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자는 망해도 3대가 간다는 속담은 부자의 한계를 노정한다. 삼성의 가문은 얼마나 갈까? 이 소설은 19세기 초반에 군수물자의 납품으로 크게 성공을 거둬 가문을 일으킨 요한 부덴브로크 가의 4대기를 서술한 작품으로 1929년 노벨문학상 수상작이다. 『타락』, 『행복에의 의지』, 『키작은 프레드만 씨』와 같은 단편으로 이미 등단을 한 토마스 만이 25살의 나이에 발표한 이 소설은, 새파란 청년이 썼다고 보기 힘들 정도의 노련함이 보인다. 아무래도 뤼벡의 부유한 상인 가문이라는 그의 출신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소설은 한창 사업의 발흥기를 구가하던 1대의 부덴브로크 가  사람들이 새로 구입한 멩가의 대저택에서 잔치를 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시작부터 어떤 균열이 일어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북부의 뤼벡이라는 소도시에서 선두를 달리는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맏딸 안토니와 사기꾼 그륀리히의 정략 결혼을 시작으로 가문은 점차 몰락의 길을 가다가 3대의 토마스에 이르러 다시 가문의 사업이 반짝 일어나지만,  결국은 급격히 몰락한다. 쉰 살도 안된 시의원 토마스 브덴브로크는 병약한 아들의 미래와 자신의 불안한 건강을 이유로 극단의 유언을 남긴다. 

시골 도시의 조그만 가족 기업의 소소한 연대기로 볼 수도 있으나, 신분의 질서를 벗어나 공적으로 이룩한 브르조아 질서의 흥망성쇠를 몰락의 관점에서 전개시켜 나가는 소설이다. 인생이 결국 몰락을 향해 가고, 대대 손손 이어지는 가문에도 종점이 있기 마련이라는 어두운 미래에 대해 유교적 세계관은 제례의 양식을 답습해 오고 있다. 조상의 정신은 후대에 연속된다는 믿음. 종교적이라 할 수 있는 이러한 믿음에 토마스 만은 회의적이다. 이 소설에서 공적으로 이룩된 브르조아 질서에 다시 신분의 양식인 가문을 심는 것에 대해 토마스 만은 비판적인 관점을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 부자는 망해도 3대를 간다는 것은, 3대 이상 지속하기 힘든 자연의 한계이다. 북조선은 3대까지 갈 수 있을까? 3대를 준비하는 삼성은 어떻게 될까? 남성중심의 계보만을 적통으로 보는 가문중심주의의 시대착오성을 감지한 토마스 만의 선견이 돋보인다.

만약 이 소설의 속편이 가능하다면, 부덴부르크 영사의 맏딸 토니가 그 중심에 설 것이다. 왜냐하면 토니는, 말괄량이 소녀에서 자의식을 갖춘 자아로 성장했으며, 자신의 결혼에서 비롯된 가문의 실추 속에서도 가문의 영예를 고수했던 강인한 생명력으로 충만해 있기 때문이다. 만약 토니가 자신이 원했던 대로, 부덴브로크 가 보다 상당히 낮은 계급에 속하지만 전도유망한 교육과정을 밟고 있던 모르텐과 결혼했다면 이야기는 다르게 흘렀을지 모른다. 혹시 토마스 만은 토니 부덴브로크를 염두하고 3년 후 『토니오 크뢰거』를 내놓은 것이 아닐까?


텍스트 :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Buddenbrooks : Verfall einer Familie, 홍성광 역(민음사, 2008, 1판 17쇄).

주요등장 인물 : 요한 부덴브로크 1세, 장 부덴브로크 영사(2세), 토니 부덴브로크, 토마스 브덴브로크 시의원(3세), 하노 부덴브로크(4세), 크리스찬 부덴브로크, 게르다 아놀트선

그외 등장 인물 : 엘리자베트 영사 부인, 크뢰거 가 사람들(엘리자베트 영사 부인의 시댁), 벤딘스 그륀리히, 모르텐 슈바르츠코프, 알로이스 페르마네더, 세세미 바이히브로크, 클로틸데(부덴브로크 가의 빈곤한 방계 친척),클라라(요한 2세의 막내딸), 마르쿠스(요한 상사의 동업자이자 전문 경영인), 카이 묄른 백작(하노의 단짝 친구), 고트홀트 부덴브로크(요한 브덴브로크 1세의 첫째 아들), 고트홀트의 세 딸들, 안토아네트 노부인(1세의 둘째 부인), 에리카 그륀리히, 티부르치우스 목사, 바인센크(에리카의 남편), 프링스 하임 목사, 그라보 박사, 랑할스 박사, 레안드리 수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