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의 <남한산성>을 계속 보고 있다. 궁금해서 인터넷 지도를 펼쳐 봤더니 남한산성은 내가 살고 있는 남양주에서 수직선상에 있는데, 거리는 약 12km 정도 밖에 안된다. 청군의 우두머리인 용골대가 조선왕에게 쥐새끼처럼 왜 그런 산골에 숨어 들어 갔냐고 야유하는 것처럼, 남한산성은 산세를 잘 활용한 요새이지만, 사방에서 청의 20만 대군이 에워싸면 그대로 포위되고 마는 섬과 같은 지형이다. 물론 왕가 행렬이 강화도에 가려다가 청군이 강화도의 길목인 김포를 선점한 상태라 급작스럽게 남한산성으로 길을 잡은 것이긴 하지만,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고서도 왕가와 조정이 이렇게 방비가 없었다는 것도 놀랍다. 조선은 차라리 200년 역사로 끝장나야 했다.
예전에 한번 남한산성 밑자락 쯤에 간 적이 있는데 사철탕 집이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닭, 개고기 류인데, 이것도 역사적 유산이다. 호란 당시 병참이 없어 말라가는 남한산성에서 닭 우는 소리와 개 짓는 소리는 날이 갈 수록 줄어들었다. 말까지 대형 솥에 넣어 삶아 먹었을 정도니 계견은 오죽했으랴. 수원에 소갈비가 유독 유명한게, 수원성 건립 후 노역에 동원된 백성에게 정조가 운반용으로 쓴 늙은 소들을 먹인데서 유래했듯이, 모란 시장엔 개고기가 유명하다.
김훈도 화자를 빌려 남한산성으로 들어간 행태를 조롱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도 왕가가 남한산성으로 들어간 것은 싸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투항의 명분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병력도 없는데 장기적으로 버티려면 더 깊은 산속으로 들어 가야 했다. 도망쳐 다니는게 왕의 위엄에 지대한 손상이었을까? 도주하면서 백성을 끌어 모아 항전을 했더라면, 그래서 끝내 패퇘해 왕조의 운명이 끊겼더라도, 백기투항해 용골대 앞에서 머리를 찧는 것보다 더 낫을 것이다. 그래서 비굴하게 연명한 왕조는 다시 200년 후 400년 전 조선을 침탈한 국가에게 제 나라 백성의 혁명적 봉기를 진압케 하고, 끝내 나라를 넘기지 않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