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의 변증법

헤겔 Hegel 2007. 6. 29. 14:02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헤겔의 변증법이란 무엇인가?  <대논리학>과 <엔치클로페디>에 가기 전까지, 즉 <정신현상학>이 처음 출판된 1807년의 청년 헤겔에게 변증법은 우선 정신이 역사로 외화되어 가는 운동의  형태로 제시된다. 변증법(dialectic)이란 용어는 플라톤의 대화편에서도 이미 보이지만, 아리스토렐레스가 마련한 일반논리학에 선험적 변증론을 도입시킴으로써, 논리학을 현상과 조응해 생동하는 학으로 만든 것은, 비단 김나지움의 교장시절 15세 미만 학생들의 논리 교육을 위해 교재를 고안했던 헤겔 뿐만 아니라 칸트였다. 그러나 이런 단계적 교양의 발전(페달로그)을 위해 논리학을 재정비한 헤겔은 <정신현상학>에서는 의식의 발생과 운동을 설명하는 현상학적 설명과 이 의식이 발현된 장인 역사에서 변증법적 운동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대표적 사례는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에서 드러난다. 비유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이 변증법은 싸움의 양상을 띤다. 원래 있는 상태로의 의식(an sich)은 아직은 자신을 스스로 대상화( für sich)시킬 수 없는 상태이지만, 고양된 정신으로 갈 수 있는 가능성은 잠재해 있다. 그러나 이 가능성은 결코 저절로 실현될 수 없으며, 자신의 의식에 스스로 대적함으로써만 그 단초를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과 겨루는 힘겨운 싸움은 소모적이다. 이것이 계속 싸움으로만 지속된다면, 그것은 정신의 본래 궤도에서 어긋나는 것이다. 이제는 의식과 자기 의식의 대립을 화해시켜 주는 매개의 기능이 필요하며, 이 기능에 의해 비로서 이성의 자기 인식에 도달한다. 그런데 청년 헤겔에게 이 자기 인식의 도달은 완결된 것이 아니었다. 의식의 변증법에서 종점에 도달했다고 하는 의식은 일단 의심의 대상이다. 정신의 모든 과정을 섭렵해 가는 사유의 여정은 무한하지만, 그렇다고 무한에 정신을 온전히 맡길 수는 없다. 삶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 제한적 의미가 없다면 회의주의의 심연에 빠지고 말 것이다. 즉, 1차원인 선분을 구성하는 점들과 2차원인 평면을 구성하는 점들이 무한히 일대일 대응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선분과 평면의 구분이 사라진다는 역설에 도달한 칸토어처럼 나갈 필요는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