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극장영화를, 그리고 처음으로 독일 극장에서 자막없는 독일어 더빙으로 봤다. 더빙의 기술이 완벽해서 독일영화로 보일 정도지만 거의 알아들을 수 없었다. 하지만 내용전개로 볼 때 1편의 이야기 선상에서 새로운 서사를 발굴하고 일부 중요 인물들도 재등장하지만 이들은 죽는다. 속편과 전작의 시간차로 봐서도 노감독의 3편이 나오긴 힘들 것이다.
역모를 모티브로 하는 1편에 이어 2편도 역모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격투장면도 화려하지만 1편 시작에서 게르만족과 로마군의 전투에서 보여 줬던 웅장한 면모는 기대하기 힘들다. 그리고 전편에 나왔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딸이 후편에서 막시무스의 연인으로 그려지고 그 아들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드러나는 것은, 역사적 사실과 무관한 것은 둘째치고 전작과의 관련성이 다소 부족해 보인다.
댄젤 워싱톤은 이름값답게 역사적 인물에 걸맞은 중요 배역으로 그려지지만, 갑작스럽게 흉악범처럼 돌변하는 것도 좀 의아하다. 결론적으로 전작을 넘어서는 속편은 없다는 영화사의 오랜 불문율을 이 영화도 넘어서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로마사에서 빈번했던 모반의 실체와 실상을 생생하게 그려보려는 흔적은 역력하다.
전편을 극장에서 본게 20년 이상 지났듯이, 그 사이 세월의 변화는 공주와 원로원 의원에게서 여실히 드러나지만, 연기가 연로해진 것은 아니다. 이들의 투혼에 찬 연기가 이 영화의 백미다.
*하루가 지나고 어제 함께 영화를 본 동료 3명에게 물어보니 전편만 못하다, 1편은 못봤지만 흥미롭다, 잔인하다는 평가였다. 영화는 직장에서 단체 관람을 한 것이었는데, 상영관 하나를 전세내서 상영 한 시간 전에 극장 홀에서 파티 분위기의 술판이 열렸고 영화를 보러 들어갈 때 잔 포도주와 병맥주를 들고 들어가는 이들도 상당수였다. 한 동료는 포도주 2병을 마시고 상영시간 내내 잠들었다고 한다.
Search
'영화 Film'에 해당되는 글 35건
- 2024.11.19 글래디에이터2
- 2021.02.17 솔라리스 중
- 2019.08.11 기생충 : 계급투쟁의 새 역사 Parasiten: eine neue Geschichte des Klassenkampfes.
- 2019.07.16 조작된 세계 : 부러진 화살(2012) Manipulierte Welt : Der abgebroche Pheil(2012)
- 2018.08.15 공작 : 물밑 작전
일단 충분히 칸느의 황금종료잎을 받을 만한 작품성과 재미, 생각거리를 주는 영화다. 고전적인 계급투쟁의 양상에 하위계급간의 알력과 협력, 충돌이 보이지만 여전히 봉준호의 영화는 희망의 가상을 놓치지 않는다. 희망이란 실현을 기약할 수 없는 계획이라 여린 실루엣같은 신비로 남아 있어야 하기 때문인가? 흥미로운 점은 비록 비유의 형태로 짧게 나오긴 했으나 그의 영화에서 처음으로 북조선의 현상황에 관한 시사점이 노출된 점이다. 비아냥의 형태로 그려지긴 했지만, 북조선이야말로 또다른 형태의 계급투쟁이 필요한 국가다. 그것이 꼭 폭력으로 해결되지 않을 수 있음은 영국 의회의 역사는 보여준다. 그들의 국가체제와 국가(國歌)는 영도자를 칭송하지만 의회는 칼과 도끼, 방패로 깡깡거리는 말의 전장터다. 북조선이 정치적인 모범으로 삼아야할 국가는 영국같은 입헌민주제일지도 모른다. 언젠가 봉준호 감독이 이에 관한 영화도 만들어 보면 좋겠다.
Es ist ein Film, der Arbeit, Spaß und Gedanken genug gibt, um das goldene Blatt von Cannes zu erhalten. Obwohl der Kampf, die Zusammenarbeit und der Konflikt zwischen den unteren Klassen im klassischen Klassenkampf zu sehen sind, entgeht Bong Joon-hos Film nicht der Vorstellung von Hoffnung. Ist Hoffnung ein Plan, der nicht versprochen werden kann? Es muss eine mysteriöse Silhouette bleiben. Interessanterweise ist es das erste Mal in seinem Film, dass die Auswirkungen des aktuellen Status von Nordkorea aufgedeckt werden, obwohl dies kurz in Form einer Parabel vorliegt. Obwohl Nordkorea in Form von Bianan dargestellt wird, ist es ein Land, das eine andere Form des Klassenkampfs benötigt. Die Geschichte des britischen Parlaments zeigt, dass es nicht unbedingt gewaltsam gelöst werden muss. Ihr Staatssystem und ihr Staat bewundern den Führer, aber das Parlament ist ein Schlachtfeld von Pferden, die mit Schwertern, Äxten und Schilden gequält werden. Das Land, in dem Nordkorea ein politisches Beispiel sein sollte, kann eine konstitutionelle Demokratie wie Großbritannien sein. Ich hoffe, dass Bong Joon-ho eines Tages einen Film darüber drehen wird.
그리 오래 됐다고 할 수도 없는 사건을 다룬 정지용 감독의 놀라운 영화이다. 당시 이 사건을 보고 사법부가 뭔가 구리다는 느낌이 있었는데, 사법부의 법의 사유화, 법적 독재를 영화는 통쾌하게 폭로한다.
Der Film des Direktors Zieyoung Jung wo eine nicht alter Kriminalsache gesehen wird, ist bunderbar. Damals wurde die Sache so zweifel ausgesehen, befriedigend der Film ausdeckt den Privatgebrauch der gerichtliche Organisation, die Diktatur des Rechts.
2007.1.16.
법의 권위는 어디서 나오는가? 이 질문을 좀더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경해야 한다. 법적 정당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왜냐하면, 정당한 법에 대해서 권위를 인정해 주는 것은 최소한 상식에 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질문에 대해서, 아마도 칸트를 따른다면, 도덕의 인식근거인 법을 따르려는 준칙의지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답변할 것이다. 이 준칙의지의 토대는 자유인데, 자유는 도덕의 존재근거이다. 이 준칙의지는 자신의 취향이나 경향의 편협성에 제압당하지 않는 보편화 가능성을 충족시켜야 한다. 즉 나의 준칙은 나의 욕구에 희생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확대가능한 원칙이어야 한다.
법철학사에서 자연법 이론가로 분류되는 칸트의 정언명령으로 법을 이해하는 것은, 법실증주의가 만연된 현대사회에서 이상적인 법치주의, 혹은 법과 윤리를 구분하지 못하는 도덕적 법치주의의 공상으로 치부되기 쉽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실의 욕구에 매몰되는 법은 아무리 법실증주의가 법의 효력과 명목성만에 주목한다고 하더라도, 법적 정당성의 실종을 암암리에 묵인하는 것이며, 이는 법 외의 권위를 요구하는 현상을 초래한다. 영화 '대부'의 첫장면에서 정당하지 못한 사법부의 판결에 불복해 시실리안 갱단에게 해결을 부탁하는 경우나, 아직 해직의 사유가 불분명한 한 해직 교수의 고법 부장 판사 석궁 피습이 그런 현상의 일례를 보여준다. 후자의 경우, 결과적으로 그의 행동은 중대 범죄이며, 이런 결과의 만행이 궁극적으로 동기 자체도 불순하게 볼 근거가 되지만, 전반적으로 확산된 사법부에 대한 골깊은 불신을 이번 사건에서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현직 대법원장의 변호사 시절 수임료 탈세 혐의를 비롯해 하나의 전통으로 자리잡은 전관예우, 즉 변호사로 개업해 법원내부에 개입하는 전직 판사들의 부적절한 처사 등으로 신뢰가 추락하는 법원으로서는 이 사건이 국면전화의 계기로 받아들여질지 모르나, 이것이 절차가 생략된 처형으로 후세인에게 일고 있는 일말의 숭고함을 사법부에게도 돌려야 한다며 분개한다면 착잡한 일이다.
석궁 공격의 가해자 김명호 전교수의 재임용탈락에 대한 95년~97년 사이의 민사소송 일지를 보면, 3개 법원(지법, 고법, 대법)은 학교 정관에 근거해 재임용 절차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즉 김교수가 본고사 수학 문제의 오류를 지적한 사실(95/01/16)과 이에 대해 학교측이 보복을 하기 위해 재임용에 탈락시켰다(96/02/29)는 주장 사이에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 없다고 보고, 학교측이 전횡으로 행사할 수 있는 인사권에 손을 들어준 것이다. 국내 수학계는 물론이고 국제수학, 과학계에도 반향을 일으킨 수학문제 논란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냉정하게 사랍학교법의 틀내에서 사안을 본 것이다. 그러나 2003년 헌재의 구사랍학교법 53조 2의 3항(대학교육기관의 교원은 당해 학교법인의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기간을 정하여 임면할 수 있다)에 대한 헌법불합치 판정은 부당한 재임용 거부에 대한 구제절차가 사립학교법에 전무함을 보여준다. 이 판결 이후 재임용에 탈락된 교수가 최초로 구제되고(04/4/22) 재임용시 재심기회를 부여하는 사립학교법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04/12/29). 보수적인 법의 특성상 법이 사회의 변화에 대한 열망에 더디게 반응한 것이다. 이렇게 법체계는 김명호 전 교수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상황으로 전환됐지만, 2005년 김전교수가 다시 제기한 서울지방법원의 교수지위확인 소송이 또 기각되면서 극단적 방법으로 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 소송을 맡은 재판부의 판결문은 학자로서의 자질과 양심은 인정되나 교육자로서의 자질을 문제삼을 수 있는 김명호 전교수의 기행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법이 과연 인격적 자질이라는 윤리적 문제를 두고 논란중인 재임용 절차에 대한 시비를 판단할 수 있는가? 만약 김명호 전교수의 교수시절 언행과 행적이 대학 구성원이 받아들이기 힘들 정도로 비정상적이었음이 사실이라고 해도, 법의 판단 기준이 사립학교법 개정 이전에는 구사랍학교법 틀내에서 작동하고 있었음은 인정해야 한다. 개정 이후 인격적 자질 운운은 문제의 본말을 전도한 것이다.
그렇다면 재판의 결과는 부당한 것인가? 이 부당한 결과에 대해서 저항하지 않는 것은 용기없는 행동인가? 비록 재판의 결과가 원고에게 부당하게 인식될지라도, 또한 법조문의 내용상 드러나는 사태파악에 문제점이 발견될지라도, 판단을 위임한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하는 않는 실력행사는 그 자체가 위법이다.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따라 이미 결정된 판결은 다시 심의하지 않는 것이 법의 특성이라 해도, 부당한 판결에 대해선 번복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원고가 할 일이 아니라 다시 법원에서 할 일이다. 그렇다고 소송과 관련된 모든 검토사항을 법원의 심리에만 맡겨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법적 심리 과정의 투명성과 근거성이 빈약하여 법적 신뢰 지수가 떨어지는 현상이 지속된다면, 위임된 판단은 점차로 본분에 맞는 권력을 상실할 것이다.
개인과 개인, 개인과 조직, 조직과 조직이 인격적 관계에 기대할 여지가 없을 때 이들의 관계는 법적 관계로 돌변한다. 이러한 법적 관계는 인격관계의 붕괴에 직면해 취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이 되어야 하는데, 법이 이런 역할에 실패한다면 법의 존재는 유명무실해 진다. 물론 법이 사회의 모든 문제를 명쾌하게 해명하는 처방일 수는 벗으나 법이 제 역할을 못할 때 일어나는 법 외의 처방은 위험한 현상이다. 법의 권위가 법원 밖에서 흔들리는 이 상황은 법이 충실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 결과로 볼 수 없는 현상임에 분명하다.
기대한 만큼 정교하게 만들어진 영화다. 특수한 남북관계의 긴장 국면을 첩보물로 결합시키는 것이 씁쓸한 감이 있지만, 단지 남북관계를 이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숭배시되는 백두혈통의 그늘에서 외화벌이라는 임무에 충실하면서도 관계를 진지하게 발전시키고자 하는 대외사업 차장의 존재는 북조선에 아직 희망이 있다는 암시를 주고 있다. 수령체제에 복종하고 여기서 나온 떡고물로 일신을 보장받는 것으로 임무를 충실히 하는 보위부 과장이나 대북강경 일색의 정보 조직을 지키고자 북풍공작을 일삼는 자들은 별반 다를게 없다. 고착화된 현실로부터 이익을 지키고자 하는 자들이야말로 이 땅에서 '보수'라 칭함받는 무리들이다. 고정불변의 현실을 바꾸고자 하는 이들이야말로 모험가들이고 선구자다.
특수분장에 6억원이 들었다는 김정일의 호화 궁전과 대비되는 영변의 굶주린 인민들의 참상은 영화의 방향을 보여준다. 이 영화에서 이중의 의미로 그려지는 공작은 또다른 국면을 맞이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