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에서 벤야민은 예술이 기술에 종속되는 시대적 양상을 대중이 정치기술에 종속하는 양상과 병치시킨다. 회화가 선사했던 주의와 집중, 명상을 대체해 영화는 분산과 오락, 기분전환을 대중에게 유포하는데, 이러한 역할은 정치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프로레타리아가 정치의 전면에 수용되는 듯한 효과다. 그러나 영화가 삶에 어떤 기여를 하기 보다는 삶을 잠시 배제하도록 만드는 것처럼, 정치도 결정적으로 삶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벤야민은 파시즘이 소유관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지배자 숭배라는 쇼를 정치에 끌어들였다고 말한다.

그러나 예술복제에 대한 벤야민의 직관은 오늘의 시대에 별로 신선하지 않다. 선거때마다 트로트를 개작해 터트리는 이곳에서 문화는 상업을 넘어 정치선동에 자연스럽게 이용되는 풍토다. 오히려 유일성, 현존으로서의 예술은 부유층의 관심어린 투자 목록속에서 향락된다. 예술을 관람하는 분위기로서의 아우라는 여전히 전시장과 교회에서 작용하고 있고 외부인을 차단한 소굴화된 전시공간이 어딘가에서 횡행하고 있겠지만, 이제 예술가는 건축가처럼 작품의 사용성과 촉각성에 열려 있다. 더이상 시각의 대상으로서만  음미되는 예술은 이제 퇴폐적이고 변태적이며 유아적이다.

그러나 카메라의 발전은 시각의 정밀화를 가져왔다. 벤야민이 회화와 영화의 사이에, 그리고 마술과 외과술 사이에 놓은 간격은 날이 갈 수록 더 벌어질 뿐만 아니라 영화와 외과술의 결합으로 영상의학이라는 분과학도 나왔다.  카메라는 은하 너머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의 내장에도 시선을 투과한다. 예술은 극단화되는 과학의 발전 앞에서 더이상 은밀한 부분을 숨길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복제의 기술은 단지 이미지의 이미지들을 대량 생산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복제품의 기원을 더이상 원본에서 유출할 수 없는 경지에까지 올려 놓는다. 또한 더이상 해당 분야의 전문가만이 글을 쓸 수 있는게 아니라 글을 쓰는 기계도 충분히 가능한 세상이다. 따라서 예술의 종말은 작가의 종말도 포함한다. 집단창작이라는 방식은 이러한 기계적 창작의  원시적 형태이다. 왜냐하면 이 한 편의 글에서  분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분업은 기계적 방식의 원초적 형식이므로, 분업화된 글쓰기는 아직은 수공업적인 기계적 생산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공업적 생산도 자동생산체제로 급변하는 것도 그리 먼 일이 아니다. 프로그램화된 글쓰기 환경에서 작가는 주제와 핵심어, 연결어 몇개를 선택해서 컴퓨터가 알아서 글을 쓰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우라의 몰락, 회화의 종말, 작가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우라는 횡행하며 회화는 생산되고 작가는 활동한다. 이들을 넘어서는 기술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낙후한 창작들이 쉽게 사라질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다만 기술의 장막에 가려질 뿐이다.  아니 오히려 기술의 장막에 침을 뱉으며 자신의 전통적 의례에 집전하는 작가들도 있다. 이는 마치 비행기를 타고 대륙을 횡단하면서, 기내에서 잠꼬대로 자신은 헤험을 쳐서 대륙을 횡단하고 있다고 외치는 것과 다름없다. 작품의 생산과 향유의 조건을 날이 갈수록 변화시키는 기술복제와 기술진보의 시대는 마치 발을 담그자 마자 원래 서 있으려 했던 지점이 저 멀리 흘러가 버리는 거침없는 강물같다.

2008. 4. 11.

반응형
반응형

종교가 생활이었던 독일의 근세 초기의 역사는 종교개혁의 역사다. 로마로부터 재정의 부분 독립을 달성했지만 이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신성로마제국은 영방국가들을 통합할 수 없었으나 이들의 이해관계와 맞아 떨어진 종교개혁 덕분에 프랑스와 같은 종교전쟁을 피할 수 있었는데 그 전제는 출판기술과 사법 장치였다. 이때 당시에 로마/제국/영방을 위한 세수의 작동이 행정 보다 교구에서 더 원활했다는 점은 종교가 삶의 전부였던 시대의 단면이다.



당사자가 예기치 못한 사건이 혁명적 결과를 초래한 대표적 사례는 루터의 95개 논제로 촉발된 종교개혁(기독교의 신구 분열)일 것이다. 루터는 교부와 성서에 근거해 교황의 권위를 비판한 것인데, 처음부터 면죄부 판매의 독일적 상황에는 루터도 모르던 내막이 있었는 바, 그것은 이 판매의 독일내 전권을 위임받은 대주교 자신이 성직을 매수하면서 발생한 엄청난 대출금을 면죄부 수입에서 충당하려는 이해 관계였다. 부패한 로마 교황청은 말할 것 없고.

종교개혁이 촉발되기 2년 전 보헤미아의 얀 후스가 이단으로 화형된 사건을 상기하면서 의도치 않게 일이 커지는 상황을 직감한 루터는 비텐베르크의 지지자들과 더불어 출판활동으로 평신도의 지지를 끌어 모으면서 교황청과 장기적으로 신학적 교회법적 투쟁을 벌일 수 있었다. 어쩌면 종교가 전부였던 시대에 로마와 종교적으로 분리하는데 최초로 성공한 업적은 종교가 별것 아니게 보이는 시대에도 중요한 귀감이다.

루터는 한창 로마교황청과 그 대리인들과 맞서 싸우는 시절 2년간 월 2회 정도로 성서를 통독하며서 일종의 텍스트 무장을 했는데, 이러다 보니 자신의 적수들이 히브리어나 그리스어에 대한 무지는 물론 성서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간파하고 자신감을 가졌다. 이런 성서 이해의 바탕에서 라틴어를 넘어선 최초의 민족어 성서 번역, 루터 독일어 성서본이 탄생했다.

1521년 파문당한 루터에 의해 적그리스도의 온상으로 지목된 로마교황청을 분노한 농부가 도리깨로 치는 상황을 묘사한 팜플렛처럼, 종교개혁 진영 쪽에서 인쇄된 팜플렛이 그 반대진영의 것을 압도했는데, 우선 자비로 먼저 인쇄를 해야하는 인쇄업자로서는 교황지지자들의 팜플렛을 찍으면 손해를 보고 마는 수요상의 격차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루터에 대한 로마의 파문교서를 제후국에 하달하는데 실패한 젊은 황제의 무기력(카를의 보름스 칙령)에 더해 독일 전역의 여론은 종교개혁의 강력한 우군으로 등장했다.



반응형

톨스토이의 부활

책들 Bücher 2022. 7. 17. 21:35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보이지 않는 출구를 향해 어둠의 터널을 묵묵히 걸어가는 듯한 이 소설을 1년여 넘어서야 일독했다. 복음서의 원용으로 소설을 마무리짓는 톨스토이의 주제의식은 아무도 인간을 정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범죄자를 처단하는 행위 자체가 범죄라는 것이지만, 분명 범죄소명이 불분명했던, 그래서 아무 죄도 없이 감옥을 전전하는 경우도 다반사였던 범죄자들 보다 범죄를 관리하는 관청이 더 악랄했던 당시 러시아와 달리 지금 시대에서 이런 주장이 얼마나 적절할까? 어린 시절 한 젊은 귀족의 소행으로 나락으로 전락한 부정한 한 여인에게 사법당국이 부조리하게 옭아 맨 죄의 덫은 사회 지배기구의 부조리한 모든 악행이 누적된 결과일까? 복음서에 의존해서 사회를 바라보기에는 현대 사회는 너무 복잡해져 버렸다.

다만 한가지 공통점을 든다면, 죄악 자체 보다도 죄에 관한 의식 내지 관리가 여전히 더 부곽될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죄가 없어도 죄를 덧씌울 수 있었다면, 현대에는 죄라는 사실 보다도 이 사실에 대한 태도 내지 관리가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이런 관리에 따라 죄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흔한 말로 무전유죄 유전무죄가 이런 생각을 예시하지만, 더욱 복잡해지고 정교화된 사법기술이 이런 기능을 대변한다.

도스트예프스키의 <죽음의 집의 기록>에서 모티브를 받았을 것으로 보이는 이 소설에서 여주인공 미에슬로바가 네홀도르프의 도움으로 형사범이 아닌 정치범과 함께 수감되고 이감되는 과정에서 톨스토이는 자연스럽게 여러 혁명가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교조주의적이고 인간적 신뢰가 결여된 혁명가도 있는 반면에 모든 불편과 부조리한 관행에 앞서 맞서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혁명가도 있다.

전쟁을 겪고 전쟁에 관한 소설도 썼으며 러일전쟁을 비판하고 평화를 외치고 실천했던 톨스토이가 현재의 러시아를 본다면 뭐라고 했을까? 너무 위대하면서도 너무도 비천한 제국의 몰락이다.

반응형

사회의 사회1 : 코드화와 프로그램

책들 Bücher 2021. 2. 23. 20:44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Deshalb bildet sich im Zuge der Evolution von Cordierungen eine Zustzsemantik von Kriterien, die festlegen, unter welchen Bedingungen die Zuteilung des positiven bzw. negativen Wertes richtig erfolgt.

따라서 코드화의 진화가 이뤄지는 가운데, 어떠한 조건에서 긍정값 내지 부정값의 할당이 적절히 수행되는지를 확정하는 기준들을 위한 추가적인 의미론이 형성된다.

 

Wir werden diese Konditionierungen ‘Programme’ nennen.

우리는 이러한 조건들을 프로그램이라고 부른다.

 

Sie hängen sich wie ein riesiger semantischer Apparat an die jeweiligen Codes; und während die Codes Einfachheit und Invarianz erreichen, wird ihr Programmbereich, gleichsam als Supplement dazu, mit Komplexität und Veränderlichkeit aufgeladen.

이것은 거대한 의미론적 장치처럼 각각의 코드에 부착되어 있다. 코드가 단순성과 불변성에 이르는 반면에 코드의 프로그램 영역은 말하자면 보조장치로서 복잡성과 가변성으로 채워진다.

 

Die jeweiligen semantischen ‘Bestände’ des Rechts zum Beispiel oder der Wissenschaft bestehen in diesem Sinne aus Programmen.

예를 들어 법과 과학의 의미론적 자산은 이러한 의미에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Niklas Luhmann, Die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Suhrkamp, 2018), s.364. 장춘익 역, 사회의 사회1(새물결, 2012), 426쪽 참조. 

 

 

코드화는 양갈림 중 하나로 귀결되는 구조인 반면 프로그램은 이런 코드화에 역동성을 부여한다고 할까?  이것은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연관지어도 흥미롭다. 코드 자체로는 아무런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프로그램화 됐을 때 코드는 살아있는 객체처럼 움직인다. 이러한 구분은 매체와 형식의 구별을 상기시킨다. 

 

 

Die Codes bezeichenen für ihren jeweiligen Funktionsbereich das zuständige Medium, also eine begrenzte, aber lose Kopplung von Möglichkeiten.

코드들은 그것의 각각의 기능영역에 대한 해당 매체를, 즉 제한된, 그렇지만 느슨한 결합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Sie können also nicht vergessen werden, während auf der Ebene der Programme sowohl Erinnern als auch Vergessen möglich ist, je nachdem, wie oft die Programme aufgerufen bzw., wenn nicht, aus dem Gedächtnis getilgt werden.

따라서 코드들은 망각될 수 없지만, 프로그램들의 층위에서는 프로그램이 얼마나 자주 소환되는지에 따라서, 그렇지 않으면 기억에서 삭제됨에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망각도 가능하다.

 

상동

 

 

이하는 2016년 12월 이후 페북에 남긴 관련 메모(역순)

 

매체와 형식의 구별 : 매체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표현도구로 문자, 신호, 그림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지속적이진 않더라도 구성요소들의 강한 결합을 이루는 형식과 달리 느슨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형식을 위한 무한에 가까운 원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한 조합을 위한 문자나 성당의 원형기둥 사이로 들어오는 빛이란 매체

 

루만은 단지 자신만의 독특한 사회이론을 펼치는 사회학자가 아니라 사회이론의 철학을 제시하는데, 어떤 면에서는 프랑스 철학의 독일적 수용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역설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세계는 부분이나 전체로 파악할 수 없는 불가해한 통일체로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만 접근가능한 구성물인 것이고(베르크손의 <창조적 진화> 1장) 이 방식 중 루만이 세계, 특히 세계사회를 이해하는 유력한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이다.

 

의식체계와 커뮤니케이션체계의 유력한 대체물인 컴퓨터가 인간지능의 모사인지 인간지능을 넘어서는 것인지가 문제가 아니라 컴퓨터가 구성한 실재와 의식 또는 커뮤니케션 체계 사이에 컴퓨터가 산출한 구조적 결합이 가져올 결과. .루만 GdG S.117-118..즉 체계의 인공적 대체물이 초래할 예측불가적인 결과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느냐의 문제.

 

루만에게 인구는, 문자나 기호 등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는 70억의 의식체계이며(S.115), 이들에게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어떤 합의점에 도달하기는 불가능하다. 통제에 어려움을 겪는 바이러스처럼.

 

루만의 체계이론 혹은 사회이론은 헤겔과는 다른 맥락과 여타 이론의 누적으로 정신현상의 발생에 관한 현대적 해석을 포괄 : 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의식체계의 발달은 신경생리학의 조건에서 가능하나 신경생리학에서 바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것은 아님. 문자를 비롯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발달에 관한 설명은 온전히 자연에 맡길 수 없음

 

사회의 재구성, 사회의 구별, 사회의 작동을 위한 시간 제약적 의사소통의 요소 : 일회적 놀람만 일으키는 정보, 행위로서 시점에 묶인 전달, 반복되지 않고 상기될 뿐인 이해

루만,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s.71

 

의사소통행위이론에 대한 간략 후기: 베버에서 비판이론으로 이어지는 독일 사회이론과 파슨스의 체계이론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을 통해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정립시키려는 거대한 시도로만 보임. 이론사를 등에 업고 이를 자신의 구상에 맞춰 절단하는 실력은 예리하지만 결국 반사적 구성물을 벗어나지 못함. 더이상 거대이론이 지속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통섭적 학문교류의 필요성을 역설한 점에서 선구적 귀감. 또한 하버마스 본인 스스로도 법학 강의 청강생으로 대학생들 틈에서 노학.

반응형

기억과 망각

책들 Bücher 2021. 1. 16. 08:12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루만에 따르면 문자는 시대와 상관없이, 커뮤니케이션으로 사건화되면 기억으로 소환되는데, 그 형태는 문장의 형식이다. 그래서 문자는 기억을 지원하는 매체이지만 기억에 너무도 부담을 주기에 망각을 유도한다. 왜냐하면 기억을 위한 문자의 활용은 문자화되지 않는 영역은 망각으로 방치하기 때문이다. 저장매체의 기술이 첨단으로 발전하는 시대에 기억의 사각지대는 점점 사라지지 않을까? 오히려 망각의 권리라는 생각까지 대두할 지경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