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믿음의 근원은 신이 아닌 인간의 선택(판단의 자유, 그리고 판단의 책임)

김용옥의 강연에 의하면, 구약성서의 집필시기는  이스라엘의 바빌론 유수기(b.c. 6세기, 70년간)로 추정된다. 즉 모세오경과 같은 구약의 기초서사(출애굽 외)를 비롯해 열왕기,  유대 통일왕국을 이룩한 다윗의 이야기가 모두 고고학적 증거가 없는 하나의 신화라는 것이다. 이는 오디세이가 고대 영웅들의 신화적 서사인 것과 비슷하지만 주변 강대국들에 고난을 당하고 결국 멸망한 이스라엘의 재건을 염원하는 소망을 담은 장대한 드라마라는 것이다. 마치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처럼 말이다.

그러나 성서가 구약으로만 이루어졌다면 그것은 단지 이스라엘 민족만을 위한 규범과 서사로 남았을 것이지만, 신약으로 인해 보편종교로 나아갈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아브라함도, 야곱도, 요셉도, 모세도, 다윗도, 솔로몬도, 그리고 예수도 역사적 실체가 모호한 신화적 서사의 주인공들일지라도, 서한의 형식으로 신약 집필의 서두를 마련한 역사적 인물 바울에 의해서 기독교의 고난과 승리의 길이 예비된다.

믿을 수 없는 일을 믿는 것, 그것은 결단이고 나아가 신앙일지도 모른다.

김용옥은 구약에 기반을 둔 유대교의 야훼신앙을 민족 편협적인 성황당 종교라고 폄훼하며 그런 류의 신앙은 세계에 보편적으로 산재해 있다고 하면서, 러셀의 서양철학사에 근거해 플라톤의 심신 이원론을 바울이 끌어들이면서 유대교의 뿌리에서 기독교가 혁명적으로 불거져 나온 것으로 본다. 다른 맥락에서 니체도 바울을 기독교의 산파로 보지만, 유대 철학자 야곱 타우베스는 정치적 맥락에서 바울을 본다. 루터 보다 더 급진적이고 근본적으로 유대교의 전통을 뒤엎었을 뿐만 아니라, 로마에 대해 두리뭉실하게 존립과 타협의 줄타기를 하는 유대교 지도부와 달리 로마의 황제 숭배에 정면으로 대적하는 행보를 서한의 형식으로 바울이 전개했다는 것이다. 종교가 사회현실 및 권력과 관련을 맺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사회를 개혁하는 일, 그리고 이것이 성공하는 경우는 드문 일이다. 불교는 이런 일에 초연한 인상을 불러올지 모르지만 인상일 뿐이다.

하지만 전례 혹은 의식은 훈련이자 무장으로서 실행력에서 지식을 넘어선다. 타우베스는 전례학에서 신학을 도출하는 방식에 경도됐다(바울의 정치신학, 조효원 역 그린비 2013, 94면).

J. Habermas, A.e.G.d.P., s.15. : 만들어진 신, 인간과 공진화한[커뮤니케이션한] 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