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청준의 『그곳을 다시 잊어야 했다』라는 에세이류의 단편소설집을 천천히 읽다가 이제 짧은 두 꼭지를 달랑 남겨 두고 있다. 앞부분과 중반 이후까지 읽으면서, 망향살이의 설움에 복박치는 노작가의 푸념처럼 읽히어 그만 읽을까 하다가 마져 잡고 있었는데, 마치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처럼 뒤로 갈수록 다시 일으켜 살아나는 숭고미처럼 노작가의 설움은 이 시대의 현재를 반추한다. 자신의 예전 단편의 모티브를 제공한 선교책자의 실화는 더더욱 현재감을 더한다. 한국전의 동란기에 다리밑에서 자신의 옷을 벗어 입혀주고 숨을 거둔 어미의 가슴팍에서 튀어나와 울음을 그치지 않던 여아가 미국 선교사에게 발견되어 양육되고, 결국 10살의 나이에 선교사를 따라 미국으로 이민을 가버린 일화에 대해서, 이청준은 단지 개인에게 덮친 불운을 불분명한 운명에 돌리지 않고, 이런 전쟁을 일으킨 장본인들을 지목한다. 이 지목이 구체적이지 않아 모호하지만, 다시 전쟁을 외치는 이들을 우리가 두 눈 똑바로 뜨고 볼 수 있는 현재, 우린 똑같은 불행을 감내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전쟁이 인류 생존의 필요악으로 있어 왔고, 앞으로도 없다고 할 수 없는 이상, 평화만을 외치는 일이 오히려 허구적이라 해도, 인간의 생활세계가 무슨 봄철 밭갈이 처럼 마구 파헤쳐지고 뭉개지고 나서 터가 잡히는 게 아니지 않은가?  연평의 황금어장에 북조선 배가 나올 수 없게 일방적인 북방한계선이 그어진 현재의 수역은 준비된 화약고에 다름 아니었다. 자연그대로 흘러가는 강을 파헤치고 비틀어 생명의 강을 만든다고 하듯이, 평화기반 조성으로 남북 공동 공영의 길로 갈 수 있는 방안을 팽개치고 무력으로 조저서 깔아 뭉개야 하겠다는 것이 이명박 정권의 이념이다. 악마를 뽑은 국민은 결국 대가를 치루는 거라고 한다면, 지금까지만 만으로도 족하다. 이 뒷수습만으로도 앞으로도 헤아리기 힘든 시간이 걸리겠지만, 또다시 강행되는 연평의 포사격훈련을 보면서 저세상으로 가신 우리 노작가께서도 이제 생전에 못다한 힘을 발휘해 오늘 내리는 눈처럼 많은 천상의 군대를 밤새 내려보내 전쟁을 외치는 저 악마들을 거둬가시기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