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소설을 보면서, 멋모르고 노동현장을 기웃거렸던 20대가 떠오른다. 회사 사무원의 감액전표할인이나 웃개에 대한 십장과 감독조의 착복처럼, 순진하게 노가다 일당의 2할을 소개인에게 입회비로 내준적도 있다. 이 소설은 이런 착복의 위계를 바다를 메우는 한 현장에서 여실히 보여주는 체험문학이다.
이윤이 생길리 없는 서해 남도의 매립공사를, 다른 큰 관급 공사를 수주하는 조건으로 시행하는 건설사는 비용을 최소화시키면서 공사를 진행한다. 일용노무자의 노무관리를 주먹패에게 맡기면서 회사는 감독조와 십장을 통해 노동자들을 관리하는데, 이들의 비용은 결과적으로 이 일용 노동자들이 지불한다. 이 감독조는 함바에 속한 노무자에게 각각 부여되는 일련번호와 마찬가지로 일인당 몇개의 유령 일련 번호를 부여받아 하지도 않은 일을 한 것처럼 해 맘보를 받는가 하면, 웃개에서 실제로 웃개조가 한 작업량을 깍아내려 그 차이만큼을 착복한다. 이런 작은 도둑질은 공사의 수주에도 걸쳐 있다. 형편없는 낙찰가로 매립건을 입찰받는 대신, 큰 건의 공사를 수주하고, 검은 돈이 계약 당사자간에 오고간다. 결국 이 잘못된 구조의 온갖 비리로 그 피해의 하중을 가장 극심하게 받는 이들은 객지에 몰려온 일당 노동자들이다.
황석영이 60년대 후반에서 70년대 초에 경험한 객지 노동의 현장은 지금과는 다른 부분이 있다. 일용노동자한테 노임을 보름 후에 지급하면서(간죠), 그 사이에 노동자들이 함바 숙식비나 식대, 주류 및 기호품의 소비를 위해 맘보(하루 노동이 끝나고 받는)를 전표로 감액할인해 현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악질적인 교환방식은 이제 음지에서나 휭행할 일로 보이나, 현금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서는 이런 식의 변칙적 결제 방식이 잔재해 있다. 영세한 출판계에서 이루어지는 어음결제가 이와 근사할 것이다. 이런식의 악질적 착취구조를 헨리 조지의 '진보와 빈곤' 첫장에 나오는 임금가치설에 비춰 본다. 헨리 조지는 이른바 진보된 사회라는 선진 문명국에서 빈곤이 증대하는 이유와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대의 국가 국세화라는 처방을 제시한다. 이런 결론을 위해 우선 그는 논의의 출발점으로, 그가 애덤 스미스로부터 당대의 모든 정치 경제학들이 왜곡했다고 본 임금과 자본의 관계를 재규명한다. 임금에 대한 통례적 정치 경제학의 정의는 임금이 자본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인데, 이를 헨리 조지는 임금은 노동으로 부터 나오는 것으로 규정하며, 자본은 산업의 형태를 제약할 수는 있지만 산업을 제약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자본은 생산도구나 원료 제공, 교통수단의 확보, 분업 등의 역할을 함으로써 사회적 부를 증대시키도록 돕는 것이지 산업을 규정짓는 것은 아니다. 산업은 사회마다 그 발전의 경과가 다른데, 자본은 산업이 고도로 발전한 사회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회에서 자본의 효용은 떨어진다. 이에 대한 예로 헨리 조지는 영국에서 초대받은 호주의 식인족 추장이 영국민들에게서 우호적 선물들을 받지만, 귀국해 시드니에서 이 선물들을 무기와 교환해 전쟁을 일으키는 경우를 든다. 부정이 횡행하고 무질서한 사회에 투입된 자본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소 모범적 자본주의의 상을 그리는 것처럼 보이는 헨리 조지의 논의에 따른다면, 이 소설에서 바다의 간척이라는 사회 간접 자본 시설의 구축을 위해 투입된 자본은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생태적 관점에서도 부패한 자본이 판치는 노동현장을 고발하는 실천 정신이 돋보인다.
*용어 설명
감액전표할인 : 일용 노무자의 일당을 현금으로 당일 현금지급하지 않고, 보름 후 지급하기 위해 내어준 전표를 회사의 사무원이 노무자의 융통을 위해 당일 일정액을 제하고(이 사무원의 몫으로) 현금으로 교환해 주는 것.
웃개 : 공사 일정이 촉박한 상황에서 시공사가 정한 할당량을 인부들이 목표달성하면 일당보다 센 노임을 지급하는 작업
맘보 : 하루 일이 끝나면 받게되는 전표교환증
함바 : 객지에서 온 일용 노동자들이 현장에서 임시로 머무는 숙박소로 시설이 형편없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