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핑카드 정신현상학 영문대조 번역3

헤겔 Hegel 2021. 1. 31. 09:34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92. An dem reinen Sein aber, welches das Wesen dieser Gewißheit ausmacht, und welches sie als ihre Wahrheit aussagt, spielt, wenn wir zusehen, noch vieles andere beiher.

92. However, if we take a look at it, on the sidelines there is a good deal more in play in this pure being which constitutes the essence of this certainty and which declares it to be its truth.

92.그러나 우리가 눈여겨 본다면, 이러한 확실성의 본질을 이루고, 이것[확실성]의 진리를 주창하는 순수한 있음에는 그래도 관련된 다른 많은 것들이 작용한다.

 

Eine wirkliche sinnliche Gewißheit ist nicht nur diese reine Unmittelbarkeit, sondern ein Beispiel derselben.

An actual sense-certainty is not merely this pure immediacy but also an example of it.

하나의 실제적인 감각적 확실성은 이러한 순수한 직접성인 것만이 아니라 이것의[직접성]의 사례이다. 

 

Unter den unzähligen dabei vorkommenden Unterschieden finden wir allenthalben die Hauptverschiedenheit, daß nämlich in ihr sogleich aus dem reinen Sein die beiden schon genannten Diesen, ein Dieser als Ich, und ein Dieses als Gegenstand herausfallen.

Among all the countless distinctions thereby popping up, we find in every case the chief distinction, namely, that in that certainty both of the already noted “this’s,” namely, a this as an I and a this as an object, precipitates all at once out of pure being.

거기에 무수히 나타나는 차이들 중에서 우리가 어디서나 발견하는 주요한 차별성은, 그러한 확실성에서 두가지 이미 명명한 나로서의 이것과 대상으로서의 이것이 순수한 있음으로부터 즉시 벗어난다는 것이다.

 

Reflektieren wir über diesen Unterschied, so ergibt sich, daß weder das eine noch das andere nur unmittelbar, in der sinnlichen Gewißheit ist, sondern zugleich als vermittelt; Ich habe die Gewißheit durch ein anderes, nämlich die Sache; und diese ist ebenso in der Gewißheit durch ein anderes, nämlich durch Ich.

If we reflect on this distinction, it turns out that neither the one nor the other exists merely immediately within sense-certainty; rather, both are mediated. I have certainty by virtue of an other, namely, the item, and this likewise exists within certainty by virtue of an other, namely, by virtue of the I.

이러한 차이를 우리가 반성해서 드러나는 바는, 둘중 어느 것도 감각적 확실성에서 직접적으로만 있지 않고 동시에 매개적이라는 것이다.  나는 다른 하나, 즉 사태를 통해서 확실성을 갖는다. 이것은 다른 하나, 즉 나를 통해서 성립하는 확실성과 마찬가지다. 

 

93. Diesen Unterschied des Wesens und des Beispiels, der Unmittelbarkeit und der Vermittlung, machen nicht nur wir, sondern wir finden ihn an der sinnlichen Gewißheit selbst; und in der Form, wie er an ihr ist, nicht wie wir ihn soeben bestimmten, ist er aufzunehmen.

93.It not only we who make this distinction of essence and example, of immediacy and mediation. Rather, it is that we find this distinction in sense-certainty itself, and it is to be taken up in the form it has in sense-certainty and not in the way we have just determined it to be. 

93. 본질과 사례의, 직접성과 매개의 차이를 우리가 단지 만드는 것만이 아니라 이러한 차이를 우리는 감각적 확실성 자체에서 발견한다. 그리고 우리가 차이를 다만 규정하는 형식이 아닌, 차이가 확실성에 있는 형식에 맞춰 차이는 수용된다. 

 

Es ist in ihr eines als das einfache unmittelbar seiende, oder als das Wesen gesetzt, der Gegenstand; das andere aber, als das unwesentliche und vermittelte, welches darin nicht an sich, sondern durch ein anderes ist, Ich, ein Wissen, das den Gegenstand nur darum weiß, weil er ist, und das sein oder auch nicht sein kann.

It is posited in sense-certainty as the simply, immediately existent, that is, as the essence, the object. However, it is posited as what is other than the unessential and the mediated, which does not exist in itself in sense-certainty but which instead exists by virtue of an other, the I, a knowing that knows the object merely for the reason that the object is and is a knowing which itself can just as well exist as not exist.

감각적 확실성에 단순히 직접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있거나 본질, 대상이 있다. 그러나 다른 것, 비본질적이고 매개적인 것은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다른 것을 통해서, 나를 통해서 있다. 대상이 있음으로써 대상을 아는 지식은 가능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Der Gegenstand aber ist, das Wahre und das Wesen; er ist, gleichgültig dagegen, ob er gewußt wird oder nicht; er bleibt, wenn er auch nicht gewußt wird; das Wissen aber ist nicht, wenn nicht der Gegenstand ist.

However, the object is; it is the truth and the essence. The object is indifferent as to whether it is known or not. It persists even when it is not known, but knowledge does not exist if the object does not exist.

그러나 대상은 참이고 본질이다. 대상이 알려질지 아닐지에 대해서 대상은 무관하다. 대상이 알려지지 않더라도 대상은 남아있다. 그러나 지식은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존재할 수 없다. 

 

94. Der Gegenstand ist also zu betrachten, ob er in der Tat, in der sinnlichen Gewißheit selbst, als solches Wesen ist, für welches er von ihr ausgegeben wird; ob dieser sein Begriff, Wesen zu sein, dem entspricht, wie er in ihr vorhanden ist.

94. The object is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whether, within sense-certainty itself, it is in fact the kind of essence which sense-certainty passes it off as being. That is, it is to be considered as to whether this, its concept, which is to be the essence, corresponds to the way it is present within that certainty.

94.따라서 실제로 감각적 확실성 자체 내에서 대상이 그러한 본질인지 검토되어야 한다. 이 본질을 위해서 대상은 감각적 확실성에 의해 있게된 것이다. 즉  본질이 되는 것이 이러한 대상의 개념인지 검토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대상이 감각적 확실성 내에 현존하는 방식에 대응한다. 

 

Wir haben zu dem Ende nicht über ihn zu reflektieren und nachzudenken, was er in Wahrheit sein möchte, sondern ihn nur zu betrachten, wie ihn die sinnliche Gewißheit an ihr hat.

To that end, we need not reflect on the object and to mull over what it might be in truth; we merely need to consider it as sense-certainty has it on hand in sense-certainty itself.

결국 우리는 대상에 관해서, 그것이 진리 안에서 무엇이 되고자 하는지 반성할 수도 숙고할 수는 없고, 감각적 확실성이 자체내에서 대상을 어떻게 취하고 있는지 대상을 검토할 수 있을 따름이다.  

반응형

핑카드 정신현상학 영문대조 번역2 :

헤겔 Hegel 2021. 1. 30. 21:16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Sie erscheint außerdem als die wahrhafteste; denn sie hat von dem Gegenstande noch nichts weggelassen, sondern ihn in seiner ganzen Vollständigkeit vor sich.

In addition, it appears as the most true; for it has not omitted anything from its object; rather, it has its object in its complete entirety before itself.

또한 그것은 참된 것으로 나타는데, 그것의 대상에 무엇인가를 빠뜨리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것으로 이 대상을 내어 놓는다. 

 

Diese Gewißheit aber gibt in der Tat sich selbst für die abstrakteste und ärmste Wahrheit aus. Sie sagt von dem, was sie weiß, nur dies aus: es ist; und ihre Wahrheit enthält allein das Sein der Sache; das Bewußtsein seinerseits ist in dieser Gewißheit nur als reines Ich; oder Ich bin darin nur als reiner Dieser, und der Gegenstand ebenso nur als reines Dieses.

However, this certainty in fact yields the most abstract and the very poorest truth. It articulates what it knows as this: It is; and its truth merely contains the being of the item. For its part, consciousness only exists in this certainty as the pure I; or, within that certainty, the I exists merely as a pure this, and the object likewise exists merely as a pure this.

그러나 이 확실성은 실제로 그 자체로는 가장 추상적이고 가장 초라한 진리를 내어 준다. 그것이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 관해 알려주는 것이란 그저 있다라는 것일 뿐이다. 즉 그것의 진리는 사태의 존재만을 포함한다. 의식은 그 자신으로서는 이러한 확실성에서 순수한 나 일뿐이다. 또는 거기서 나는 순수한 이것으로서만, 그리고 마찬가지로 대상은 순수한 이것으로서만 있다. 

 

 Ich, dieser, bin dieser Sache nicht darum gewiß, weil Ich als Bewußtsein hiebei mich entwickelte und mannigfaltig den Gedanken bewegte.

 I, as This, am certain of this item not because I, as consciousness, have thereby set myself into development and have variously set my thoughts into motion.

이러한 내가 이러한 사태를 확신하지 못하는 것은, 나는 의식로서의 나를 발전시켜서 다양한 생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Auch nicht darum, weil die Sache, deren ich gewiß bin, nach einer Menge unterschiedener Beschaffenheiten eine reiche Beziehung an ihr selbst, oder ein vielfaches Verhalten zu andern wäre.

It is also the case that I am certain of this item not for the reason that the item of which I am certain would exist in terms of a rich relation of diverse states in itself, or because it would be related in multifarious ways to others.

또한 내가 확신하는 사태가 일단의 차별적인 속성들에 의해 그 자신과 하나의 충만한 관계에, 또는 다른 것들과의 다양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Beides geht die Wahrheit der sinnlichen Gewißheit nichts an; weder Ich noch die Sache hat darin die Bedeutung einer mannigfaltigen Vermittlung; Ich nicht die Bedeutung eines mannigfaltigen Vorstellens oder Denkens, noch die Sache die Bedeutung mannigfaltiger Beschaffenheiten; sondern die Sache ist; und sie ist, nur weil sie ist; sie ist, dies ist dem sinnlichen Wissen das Wesentliche, und dieses reine Sein oder diese einfache Unmittelbarkeit macht ihre Wahrheit aus.

Both have nothing to do with the truth of sense-certainty; in that certainty, neither I nor the item mean “a manifold of mediation”; “I” does not mean “a manifold of diverse activities of representing and thinking,” nor does the item mean “a manifold of diverse states”; rather, the item is, and it is merely because it is. For sensecertainty this is what is essential, and this pure being, that is, this simple immediacy constitutes its truth. Likewise, as a relation, certainty is an immediate, pure relation.

이 둘은 감각적 확실성의 진리와 상관이 없다. 나도 사태도 그에 관해서 다중적인 매개의 의미를 갖지 않는다. 나는 다중적인 표상이나 사유를 의미하지 않으며 사태 또한 다중적인 속성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태는 있는 것인데, 바로 그러하기 때문에 있는 것이다. 이것은 감각적인 지식에게 본질적인 것이고, 이것의 진리는 이러한 순수한 있음 또는 이러한 단순한 직접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Ebenso ist die Gewißheit als Beziehung unmittelbare reine Beziehung; das Bewußtsein ist Ich, weiter nichts, ein reiner Dieser; der Einzelne weiß reines Dieses, oder das Einzelne.

Likewise, as a relation, certainty is an immediate, pure relation. Consciousness is I, nothing further, a pure this, and the individual knows a pure this, that is, he knows the individual.

마찬가지로 관계로서의 확실성은 직접적이며 순수한 관계이다. 의식은 나이며, 다른 어떤 것이 아니라 순수한 이것이다. 개별자는 순수한 이것 또는 개별자를 안다. 

 

반응형

건설 숙식 현장2

단상 Vorstelltung 2021. 1. 27. 10:42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숙식이 된다는 건설현장으로 처음 간 곳은 평택의 반도체공장 건설현장의 수장업체였다. 수장이란 칸막이 공사를 말하는데, 일반 현장의 칸막이 공사와 반도체 공장 건설현장의 칸막이 공사는 상당히 다른듯 하다. 일단 나는 당장 일을 해야했고, 숙식도 필요했기에 어느 토요일 오후 알바몬에서 나온 소개업체의 구인광고를 보고 업체 직원과 연락을 하고 담당소장, 팀장과 차례로 통화를 한 후 바로 그 다음주에 내려가기로 했는데, 통화의 주요 내용은 먼저 건설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해야 한다는 것과 10일 미만 근무시 소개비를 떼인다는 것이었다. 보통 겨울철에는 건설현장 일이 드문 편인데, 반도체 현장은 이와 상관이 없었고, 또한 초보자가 처음 이런 일을 하기엔 반도체 현장이 보다 수월한 편이다. 이 현장에서는 사실 하는 일이 없이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근태만 좋으면 환영받는다는 말이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이날 편의점에서 이런 통화를 하는 나를 보고 한 동문은 나에게 겁박을 줬다. 하루도 못버티고 도망쳐 올 것이라고. 그도 겨울에 이른바 노가다 라는 것, 얼어버린 땅에 볼트를 박는 힘겨운 경험을 한 적이 있어서 걱정을 해준 것인지도 모르나, 사실 더 신경 쓰이는 것은 숙소생활이었다. 군대도 아니고, 생판 모르는 사람들과 먹고 자며 지내는 것은 막연한 일이다. 

 

주말을 넘기고 바로 다음주 월요일에 중랑구에 있는 직업학교에서 기초안전교육을 받고 수요일에 평택으로 내려갔다. 기초안전교육은 오전 4시간 진행됐는데, 여기서 남는 것은 몸조심하라는 당부였다.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산업재해 국가인 한국에서 수치상 연간 매일 한 명 이상이 죽어나가는데, 그 주범 장소는 건설과 물류 현장이고, 주요 사건 유형은 추락과 끼임 사고다. 내가 7개월간 있던 평택 P2 현장에서 1명이 추락사했고, 3개월간 있던 이천 M16 현장에서 1명이 낙하물로 다리를 절단당했다. 대기업이 까다롭게 안전을 중시하는 1군 사업장에서도 이런 일이 벌어지는데 다른 현장은 더 말할것도 없을 것이다. 그날 안전교육에서 마지막 강사는 가급적 큰 현장에 가서 일하는 것이 안전상 초보자에게 좋을 것이라고 권했는데, 이 말은 일리가 있으면서도 또한 맹점이 있다. 큰 현장에서는 상시 안전감시단이 작동하고, 모든 공사는 사전 서류 허가에 따라 진행되지만 이것이 정말 안전을 위한 조치라기 보다는 안전해 보이기 위한 관료적 절차와 형식으로 끝나고 만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사고를 방지한다는 명분으로 일용노동자들에게 규정위반에 대한 경고나 퇴출의 위협방식을 쓰는 것은 이율배반이다. 정말 안전을 위해서라면 안전한 환경과 조건을 만들어 줘야 하고, 이것이 되지 않는다면 인력을 당장 투입시키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일이 먼저가 아니라 위험 차단이 먼저다. 물론 옛날에 비해, 그리고 대기업 원청의 현장이 다른 현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나은 안전 조치와 복지 조건을 마련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지만, 위험발생의 책임에서 면피하려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보이는 계도 방식 보다는 실질적으로 위험을 차단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일을 주는 사람들에게도 맞는 일이다.   

 

평택에서 업체의 안내 직원을 만나 숙소로 이동했다. 아주 오래된 빌라였는데 여기서 2명의 동기생들을 만났다. 한 명은 나보다 연상으로 식당을 경영하다 온 분이었고, 다른 한 명은 나보다 한두살 적은 친구였다. 인상들이 다들 좋았다. 업체 직원이 사주는 저녁을 먹고 숙소로 들어와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고 각자 방으로 들어갔다. 방 3개 짜리 빌라였는데, 각방을 쓰라는 배려는 아니었고, 다만 우리가 먼저 온 경우였다. 

반응형

Yebgeny Ivanovich Zamyatin, Bei Uns

문학 Literatur 2021. 1. 25. 10:26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Im 29. Jahrhundert nach Christus, eine einzige transparente Gesellschaft mit menschlichen Namen gezählt, die unter einem einzigen Reich einer Bevölkerung geführt wurde, die seit dem 200 jährigen Krieg auf 2/10 reduziert wurde. Velglichen mit der angenehmen düsteren coolen neuen Welt und der düsteren ernsten 1984, Atmosphäre vermischen sich poeitische Sätze und wissenschaftliches Denken. In diesem Reich wurde die Liebe auch durch Logik erobert. Eine gleichberechtigte Gesellschaft, die das für die Liebe wesentliche Gefühl der Eifersucht beseitigen kann, blockiert die Möglichkeit der Freiheit, aber das Bewusstsein der Freiheit als hartnäckiges Gesicht ist immer noch kriminalisiert und hat Potenzial. Dieses Werk, das erstmals 1924 als englischen Version veröffentlicht wurde, kann als zeitlich der erste Versuch von coolen neuen Welt(1932), 1984(1947) und dem Film Ireland bezeichnet werden. Diese Roman ist aber auch inhaltlich futuristischer als diese Fortsetzungen entwickelt. . Der asketische Aspekt, der die Zeit des Künstlers zu reflektieren scheint, ist jedoch veraltet.

 

In einem einzigen Reich, in dem man sich durch rosige Inspektion und Tageszeit mit jedem den man möchte, paaren kann, hat die dreieckige oder viereckige Beziehung kein Problem, das heiβt, sie kann kein Eifersucht hervorrufen. Aber nach der D-503 drinkt mit I-330 Alkoho der ist im Reich verboten, scheint menschliche Emotionen sichtbar.In einer zukünftigen logischen Gesellschaft, in der sogar die Liebe mathematisch kontrolliert wird, wird das Verbot von Alkohol und Nikotin übermäßig kontrolliert. Im Gegensatz dazu führt Huxley Soma, ein neurostabilisierendes Mittel, zusammen mit freier Liebe in die zukünftige Gesellschaft ein. Als ob die Erweiterung der menschlichen Wahrnehmung mit der Entwicklung von Drogen einhergeht.

 

In einem einzigen Reich werden Träume als Wahnsinn angesehen, und Seelen sind bereits ausgestorben und werden als Instinkte des Alters behandelt. Die Worte von Doktor S (einem anderen Liebhaber von I-330) auf der Seele erinnern uns an eine Szene aus Stanisław Rems "Solaris" (1961) und Tarkowskis gleichnamigen Filmen (Typhoon Whirlpool). Das Freak-Phänomen, das an dieser Raumstation auftritt, wird als Manifestation des Bewusstseins (Materialisierung) offenbart, die durch Hirnschäden durch radioaktives Material verursacht wird. Im einzigen Reich von Zamyatin ist dieser Teil eine dreidimensionale Welt, die von der Ebene überwunden werden muss Welt, und es ist immer noch richtig desinfiziert. Es ist ein Phänomen, das im Gehirn auftritt, das nicht ist. Laut D-503, der auch Raumschiff-Ingenieur und Mathematiker von Inzengral, dem unsichtbaren Raumschiff, ist, erklärte der Arzt das Problem der Seele, indem er es mit der Topologie verglich.

 

Als Mitglied der bolschewistischen Partei war dieses Werk des Autors, der die frühe Revolution leidenschaftlich unterstützte, aber später vom sowjetischen System enttäuscht war, ein repräsentatives Werk, das ihn als Reaktionär und Asylantrieb trieb.

 

서기 29세기, 200년 전쟁 이후 2/10로 감소된 인구의 단일제국 아래서 인간들의 이름이 번호로 명명된 단일체의 투명 사회. 유쾌하면서 음울한  <멋진 신세계>와 음울하면서 심각한 <1984>의 분위기와 비교해 보면 시적인 문장과 과학적 사유가 혼재되어 있다. 이 제국에서는 사랑도 논리로 정복되었다. 사랑에 필수적인 질투의 감정을 제거할 수 있는 평등사회는 자유의 가능성을 봉쇄하지만, 끈질긴 인간적인 면모로서의 자유의식은 여전히 범죄화되어 잠재되어 있다. 1924년에 영역본으로 먼저 출판된 이 작품은 시기적으로 <멋진 신세계>(1932), <1984>(1947), 그리고 영화 <아일랜드>의 효시라고 할 수 있지만 내용적으로도 이들 후작들에 비해 더욱 미래적인 소설로 전개된다. 하지만 작가의 당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 금욕주의적 면모는 구시대적이다.

 

장미빛 감찰과 시간율법표의 절차를 통해 원하는 상대 누구와도 짝짓기를 할 수 있는 단일제국에서 삼각관계나 사각관계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즉 질투를 유발할 수 있는 소지가 없지만 D-503은 제국에서 금지된 알코올을 I-330과 나눠 마신 후 인간적 감정을 드러낸다. 사랑마저 수학적으로 통제하는 미래의 논리사회에서 알코올과 니코틴을 금지하는 설정은 지나치게 통제적이다. 이에 비해 헉슬리는 자유연애와 함께 신경안정제인 소마를 미래사회에 도입한다. 인간에 대한 인식의 확장은 약물의 발전과도 병행한다는 듯이.  

 

단일제국에서 꿈은 정신이상으로 간주되며, 영혼은 이미 소멸된 것으로 옛시대의 본능 정도로 처리되는데, 영혼에 관한 의료국 의사 S(I-330의 또다른 연인)의 말은  스타니스와프 렘의 『솔라리스』(1961)와 타르코프스키의 동명의 영화 속 한 장면을 떠오르게 한다(태풍의 소용돌이). 이 우주정거장에서 일어나는 괴현상은 방사성 물질에 의한 뇌 손상으로 일어나는 의식의 현현(물질화)으로 드러나는데, 자먀찐의 단일제국에서 이 부분은 평면세계에 의해 극복되어야 할 3차원의 세계로서, 아직 제대로 소독되지 않은 뇌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투명 우주선 인쩨그랄의 조선기사이자 수학자이기도 한 D-503에게 맞춰서 의사는 영혼의 문제를 위상수학에 비유해 설명한 것이다. 

 

볼세비키 당원으로서 초기 혁명의 열렬한 지지자였지만 이후 소비에트 체제에 실망한 작가의 이 작품은 그를 반동이자 망명객으로 몰고 간 대표 저작이었다.

 

반응형

건설 숙식 현장1

단상 Vorstelltung 2021. 1. 24. 11:09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전날 전의 숙소에서 빼온 짐들 중에서 당장 필요한 것만 2개의 백팩으로 꾸려서 파견업체가 있는 사무실로 약속 시간보다 먼저 갔다. 너무 일찍 도착한 터라 바로 사무실로 들어가기 보다는 빵집에서 커피 한잔을 마시러 들어갔다. 밖에서 기다리기엔 아직 추운 날씨였다. 지금에도 그렇고 그때도 그랬고 시간을 보내기엔 루만의 책을 읽는 것만한 것이 없다. 시간에 얼추 맞춰 사무실에 가니 내가 제일 먼저 왔고, 차례로 세 사람이 더 왔다. 한 친구는 20대 후반으로 경상도 말투를 쓰는데 전기 분야에 상당한 관록이 있을듯한 인상이었지만, 업체 직원에게 어떤 분야의 일을 하게 될지 물었다가 포설일 것이라는 답변을 듣자 상당히 곤혹스러워 했다. 어떤 사람의 첫인상과 이후 겪게될 인상은 쉽게 어긋날 수 있다는 것은 비단 이 친구만은 아닐 것이다. 이와 비슷한 또래의 한 명은 경험도 있고 일을 어느 정도 할 것처럼 보였지만, 이후 나와 함께 혈압측정 때문에 곤욕을 치뤘다. 또다른 사람은 30대 후반으로 체격이 건장했고 경력도 상당히 있을 것으로 보였다.  업체 직원은 아직 한 사람이 안왔다고 하면서 좀더 기다려 달라고 했는데, 이 마지막 인물은 거의 1시간이 지나서야 왔다. 약속 장소를 현장 안에 있는 사무실로 알고 거기로 갔다는 것이었다. 멀리 남해의 전통적 해안도시에서 왔다고 하는데, 말투나 생김새, 옷차림이 정말 막 어촌에서 올라온 20대로 보였지만, 나중에 알고보니 이곳의 현장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청년이었다. 다소 이해하기 힘들면서 웃음을 자아내는 괴팍한 개성을 가진 사람이었는데, 이 인상은 줄곧 유지됐다. 

 

2대의 차로 나눠타서 숙소가 있는 동네로 이동했다. 다세대 주택의 4층에 있었는데, 가족같은 분위기가 연상되는 따뜻한 기운이 풍겼고, 우악스럽게 생긴 거구의 팀장은 책임감있으면서도 거친 인물로 보였다. 잠깐 앉아서 대화를 나눈 후, 숙소에 있던 기존 팀원들과 신참자들은 팀장을 따라 고기집으로 갔다.  다음날 일을 나갈테지만 고기를 굽는데 소주를 빠뜨리지 않는 것이, 확실히 전기팀은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을 하다가 이곳에 온 사람들인지 알 수 없는 분위기에서 긴장과 경계의식을 풀어주는 이런 술자리가 필요하기도 하겠지만, 이런 자리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나중에 알게된다. 물론 이미 알고 있었다고 해도 쉽게 되는 일은 아니겠지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