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비평과 풍경

책들 Bücher 2010. 8. 23. 13:23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비평은 이론과는 다른 것이다. 그것은 이론과 실천 사이의 거리, 사유와 존재 사이의 거리에 대한 비판적 의식이다."

가라타니 고진, 『일본근대문학의 기원』박유하 역(도서출판 b, 2010, 초판1쇄), 한국어판서문 중, p.10.

[구니키다 돗포의 『잊을 수 없는 사람들』이라는 소설의 한 구절에 대해]
"여기에는 <풍경>이 고독하고 내면적인 상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인물은 자신과 상관없는 타인에 대해 <나니 남이니 하는 구별이 없다>고 말하는 식의 일체감을 느끼는데 달리 보자면 눈앞에 있는 타자에 대해서는 냉담하기 그지없다. 다시 말하면 주위의 외적인 것에 무관심한 <내적 인간inner man>에 의해 처음으로 풍경이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풍경은 오히려 <외부>를 보지 않는 자에 의해 발견된 것이다."

상동, p.37.
반응형

연어의 귀환처 : 『깊은 강』

책들 Bücher 2010. 8. 18. 18:05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내륙의 강줄기에서 태어난 연어들은 바다를 누비다가 다시 자신이 태어난 강줄기로 되돌아 와 산란하고 죽는다. 이 연어의 강줄기처럼, 인도의 갠지스 강은 인도 순례자들이 최후를 맞이하는 곳이다.  이 소설은 바라나시의 갠지스 강에 도달하기 위해 숨을 헐떡이며 사력을 다하는 인간들의 모습을 외국 관광객의 시선으로 보여준다. 인간이라는 극히 나약하면서도 악랄한 연체 동물에게 갠지스강은 모든 것을 정화시켜 주는 장소로, 화장터에서 한 줌 가루가 되어 강에 뿌려지기도 하고, 화장을 할 비용이 없어 그냥 버려진 시체들도 둥둥 떠다니는 강이다. 이런 강에서 사람들은 세속의 죄를 씻고 감격의 기도를 한다. 

미쓰코에 의해 소개되는 인물이지만 실지로는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인공이라 할 만한 오쓰는 엔도 슈샤코의 종교관을 대변하는 인물이다. 카톨릭에서 시작해 세계종교를 포괄하는 종교관은 일본 특유의 것이라가 보다는, 동아시아의 범신론에 가깝다. 동학도 유불선을 통합한 종교가 아닌가? 분석하고 가르고 구분짓는 서양의 종교에 대해 아우르고 포용하고 해체하는 종교야말로 엔도 슈샤코의 종교관이며, 이는 서양의 잣대에서 이단일 수 밖에 없다. 오쓰가 끊임없이 수도회 교단으로부터 이단의 혐의를 받듯이.

이 책에서 보여주는 인도는 다중적이다. 분열증을 보이는 인간처럼, 저마다의 성장배경과 시대, 성격을 가진 인물들이 인도에 대해서 보이는 반응은 서로 다르다. 기구치, 누마다, 미쓰코는 점차로 갠지스 강의 마력에 빠져들디만, 젊은 산조 부부는 계속해서 인도를 천대하고 관찰만 한다. 7억의 인구가 계급과 종교로 갈가리 갈라져 반목하는, 변함없는 아수라장같은 곳에서 종교는 진정한 아편이 아닐까? 종교에 침윤된 국가의 변함없는 모습 속에서 비참과 괴로움은 갠지스 강처럼 유유히 계속 흘러가는 것은 아닐까?   

"대립이나 증오는 나라와 나라뿐만 아니라, 상이한 종교간에도 이어진다. 종교의 차이가 어제, 여성 수상의 죽음을 낳았다. 사람은 사랑보다는 증오에 의해 맺어진다. 인간의 연대는 사랑이 아니라 공통의 적을 만듦으로써 가능해진다. 어느 나라건 어느 정교건 오랫동안 그렇게 지속되어 왔다. 그 속에서 오쓰 같은 피에로가 양파[예수]의 원숭이 흉내를 내고, 결국은 쫓겨난다."(p.293)

마키아벨리가 주창한 비열한 음모와 처단으로 결판이 나는 세상에서 예수의 흉내를 내며 죽어가는 사람들을 화장터로 옮겨주는 이들의 행위가 또 하나의 허무함을 더할지 모른다. 그러나 비인간적인 냉대와 무관심이 팽배한 곳에서 인간이 인간 이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전례가 없다면 그건 허무함 정도가 아니라 '인간성'에 대한 배신일 것이다.

엔도 슈샤코, 『깊은 강』유숙자 역(민음사, 2009, 1판 4쇄)
반응형

Teurer Rat 귀한 충고

문학 Literatur 2010. 8. 16. 00:50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War der klumpen fett in der zimmerdeckenecke
vielleicht doch nicht

die kunst


방 천장 귀퉁이에 찌든 기름덩이가

어쩌면

예술아니었을까


und das auf offener bühne

entblößte geschlecht

nicht die befreiung?


공공연한 무대 위에서

드러낸 성기는

해방 아니었을까?


Und waren die, die applaudierten,

vielleicht nur geiselnehmer

ihrer selbst?


그리고 박수 치던 사람들은

어쩌면 단지 그들 자신의

인질범이었을까?


Nicht ratsam ist's, verfall

verfall zu nennen

vor der katastrophe


권할 만하지 않다, 몰락을

몰락이라 부른 것은

재앙이 오기도 전에


라이너 쿤체, 『보리수의 밤』 중.


반응형
반응형

Einst war der leumund
erholbar


예전에는 소문을

따라잡을 수 있었다


Ein mundgänger


입소문쟁이 하나를


Nun umrundet in sekunden er

die erde

         und fällt frümorgens,

nach druckerschwärze riechend,

auf die tische der welt


이제 그것은 몇 초 안에

지구를 한 바퀴 돌고

                   이른 아침이면 떨어진다

검정 인쇄잉크 냄새를 풍기며

온 세계의 식탁들 위로


Millionenzüngig leckt

die lippen sich

der rufmörder


수백만의 혀로

제 입술을 핥으며 입맛 다신다

평판의 살인자가


라이너 쿤체, 『보리수의 밤』 중.


반응형

Kinderheitserinnerung 어린시절의 기억

문학 Literatur 2010. 8. 5. 09:21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Wenn die schwalben sich zum abflug sammelten,
trennte zwischen den stromleitungsmasten
schwalbenstacheldracht
das dorf vom himmel

제비들이 떠나려고 모이면
두 전신주 사이에 걸린
제비철조망이 갈라놓았지
마을과 하늘을

Und die menschen waren
gefangene, verurteilt
zum winter

그러면 사람들은
죄수들이었다, 받은 벌은
겨울 형 刑

Zu telegrafendrähten
ohne gezwitscher

지저귐이 사라진
전봇줄 형


Zum leeren nest
in ihrer brust

그들 가슴속
빈 둥지 형


Wenn die schwalben sich sammelten
und mit ihren schwanz- und flügelspitzen
die grenze markierten

제비들이 모여
그 뾰족 꼬리 뽀족 날개로
경계를 표시할 때면


『보리수의 밤』 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