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운명

단상 Vorstelltung 2010. 12. 20. 10:27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가끔 라디오에서 우연찮게 작가의 인터뷰를 들은 때가 있었다. 예전에 명절 즈음에 김주영이 나왔었는데, 작가란 가슴에 응어리진 한을 품은 사람이라고 말했던 걸 기억한다. 세상을 풍요롭고  넉넉하게 살아온 사람이 글 나부랭이를 끄적일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진흙탕에서도 꽃을 피우는 연꽃같은 존재가 작가라는 것인가? 개인적인 아픔을 만인에게 토로하는 것이 작가라면 너무도 사적인 규정이 되고 만다. 그 상처가 작품의 소재가 될 수는 있겠지만, 거기에 따라붙는 자기합리화의 기제를 피할 수도 없다. 물론, 그 상흔이 시대의 배경에서 오는 것인 한, 그 아픔은 보편적 체험으로 수용될 소지가 높다. 다른 동년배 작가들도 비슷하겠지만, 김수영의 시와 산문은 직접적인 전쟁의 참화로 뒤덮힌 잔해를 뚫고 피어난 꽃이다. 이에 비해 이청준의 특정 작품, 예를 들어 <눈길>은 가족사의 몰락이라는 철저히 사적인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그래서 김현으로부터 지 어미를 팔아먹은 소설이라는 핀잔도 받았지만, 들추고 싶지 않은 집안의 얘기를 끌어내어 이청준 특유의 주제인 인간의 원형적 그리움에 도달한 것은 탁월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그렇고 그런 집안의 속사정은 어지간해서는 가까운 사람에게도 밝히기 힘든 소재다. 그 밝히기 힘든 답답함 때문에, 언젠가 이 소재를 다루겠다는 미룸과 연기 속에서 자신의 산을 짊어지고 가는 것이 작가의 운명인지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