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페터 한트케'에 해당되는 글 8건

  1. 2010.03.05 만주벌판으로 달리는 회전목마
  2. 2010.03.03 새벽의 달그림자
  3. 2010.02.28 휴일 오후

만주벌판으로 달리는 회전목마

문학 Literatur 2010. 3. 5. 08:57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잘 나가는 육아서의 첫장 제목은 '육아는 과학이다'로 되어있다. 침대광고를 패러디한 이 건조한 제목은 인간이 과학의 전형적인 연구대상임을 드러낸다. 인간이 신경망을 갖춘 복잡한 기계로 환원될 수 있다면, 이 동물의 미시적 체내 어딘가에 의식의 생성소가 있을까? 전철에서 잠시 눈을 붙이며 생각이 난다. 의식이 물질이라면, 신체의 죽음은 마치 컴퓨터의 전원이 나가는 것처럼 의식을 오프시키는가? 이 물음에 재래적으로 매달려 온 것이 종교이며, 그 극단은 불교이다. 

"그애는 다른 사람들과 있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피붙이였고 오래전부터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그는 어리지만 고요한 눈에서 순간적으로 나오는 영원한 우정의 시선을 맞아들인다...나중에 봄이 되었을 때, 아이는 혼자 회전 목마 위에 앉ㅣ 아 있었다. 그 목마의 가장자리에는 모래톱에서처럼 하얀 거품이 일었다. 이제 막 비가 그쳤다. 한번 밀자 회전 목마는 움직이기 시작했다. 아이는 남자와 멀리 떨어지자 잠시 그를 올려다보고는 목마가 돌자 곧 잊어버리고 다른 것에 더 이상 눈을 주지 않았다. 남자는 나중에 그 순간을 떠올림으로써 자신의 어린 시절의 한 순간을 회상했다. 그때 그는 좁은 방에 어머니와 함께 있기는 했지만 가슴이 미어지는 듯한, 마치 하늘에까지 닿도록 소리지르고픈 먼 거리감을 느꼈었다. 그곳에 있던 어머니가 바로 이곳에 있는 나와 같지 않겠는가? 열중해서 돌고 있는 아이를 태운 회전 목마를 보고 있는 시선은 그때와는 정반대의 시선인 것이다. 그의 어린 딸이 처음으로 거기 서 있는 아버지로부터 독립된 독자적인 존재로 보인 것이다. 또한 그런 자유를 누리며 강해져야지! 두 사람 사이의 공간에는 왠지 득의양양함 같은 것이 빛났다...소망한다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소망하는 것에 시한(時限)을 두어야 한다는 의식도 가능하리라. 근데 그런 의식은 그들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생각할 수 없었던 예전과는 다르게 고통스럽게 느껴졌다." 

페터 한트케, <아이 이야기>Kindergeschichte in 『소망없는 불행 Wunschloses Unglück 윤용호 역(민음사, 2008), p.105-106.

*이 인용과 유사한 분위기의 시가 황지우의 첫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에 있다. 여기서 시인은 다섯살 난 딸아이에게 허접한 회전목마를 태워주며 간도까지 달리는 상상을 한다.
반응형

새벽의 달그림자

문학 Literatur 2010. 3. 3. 04:29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정월 대보름이 이틀 지났지만 그 위력의 자취는 여전한가 보다. Peter Handke(1942~)의 문장은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긴 해도, 서늘한 서술에 감싸인 자귀에 희미하게 번뜩이는 섬광도 있다.  

뒤늦은 독서
"지금까지 그녀는 자기 자신에 대해 다소 신경질적이었다.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그녀를 짜증나게 했다. 이제 그녀는 독서하고 토론하는 데 열중했다가 돌연 새로운 자의식을 갖게 되었다. <책을 읽고 대화도 하니까 난 다시 젊어지는 것 같구나.>ㅣ
물론 그녀는 책에 나오는 내용을 과거의 이야기로 읽었을 뿐이었고 결코 미래를 향한 꿈으로 읽지는 않았다. 그녀는 책 속에서 자기가 놓아버렸고 이제는 결코 만회할 수 없는 것들을 발견했다. 그녀는 일찌감치 미래에 대한 어떤 생각도 머릿속에서 지워버렸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제2의 청춘이란 자기가 과거에 경험했던 것을 미화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문학은 그녀에게 자신에 대해 생각하도록 가르쳐준 것이 아니라 그런 생각을 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페터 한트케, 『소망없는 불행 Wunschloses Unglück 윤용호 역(민음사, 2008), p.57-58.

"매일 죽도록 해봐야 자기에게 아무 쓸모도 없는 일에 지쳐 그는 병들고 쇠약해졌다. 조는 듯하다가도 깨어나서 정말로 외로왔다. 그러나 그녀는 그가 부재중일 때에만 그 외로움에 답할 수 있었다."

상동, 60.

정치가의 본질
"정치가들은 다른 세계에 살았다. 사람들이 그들에게 질문을 해도 그들은 대답도 하지 않고 자신들의 입장을 표명할 뿐이었다. <아무튼 대부분의 것들에 대해선 누구도 말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말할 수 있는 것은 정치에 관련된 것뿐이었다. 다른 것은 혼자 힘으로 해결하거나 신(神)에게 맡겨야 했다. 어떤 정치가가 정말 누군가에게 개인적으로 흥미를 가지면 그 사람은 이내 움츠러들 것이다. 그건 아첨에 지나지 않는 것일 테니까."

상동, 61. 

반응형

휴일 오후

문학 Literatur 2010. 2. 28. 18:16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하루 종일 집에만 있었다. 김연아에 대한 국민적 찬사도 공동체험일까?

"횃불 행렬 시위, 대중 집회 시위. 나치 깃발이 걸린 건물 앞에서 사람들은 부동자세로 경례를 했다. 숲과 산꼭대기엔 장식이 되어 있었다. 그 역사적 사건들이 시골 사람들에게는 자연의 드라마로 여겨졌다. <우린 상당히 흥분되어 있었단다>라고 어머니는 이야기했다. 처음으로 공동 체험이란 것이 있었다. 지리한 평일이었는데도 <밤 늦은 시간까지> 축제 같은 분위기였다."

페터 한트케, 『소망없는 불행 Wunschloses Unglück 윤용호 역(민음사, 2008, 1판 15쇄), p.22.

"사건의 단순한 보고에 만족한다면 덜 허구적이겠지만, 자세히 표현하고자 하면 할수록 허구적인 것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이야기 속에 허구를 많이 집어넣으면 넣을수록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이야기가 더욱 흥미로워질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단순히 보고되는 사실보다는 허구적 서술에 보다 쉽게 동일시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학적 욕망이 생기는게 아닐까?..."
 
상동, p.24.


"시골까지도 위급함을 알리는 사이렌 소리, 주민들은 공습 대피소가 된 암벽 동굴로 뛰어들어가고, 마을에 생긴 첫 폭탄 자국, 그것이 나중엔 아이들의 놀이터와 쓰레기 하치장으로 사용되었다."

상동, p.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