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일 글을 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뭔가를 써야겠다는 동기나 글감이 떠오르지 않는 경우 무언가를 끄적인다는 건 허투른 말장난에 그치고 말 것이라는 염려가 앞선다. 하지만 필을 받아야 글이 나온다고 보는 것은 어떻게 보면 상당히 수동적인 글쓰기 태도다. 그런 느낌 내지 영감이 언제 올지 알 수 없고, 나날의 일상에 치여 산다는 변명으로 글을 쓴다는 행위는 점점 더 어색해 진다. 특히 논문에 가까운 에세이라도 쓸려면 관련 주제에 관한 충분한 사전 독서량이 전제되어야 하고, 이런 밑천이 있어야 글을 쓸 추진력도 생긴다. 하지만 반응형 글쓰기가 되지 않으려면 결국은 자신의 생각이 무엇인지가 관건이다. 남의 생각에 휩쓸려 정리하기에만도 급급하거나 그냥 전달하는데 그치고 마는 것은 리포트와 다름없다. 그렇다고 무작정 자신의 생각만 주장하는 것은 맹목적이다. 글쓰기는 자신의 생각, 특정 주제에 관한 생각을 어떻게 전개하고 드러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글쓰는 이의 온갖 지식과 경험이 산발적으로 동원된다. 흔히 술꾼들이 술을 마시며 대화를 즐기는 이유 중 하나가 취기에 안주처럼 떠오른 추억들의 소비이듯이, 글을 쓰면서 잊혔던 기억이나 새로운 발견이 있기도 하다.
티스토리의 글쓰기 챌린저 이벤트는 이러저런 류의 유행성 행사의 하나로 보이기도 하지만 나한테는 글쓰기라는 아주 흔해빠진, 그럼에도 고전적인 행위이기도 한 일을 마라톤처럼 완주해보고 싶은 바램을 일으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