별이 드러나고 내용의 형태속에서, 이 여러 계기들은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한편으로 그것들은 많은 독립적인 물질들이 존재하는 보편적 매개체로 나타나고, 다른 한편으로 그것들은 자기 자신 속으로 반성된 '하나(Eins)’로서, 그 속에서 개별적 독립성이 소멸된 것으로 나타난다. 전자는 사물의 독립성이 해소되는 것, 즉 타자를 위한 존재로서의 수동성이며, 후자는 자립적 존재다. 이제 이러한 계기들이, 그 본질인 절대적 보편성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상동 101-102

Es erhellt zunächst, dass sie dadurch, dass sie nur in dieser sind, überhaupt nicht mehr auseinanderliegen, sondern wesentlich an ihnen selbst sich aufhebende Seiten sind und nur das Übergehen derselben in einander gesetzt ist. Das eine Moment erscheint also als das auf die Seite getretene Wesen, als allgemeines Medium oder als das Bestehen selbstständiger Materien ; die ‚Selbstständigkeit‘ dieser Materien aber ist nichts anderes als dieses Medium, oder dieses ‚Allgemeine‘ ist durchaus die ‚Vielheit‘ solcher verschiedenen Allgemeinen. Das Allgemeine ist an ihm selbst in ungetrennter Einheit mit dieser Vielheit heißt aber, diese Materien sind jede wo die andere ist ; sie durchdringen sich gegenseitig, -ohne sich zu berühren, weil umgekehrt das viele Unterschiedene eben so selbstständig ist.
우선 분명한 것은, 그것들[계기들 혹은 즉자존재와 타자존재]이 이 보편성(unbedingte Allgemeinheit)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사실 때문에, 그것들이 더 이상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자기 자신 속에서 스스로를 지양하는 측면들이고 따라서, 그 계기들이 서로로 이행(Übergehen)하는 것만이 설정되어 있다[서로 대립되는 개념들이 단순히 공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로 전환되는 과정 자체가 본질. 즉 자립적 존재는 단순히 고립된 상태가 아니라, 타자를 위한 존재로 전환되며, 반대로 타자를 위한 존재도 다시 자립적 존재로 돌아가는 과정 속에서만 의미를 가짐]. 그 한 계기는 곧 본질이 한쪽으로 나타난 것, 즉 보편적 매개체 또는 독립적인 물질들의 존속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의 독립성은 사실상 이 매개체 자체와 다르지 않으며, 이 보편성은 철저하게 그러한 다양한 보편성들의 다수성일 뿐이다[우리는 사물들을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개별적인 것들처럼 보지만, 사실 그것들은 하나의 보편적 매개체 속에서 존재. 예를 들어, 개별적인 물방울들이 모여 하나의 바다가 되는 것처럼, 개별적인 사물들은 결국 더 큰 보편적 구조 속에서 이해되어야 함. 즉 개별적인 것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들은 결국 보편적 구조 속에서 존재하며, 이 보편성이 없이는 개별성도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 다시 말해, 개별적인 것들은 고립된 실체가 아니라, 보편적 매개체 속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개별성과 보편성은 분리될 수 없는 관계에 있다는 것]. 보편성은그 자체로 이 다수성과 분리되지 않은 통일 속에 있다. 즉 이 개별적인 물질들은 각각 다른 것들이 존재하는 바로 그곳에 있다. 그것들은 서로를 관통하지만 직접적으로 접촉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반대로 각각의 다수적인 차이는 역시 여전히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상동 102

Damit ist zugleich auch ihre reine ‚Porosität‘ oder ihr Aufgehobensein gesetzt ; dieses Aufgehobensein wieder, oder die Reduction dieser Verschiedenheit zum ‚reinen Fürsichsein‘ ist nichts anderes als das Medium selbst und dies die ‚Selbstständigkeit‘ der Untetschiede. Oder die selbstständig gesetzten gehen unmittelbar in ihre Einheit und ihre Einheit unmittelbar ㅣ in die Entfaltung über, und diese wieder zurück in die Reduction. Diese Bewegung ist aber dasjenige was ‚Kraft‘ genannt wird :
이로써 동시에 이 개별적인 것들의 ‘순수한 투과성’ 즉 그것들의 폐기됨이 설정된다[개별적인 것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 같지만, 사실상 보편성 속에서 상호 침투하며 경계가 흐려지는 상태를 말함.
Porosität (투과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것들이 단단한 실체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서로 스며들면서도 보편성 속에서 존재함을 강조. 하지만 이와 동시에 개별적인 것들은 Aufgehobensein, 즉 변증법적 폐기(지양, Aufheben) 상태에 있음. 개별성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보편성 속에서 해소되면서도 새로운 방식으로 유지]. 그러나 이 폐기됨이란 것은, 다시 말해 이러한 차이들이 ‘순수한 자립적 존재'로 환원됨은 다름 아닌 그 매개체 자체이며, 또한 그것이곧 차이들의 독립성이다[즉, 개별적인 것들은 고립된 실체가 아니라, 보편적 매개체 속에서만 의미를 가지며, 개별성이 보편성을 통해 정의됨을 의미. 또한 이러한 개별성들의 독립성 자체도 결국 보편성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 즉 독립적으로 설정된 것들은 즉각적으로 그 통일 속으로 들어가며, 그 통일은 다시 전개로 넘어가고, 그리고 다시 환원으로 돌아간다[이는 개별성과 보편성이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서로를 매개하며 순환하는 과정을 나타냄]. 이러한 운동이 바로 ‘힘'이라 불리는 것이다[힘이란 단순히 어떤 물리적인 에너지가 아니라, 개별성과 보편성이 서로를 매개하며 끊임없이 운동하는 과정 자체를 의미].

상동 102-103

das eine Moment derselben, nämlich sie als Ausbreitung der selbstständigen Materien in ihrem Sein, ist ihre ‚Äußerung‘, sie aber als das Verschwundensein derselben ist die in sich aus ihrer Äußerung zurückgedrängt e‘, oder ‚‘die eigentliche Kraft‘. Aber erstens die in sich zurückgedrängte Kraft ‚muss‘ sich äussern und zweitens in der Äußerung ist sie ebenso ‚in sich‘ selbst seiende Kraft, als sie in diesem Insichselbstsein Äußerung ist.
이 힘의 한 순간은, 즉 독립적인 사물들이 그 존재 속에서 확장된 것은 바로 이 힘의 '발현'이다. 그러나 반대로, 이 독립적인 사물들이 사라지는 것으로서의 힘은
그 발현에서 다시 자신 속으로 밀려 들어간 것, 즉 '진정한 힘'이다. 그러나 첫째,  자신 속으로 밀려 들어간 힘은 반드시 발현해야 한다. 그리고 둘째, 그 발현 속에서도, 그것은 여전히 자기 자신 속에 존재하는 힘이며[이것은 힘이 단순한 발현이 아니라, 그 발현 속에서도 자기 자신을 유지하는 존재라는 점을 의미. 예를 들어, 자석이 철을 끌어당긴 후에도 자기장 자체는 사라지지 않고 유지되는 것과 같은 현상] 동시에 그 자기 자신 속에서의 존재가 바로 발현이다[힘은 내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적인 존재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이 필연적이라는 것. 예를 들어, 중력은 공간 속에서 항상 존재하지만, 그것이 작용하는 방식(예: 사물이 떨어지는 현상) 자체가 바로 중력의 발현].

상동 103

Indem wir so beide Moment in ihrer unmittelbaren Einheit erhalten, ist eigentlich der Verstand, dem der Begriff der Kraft angehört, ‚der Begriff‘, welcher die unterschiedenen Momente als unterschiedene trägt, denn ‚an ihr selbst‘ sollen sie nicht unterschieden sein ; der Unterschied ist hiermit nur im Gedanken. Oder es ist im Obigen nur erst der Begriff der Kraft, nicht ihre Realität gesetzt worden ; in der Tat aber ist die Kraft das Unbedingtallgemeine, welches, was es ‚für ein Anderes‘, ebenso an sich selbst ist, oder welches den Unterschied(denn er ist nichts anderes als das Füreinanderessein) an ihm selbst hat. Dass also die Kraft in ihrer Wahrheit sei, muss sie ganz vom Gedanken frei gelassen und als die Substanz dieser Unterschiede gesetzt werden, d. h. ‚einmal‘ ‚sie‘ als diese ganze Kraft wesentlich ‚an und für sich‘ bleibend und ‚dann‘ ihre ‚Unterschiede‘ als ‚substantial‘ oder als für sich bestehende Momente.
우리가 이처럼 두 계기[발현과 자체 수렴]를 그들의 직접적인 통일 속에서 보존함으로써, 사실상 힘개념에 속하는 오성은 곧 이 구별된 두 순간을 구별된 채로 유지하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힘 그 자체(an ihr selbst)에서는 이 두 계기가 구별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차이는 오직 사유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다[오성은 여기서 차이를 인식하고, 구별을 만들어내는 능력. 힘 자체에서는 두 모멘트가 구별되지 않지만,
오셍은 그 둘을 사유 속에서 ‘구별된 채로 파악. 예: 우리는 ‘중력’이라는 힘이 ‘잠재된 상태’이면서 동시에 ‘작용하는 상태’를 갖는다고 개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실제 중력 자체는 이런 구분 없이 항상 동일한 힘으로 존재]. 또는 앞에서 제시된 것은 아직 힘의 개념일 뿐, 그 실재는 아직 제시되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힘은 무조건적 보편자로서, 이는 타자에 대한 것인 동시에, 동일하게 자기 자신에 대한 것이기도 하며, 또는 그것은 차이를 (왜냐하면 그 차이라는 것은 다름 아닌 서로-존재(Füreinandersein)이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 안에 가지고 있는 것이다[차이(Differenz)’ = 서로 존재함. 힘은 자기 자신 안에 차이를 가지고 있는데,
이 ‘차이’란 단순한 분열이 아니라, 사물들이 서로에 대해 존재하는 방식, 즉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형식임.
예를 들어, 자석과 철은 서로를 전제로 하여 작용하므로, 이 힘은 상호성의 형태로 존재하는 차이를 자기 안에 포함하고 있는 것]. 그러므로 힘이 그 진리 안에 있게 되기 위해서는[개념으로서의 힘이 아닌, 실제 진리로서의 힘] 그것은 사유로부터 완전히 자유롭게 놓여져야 하며[힘을 단지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으로 파악하는 한계에서 벗어나, 실재적인 존재로서 이해하라는 것],  그리고 이 힘은 이 차이들의 실체로 설정되어야 한다. 즉, 한편으로는 힘 자체가 전체적인 힘으로서 본질적으로 자기 자신 안에 있고 자기 자신을 위한 것(an und für sich)이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차이들(즉, 두 모멘트)이 실체적인 것, 혹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für sich bestehende) 계기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동

Die Kraft als solche, oder als in sich zurückgedrängte ist hiermit für sich als ein ‚ausschliessendes‘ Eins, welchem die Entfaltung der Materien ein ‚anderes bestehendes ㅣWesen‘ ist, und es sind so zwei unterschiedene selbstständige Seiten gesetzt. Aber die Kraft ist auch das Ganze, oder sie bleibt, was sie ihrem Begriff nach ist, nämlich diese ‚Unterschiede‘ bleiben reine Formen, oberflächliche ‚verschwindene Momente‘.
그 자체로서의 힘, 즉 자기 안으로 수축되어 있는 힘은 스스로에 대해 하나의 ‘배타적인' 단일자인데, 이 단일자에게 물질들의 전개는 다른 하나의 존재하는 본질이다. 이로써 두 개의 서로 다른 자립적인 측면이 설정된다[힘은 단일한 개념이 아니라, 하나는 자기 내부에 있는 순수한 힘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로 펼쳐진 물질적 차이들로서, 이 둘은 구별되며, 서로 독립된 실체처럼 설정된다는 것]. 그러나 힘은 또한 전체이며, 혹은 그 개념에 따라 그 자체로 항상 그러한 것[전체]으로 머문다. 즉 이러한 '차이들'은 순수한 형식들로 남아 있으며, 피상적이며 '소멸해가는 계기들'에 불과하다[비유 : 힘이란 바다와 같고, 그 위에 이는 파도(차이들)는 각기 독립적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모두 바다의 일부일 뿐이며, 결국은 형태만 다를 뿐이며, 다시 사라져 본래의 전체로 귀속됨].

상동 103-104

Die ‚Unterschiede‘ der in sich ‚zurückgedrängten‘ eigentlichen Kraft und der Entfaltung‘ der selbstständigen Materien wären zugleich gar nicht, wenn sie nicht nicht ein ‚Bestehen‘ hätten, oder die Kraft wäre nicht, wenn sie nicht auf diese entgegengesetzte Weise ‚existierte‘ ; aber ‚sie existiert auf diese entgegengesetzte Weise‘ heisst nichts anderes als ‚beide Momente sind selbst zugleich selbstständig. Diese Bewegung des Sichbeständigverselbstständigens der beiden Momente und ihres Sichwiederaufhebens ist es also, was zu betrachten ist. Es erhellt im allgemeinen, dass diese Bewegung nichts anderes ist als die Bewegung des Wahrnehmens, worin die beiden Seiten, das Wahrnehmende und das Wahrgenommene zugleich, einmal als das ‚Auffassen‘ des Wahren eins und ununterschieden, dabei aber eben sowohl jede Seite in sich reflektiert oder für sich ist.
자기 안으로 수축된 본래의 힘과 자립적인 물질들의 전개라는 이 차이들은, 그들 각각이 존재함을 갖지 않는다면 동시에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또는 힘은 이런 서로 반대되는 방식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힘이 이러한 반대되는 방식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두 계기들이 동시에 스스로 자립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두 계기들이
끊임없이 스스로를 자립화하고 다시 스스로를 지양하는 이 운동이야말로 지금 우리가 고찰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명확해지는 것은, 이러한 운동이란 사실 다름 아닌 지각의 운동이라는 점이다[힘의 운동과 지각의 구조는 동일한 구조]. 그 지각 속에서는 두 측면, 즉 지각하는 것과 지각되는 것이 동시에 진리를 파악하는 과정 속에서 하나이자 구별되지 않은 것처럼 작용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각각은 자기 안에 반영된 존재, 즉 스스로를 위한 존재로도 존재한다[지각은 단순히 ‘보기’가 아니라 진리를 붙잡는 과정, 즉 인식 행위.
이 과정에서는 주체와 객체가 하나처럼 작동하지만, 동시에 각자가 자립적으로 존재함. 결국 의식은 객체와의 구분 속에서 자신을 파악하면서도, 그 객체 속에서 자신과 동일한 구조를 발견하는데, 이것이 바로 의식의 자기반성 구조 그리고 결국 절대적 자기-인식으로 가는 길의 초입].

상동 104











반응형

원전에 관해서

단상 Vorstelltung 2025. 3. 13. 14:08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예전에 철학 분야의 한국 학위논문 중 참고문헌 리스트를 1차서와 2차서로 나눈 것이 종종 보이곤 했다. 아예 1차서를 원전이라고 명명하며 구분하기도 했다. 물론 특정 인물의 철학을 주제화시키는 경우 이 인물의 원전을 따로 구분하는 것은 불가피할 수 있기는 하다. 하지만 불이 꺼진, 닫혀진 원전을 열고 불밝히는 것이 주석이고 논문이다. 원전의 생명력은 끊임없는 해석에 달려 있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