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 G.W.F. Hegel, Phänomenologie des Geistes, 아카데믹판 h.v. G.J.P.J. Bolland(Leiden A.H. Adriani, 1907)
A.Bewusstsein
III.Kraft und Verstand, Erscheinung und uebersinnliche Welt S.110-
Dieses wahrhafte Wesen der Dinge hat sich jetzt so bestimmt, dass es nicht unmittelbar für das Bewusstsein ist, sondern dass dieses ein mittelbares Verhältnis zu dem Inneren hat und als Verstand durch diese Mitte des Spiels der Kräfte in den wahren Hintergrund der Dinge blickt. Die Mitte, welche die beiden Extreme, den Verstand und das Innere, zusammenschließt, ist das entwickelte Sein der Kraft, das für den Verstand selbst nunmehr ein ‚Verschwinden‘ ist. Es heißt darum ‚Erscheinung‘. Denn Schein nennen wir das Sein, das unmittelbar an ihm ㅣ selbst ein Nichtsein ist ; es ist aber nicht nur ein Schein, sondern Erscheinung, ein ‚Ganzes‘ des Scheins. Dieses Ganze als Ganzes oder Allgemeines ist es was das ‚Innere‘ ausmacht, das ‚Spiel der Kräfte‘ als ‚Reflexion‘ desselben in sich selbst.
사물들의 이 참된 본질은 이제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그것은 의식에게 직접적으로 주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의식은 오히려 내부와 매개된 관계를 가지며, 그리고 의식은 오성으로서 이 힘들의 운동[사물들 사이의 힘의 작용과 반작용]이라는 중간 단계를 통해 사물들의 참된 배후를 들여다본다. 양 극단, 오성과 내면을 서로 결합시키는 중간은 힘의 전개된 존재이며, 이 존재는 이제 오성에게는 하나의 '소멸'이다. 그래서 이것을 '현상'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 자체에서 직접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우리는 가상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힘의 운동(힘들의 상호작용)은 오성과 사물의 내부를 연결하지만, 이 힘의 운동은 결국 사라지기에 덧없는 현상임. 오성은 현상을 통과하여 내면(본질)에 이름]. 하지만 그것은 단지 하나의 가상일 뿐만이 아니라 현상, 즉 가상의 '전체'이다. 이 전체로서의 전체 또는 보편이야말로 '내면'을 구성하는 것, 즉, '힘들의 작용'이 그 자체 안에서 자신을 반성하는 것이다[현상은 단순히 "눈앞에 보이는" 가상이 아니라, 다양한 현상들이 하나의 통합된 체계를 이루는 것. 이 현상 전체가 바로 사물의 Inneres(내면, 본질)을 이룸. 이 현상들의 체계는 힘들의 상호작용(Spiel der Kräfte)이며, 이 상호작용은 자기 자신을 반영(Reflexion)함. 즉 힘들이 단순히 외부로만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구조를 스스로 만들어냄)
상동 110-111
In ihm sind für das Bewusstsein auf gegenständliche Weise die Wesen der Wahrnehmung ‚so gesetzt‘, wie sie an sich sind, nämlich als unmittelbar in das Gegenteil ohne Ruhe und Sein sich verwandelnde Momente, das Eins unmittelbar in das Allgemeine, das Wesentliche unmittelbar in das Unwesentliche und umgekehrt. Dieses Spiel der Kräfte ist daher das entwickelte Negative ; aber die Wahrheit desselben ist das Positive, namlich das Allgemeine‘, der ‚ansichseiende‘ Gegenstand.
그 속에서 [지각의 결과로 도달한 "das Spiel der Kräfte" (힘들의 상호작용) 또는 Erscheinung], 의식에게 지각의 본질들이 대상적인 방식으로[운동 그 자체, 즉 변증법적 부정과 전환이 이제 대상처럼 보인다는 것. 이는 정신현상학 전체의 방법론적 전환을 뜻함. 더이상 '존재하는 것들'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들이 어떻게 모순 속에서 서로를 규정하고 소멸시키는지를 인식하는 것] 그것들이 그 자체로 어떤 것인지 그대로 수립된다. 즉 어떠한 고요함이나 고정된 존재도 없이 직접적으로 정반대의 것으로 변해버리는 계기들로서, 즉 하나[단독자]는 직접적으로 보편자로,
본질적인 것은 즉시 비본질적인 것으로, 그리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힘들의 운헁은 그러므로 전개된 부정이다. 그러나 그것의 진리는 긍정, 즉 보편자, 그 자체로 존재하는 대상이다[힘들의 운행은 끊임없는 상호작용과 전환 속에서 정체성을 잃고 사라지는 과정. 이 운동은 ‘자기의 폐기’, ‘지속적인 전환’이라는 점에서 부정인 것. 힘’의 개별적 양상들은 더 이상 자립적인 실재로 남아 있지 않으며, 모든 구체적인 것은 사라지고 그 과정만이 남음. 그러나 이 부정 속에서 나타나는 진정한 실재는 바로 '긍정적인 것', 즉 모든 순간적인 차이를 초월하여 유지되는, 그 모든 운동과 소멸을 관통하여 드러나는 보편자. 그것은 곧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an sich seiender Gegenstand)' — 다시 말해, 주체가 아닌 대상이면서, 동시에 더 이상 단순한 감각적 대상도 아닌 이성의 대상인 것].
상동 111
Das ‚Sein‘ desselben ‚für das‘ Bewusstsein ist vermittelt durch die Bewegung der ‚Erscheinung‘, worin das ‚Sein der Wahrnehmung‘ und das Sinnlichgegenständliche überhaupt nur negative Bedeutung hat, das Bewusstsein also daraus sich in sich als in das Wahre reflektiert, aber als Bewusstsein wieder dieses Wahre zum gegenständlichen ‚Inneren‘ macht und diese Reflexion der Dinge von seiner Reflexion in sich selbst unterscheidet, -wie ihm die vermittelnde Bewegung ebenso noch eine gegenständliche ist.
그 존재[대상의 존재]는 의식에 대해 '현상'의 운동을 통해 매개된다[의식은 이제 감각적 대상이나 지각된 대상을 단순한 실재로 받아들이지 않음. 그것들은 ‘현상’이며 그 현상은 지속적으로 소멸하고 반전되는 운동, 즉 부정의 운동이자 힘들의 놀이'로 들어남]. 여기서 '지각의 존재'와 감각적 대상 일반은 단지 부정적인 의미만을 가진다. 그래서 의식은 이로부터 자신을 참된 것으로서 자기 안에서 반성하지만, 동시에 의식으로서 이 참된 것을 [대상화된 외부와 마찬가지로] 다시 대상적인 '내부'로 만들고 사물의 이 반성과 자신의 자기 내적 반성을 구별한다. – 이처럼 매개된 운동 역시 여전히 의식에게는 대상적인 것으로 남아 있다[의식은 자신의 내적 반성과, 현상의 외적 반성을 구분. 즉, 자기 자신이 진리를 드러낸다고 느끼지만, 여전히 그것을 자신 밖의 대상처럼 다루고 있는 것. 매개적 운동조차도 '아직은 대상적'으로 이해됨. 즉 의식은 아직 이 운동을 자기 자신의 본질로 받아들이지 못한 상태].
상동
Search
'2025/04'에 해당되는 글 3건
- 2025.04.28 정신현상학 강독 :
- 2025.04.16 동지와 적
- 2025.04.07 정신현상학 강독 : 오성, 힘의 개념적 소멸
이재명의 정치적 최대 숙적이자 장애물은 윤석열이었지만, 이 정치적 라이벌의 자업자득으로 이재명에게 대선가도가 활짝 열렸다. 적이 잠시 동지가 되는 순간이 역설처럼 찰라에 지나간 것인데, 물론 어느 측에서도 그것은 의도할 수 없었던, 즉 동맹이 성사될 수 없었던 사건이었다. 어느 누구에겐 최악의 실책이었고 다른 이에건 천금같은 기회였다. 새로운 정권의 성공을 기대한다.
텍스트 : G.W.F. Hegel, Phänomenologie des Geistes, 아카데믹판 h.v. G.J.P.J. Bolland(Leiden A.H. Adriani, 1907)
A.Bewusstsein
III.Kraft und Verstand, Erscheinung und uebersinnliche Welt S.104-
Hier sind diese beiden Seiten Momente der Kraft ; sie sind ebensowohl in einer Einheit, als diese Einheit, welche gegen die für sich seienden Extreme als die Mitte erscheint, sich immer in eben diese Extreme zersetzt, die erst dadurch sind. Die Bewegung, welche sich vorhin als das Sichselbstvernichten wiedersprechender Begriffe darstellte, hat also hier die ‚gegenständliche‘ Form und ist Bewegung der Kraft, als deren Resultat das Unbedingtallgemeine als ‚Ungegenständliches‘ oder als ‚Inneres‘ der Ding hervorgeht.
여기서 이 두 측면은 힘의 계기들이다. 그들은 하나의 통일 속에 있는 동시에, 이 통일 자체는 각각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려는 극단들에 대하여 하나의 중간처럼 드러난다. 그러나 이 중간은 끊임없이 바로 이 극단들로 분열되며, 바로 그 분열을 통해서만 그 극단들은 존재하게 된다. 앞서 모순된 개념들이 스스로를 소멸시키는 운동으로 나타났던 그 운동은, 이제 여기서 대상적인 형식을 취하게 되었고 힘의 운동으로 나타난다[힘의 운동이라는 객관적 형식으로 전환된 것. 즉 같은 구조지만 더 구체화된 현실적인 형태로 나타난 것]. 그리고 이 운동의 결과로서 무조건적 보편자는 더 이상 대상적인 것이 아니라 비대상적인 것 또는 사물의 내면으로 드러난다[이 보편자는 이제 더 이상 감각적으로 주어지는 대상이 아니라 사물의 ‘내면(Inneres)’, 즉 본질, 힘의 배후에 있는 원리로 등장한 것. 이것은 대상이 아니라 의식 속에서 개념으로 파악되는 원리, 철학적으로 말하면 이성의 대상임].
상동
Die Kraft ist, wie sie bestimmt worden, indem sie ㅣ als solche, oder als ‚in sich reflektiert‘ vorgestellt wird, die eine Seite ihres Begriffes, aber als ein substantiiertes Extrem, und zwar das unter der Bestimmtheit des Eins gesetzte ; hiermit ist das ‚Bestehen‘ der entfalteten Materien von ihr ausgeschlossen und ein Anderes‘ als sie.
힘은 앞서 규정된 대로, 그 자체로 또는 '자기 자신 안에 반영된 것'으로 파악될 때, 그 개념의 한 측면이다. 그러나 이 측면은 확증된 극단으로서, 더우기 하나라는 규정을 지닌 것으로 설정된다[자기 안에 수축된 힘이 실체화된 것, 독립된 항으로 드러난다는 것. 비유 : 양극을 가진 자석에서 한쪽 극이 자기 안으로 에너지를 응축하고 있는 상태]. 이로써 전개된 물질들의 존재는 그 힘(자기 내면화된 힘)으로부터 배제되며, 그것들은 힘과는 다른 것으로 설정된다[힘의 자기 내면화는 곧 대립항의 생성을 가져온다는 것. 즉 힘이 내면화되어 자기 동일성을 획득하는 순간,그로부터 ‘현상들’은 떨어져 나가 힘과는 구분되는 타자라는 또다른 항이 생기는 것].
상동 104-105
Indem es notwendig ist, dass ‚sie selbst‘ dieses ‚Bestehend‘ sei, oder dass sie sich ‚äussere‘, stellt sich ihre Äußerung so vor, dass ‚jenes Andere‘ zu ihr ‚hinzutritt‘ und sie sollicitiert ; aber in der Tat, indem sie ‚notwendig‘ sich äußert, hat sie dies, was als ein anderes Wesen gesetzt war, an ihr selbst. Es muss zurückgenommen werden, dass sie als ‚ein Eins‘ und ihr Wesen, sich zu äussern, als ein anderes zu ihr von außen Hinzutretendes gesetzt wurde : sie ist vielmehr selbst dieses allgemeine Medium des Bestehens der Momente als Materien, oder ‚sie hat sich geäussert‘, und das andere Sollicitierende sein sollte, ist sie vielmehr.
힘 자신이 바로 그 ‘존재하는 것’이 되어야 하며, 혹은 자신을 '외화'해야 할 필연성 때문에, 그 외화는 마치 그 ‘다른 것’이 외부에서 다가와 힘을 자극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힘이 필연적으로 자신을 외화할 때 그렇게 해서 외부에 있는 것처럼 보였던 것은
사실 힘 자체의 내면 속에 있는 것이다[힘이 외부에서 어떤 자극을 받아 움직인 것처럼 보이는 그 대상은 실은 힘 자체의 구성 요소임. 즉, 자기 내면의 필요성에 따라 외화가 일어나는 것]. 힘이 '하나’이자 그 외화하려는 본질을 외부에서 오는 어떤 다른 것으로 설정되었던 것은 철회되어야 한다. 오히려 힘은 자신이 바로 그 계기들이 이 물질들로서 존재하게 되는 보편적 매개체이다. 또는 힘은 스스로를 외화한 것이며, 힘을 자극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다른 것은 실은 힘 자신이었다[세계를 구성하는 원리는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변증법적 운동 속에서 상호 포함되며 전개된다는 것].
상동 105
Sie existiert also jetzt als das Medium der entfalteten Materien. Aber sie hat. gleich wesentlich die Form des Aufgehobenseins der bestehenden Materien, oder wesentlich ‚Eins‘ ; dies ‚Einssein‘ ist hiermit jetzt, da. ‚sie‘ gesetzt ist als das Medium von Materien, ‚ein Anderes als sie‘, und sie hat dieses ihr Wesen außer ihr. Indem sie aber notwendig dies sein muss, als was sie ‚noch nicht‘ gesetzt ist, so ‚tritt dieses Anderes hinzu‘ und sollicitiert sie zur Reflexion in sich selbst, oder hebt ihre Äußerung auf. In der Tat aber ist sie selbst dieses Insichreflectiertsein, oder dies Aufgehobensein der Äußerung : das Einssein verschwindet, wie es erschien, nämlich als ein Anderes ; sie ist es selbst, sie ist in sich zurückgedrängte Kraft.
힘은 이제 전개된 물질들의 매개체로 존재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은 존재하는 물질들의 소멸됨이라는 형식을 본질적으로 지니거나 본질적으로 '하나'이다. 이러한 '하나됨'은 힘이 물질들의 매개로 설정된 지금 그와는 다른 것이며, 힘은 자신의 본질을 자기 바깥에 가지게 된 것이다[힘의 두 가지 양상 : 첫번째로 힘은 전개된 물질들의 매개체로 존재, 즉 현상계(여러 다양한 물질들)의 기반이 되는 매우 구체적이고 다수적인 형태로 작동. 두번째로 힘은 모든 개별성의 소멸, 즉 '하나(Eins)’로의 환원이라는 추상적이고 내적인 통일성도 본질로 가지고 있음. 하지만 지금 이 순간, 힘이 물질들의 매개로 기능하면서, 그 하나됨은 힘의 외부에 있는 것처럼 된다. 즉, 힘은 자기 본질(Eins)을 스스로 바깥에 외화해버렸고, 따라서 자기 자신과 분리된 것처럼 느껴지는 상태에 이름]. 그러나 힘은 아직 설정되지 않은 것[힘이 자기 본질(Einssein)과 일치하지 않고, 외화된 상태로 존재하는]으로서 반드시 되어야만 하므로, 그 다른 것이 덧붙여지고, 그것을 자극하여 자기 자신 안으로의 반성으로 이끈다. 다시 말해 그것의 외화를 소멸시킨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자신이 바로 이 자기 안으로의 반성이거나 혹은 이 외화의 소멸이다. 즉 하나됨은 마치 외부에 있는 어떤 다른 것처럼 나타났지만 사라진다. 그것은 곧 자기 안으로 되돌아간 힘, 바로 자신이다[자기 자신을 외화하고, 그 외부를 통해 자기 자신으로 다시 돌아오는 운동].
상동
Das, was als Anderes auftritt und sie sowohl zur Äußerung als zur Rückkehr in sich selbst sollicitiert, ㅣ ist, wie sich unmittelbar ergibt, ‚selbst Kraft‘, denn das Andere zeigt sich ebensowohl als allgemeines Medium, wie als Eins und so dass jede dieser Gestalten zugleich nur als verschwindendes Moment auftritt. Die Kraft ist hiermit dadurch, dass ein Anderes für sie und sie für ein Anderes ist, überhaupt noch nicht aus ihrem Begriffe herausgetreten ; es sind aber zugleich zwei Kräfte vorhanden und der Begriff beider zwar derselbe, aber aus seiner Einheit in die Zweiheit hervorgegangen.
외부의 다른 것으로 나타나서 힘을 외화하게 하고 다시 자기 자신으로 돌아오게 자극하는 것은, 이는 곧바로 드러나듯, 그 자체가 힘이다. 왜냐하면 그 다른 존재는 일반적인 매개체이자 동시에 하나[일반적인 매개체는
앞서 말한 자기 외화된 힘, 그리고 Eins는 자기 자신으로 수렴된 내면적 통일체로서의 힘]로 나타나며, 이러한 각각의 모습은 동시에 사라지는 계기로 드러날 뿐이기 때문이다. 힘은, 다른 것이 자신을 위해 있고 자신도 다른 것을 위해 있는 이러한 관계 속에서도 아직 자기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았다[힘이 자신 외부에 어떤 타자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실제로는 여전히 자기 자신의 개념 안에서만 움직이고 있다는 것. 즉 이질적인 것처럼 보이는 외부조차 자기 개념 안에서 나온 자기 자신의 모습임]. 그러나 이제 두 개의 힘이 존재하게 되었고[하나의 힘이 자기 안에서 갈라지며 두 개의 독립된 힘으로 나타난다는 것. 이건 단순히 ‘하나가 둘이 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자기 안에서 ‘타자’를 만들어내는 자기 분화의 과정], 그 둘의 개념은 동일하지만, 하나의 개념이 둘로 나뉘어 나온 결과이다[개념은 동일. 즉 두 힘은 본질적으로 하나인 것. 하지만 그것이 현실화되는 과정에서 이원성(이중성)으로 나타남. 이것은 곧, 주체와 객체, 원인과 결과(?), 힘과 반작용 같은 이원성이 하나의 근원적인 개념에서 출발한다는 것].
상동 105-106
Statt dass der Gegensatz durchaus wesentlich nur Moment bliebe, scheint er sich durch die Entzweiung in ganz selbstständige Kräfte‘ der Herrschaft der Einheit entzogen zu haben ; was es mit dieser Selbstständigkeit für eine Bewandtnis hat, ist näher zu sehen. Zunächst tritt die zweite Kraft, als das Sollicitierende und zwar als allgemeines Medium seinem Inhalte nach gegen die auf, welche als sollicitiertr bestimmt ist ; indem aber jene wesentlich Abwechslung dieser beiden Momente und selbst Kraft ist, ist sie in der Tat gleichfalls ‚nur erst‘ allgemeines Medium ‚indem sie dazu sollicitiert wird‘, und ebenso auch nur negative Einheit, oder zum Zurückgehen der Kraft Sollicitierendes, dadurch, dass sie sollicitiert wird‘. Es verwandelt sich hiermit auch dieser Unterschied, der zwischen beiden stattfand, dass das eine das ‚Sollicitierende‘ sein sollte, in dieselbe Austauschung der Bestimmtheiten gegen einander.
대립은 본래 필연적으로 단지 하나의 계기로 남는 대신에[둘로 나뉜 것처럼 보이는 힘의 구분은 사실 전체 안의 한 순간, 한 측면일 뿐이어야 한다는 것], 지금 그것은 둘로 나뉘어 완전히 독립된 두 힘으로 되어 단일한 지배로부터 벗어난 것처럼 보인다[이제 두 힘은 서로 상호의존적이기보다는, 마치 각자가 자율적 실체인 것처럼 보이기 시작한다는 것인데, 이는 표면적 인식의 착각이며, 실제로는 여전히 하나의 전체 안의 변증법적 운동이라는 것], 이러한 독립성이 실제로 무엇인지 더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두 번째 힘은 자극을 주는 자로서, 그리고 그 내용상 보편적인 매개체[개별적이지 않고 보편적 작용의 장(場)]로서, 자극받는 힘에 대해 맞서는 방식으로 나타난다[이 둘의 관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동적, 즉 곧 역할이 바뀌게 되는데, 이것이 변증법적 운동]. 그러나 저 힘은 본질적으로 이 두 계기의 교대이며 힘 자체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단지 보편적 매개체로서 존재할 뿐이고, 그것도 자극을 받음으로써 그렇게 되는 것이다[자극자로서 기능할 때조차 그것은 외부의 자극(자기 외적 계기)에 의해 촉발된 것. 능동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 능동성 자체도 수동적 계기에서 비롯된다는 것]. 마찬가지로, 단지 부정적인 통일성, 즉 힘이 자기 자신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자극자일 뿐이며, 그조차도 자극을 받음으로써 그렇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자 사이에 존재했던 —즉 한쪽은 자극자, 다른 쪽은 피자극자라는 — 차이 역시, 이제는 서로의 규정을 교환하는 동일한 교대관계로 전환된다.
상동 106
Das Spiel der beiden Kräfte besteht hiermit in diesem entgegengesetzten Bestimmtsein beider, ihrem Füreinandersein in dieser Bestimmung und der absoluten unmittelbaren Verwechslung der Bestimmungen, einem Übergangen, wodurch allein diese Bestimmungen sind, in denen die Kräfte ‚selbstständig‘ ㅣaufzutreten scheinen. Das Sollicitierende ist z. B. als allgemeines Medium und hingegen das Sollicitierte als zurückgedrängte Kraft gesetzt ; aber jenes ist allgemeines Medium selbst nur dadurch, dass das andere zurückgedrängte Kraft ist, oder diese ist vielmehr das Sollicitierende für jenes und macht dasselbe erst zum Medium.
이로써 두 힘의 작용은 다음과 같은 것에 있다: 서로 반대되는 규정을 지닌 두 힘이, 이 규정 속에서 서로를 위한 존재로 머물며[두 힘이 단지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방식으로만 존재 가능하다], 그 규정들이 절대적으로 즉각적으로 서로 전도되는 데에 있으며, 이러한 전환을 통해서만 그 규정들이 존재하게 되고[정지된 상태로서가 아니라 끊임없는 상호 전환을 통해서만 어떤 ‘규정’도 있을 수 있다], 바로 그러한 규정들 속에서 그 힘들은 자립적인 것처럼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힘은 그 자체로는 실체가 아니며, 이러한 관계적 운동과 전환의 장 안에서만 자율적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일 뿐임]. 예컨대, 자극하는 힘은 일반적 매개로 설정되고, 반면 자극받는 쪽은 억눌린 힘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 일반적 매개는 다른 쪽이 억눌린 힘으로 존재함으로써만 그렇게 되는 것이며[매개로서의 기능은 독립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쪽의 억제 상태와의 관계 안에서만 가능], 오히려 그 억눌린 힘이야말로 그에 대한 자극자이며, 그로 인해 앞의 힘은 비로소 매개가 된다.
상동 106-107
Jene hat nur durch das Andere seine Bestimmtheit und ist sollicitierend nur insofern es vom anderen dazu sollicitiert wird, sollicitierend zu sein ; und es verliert ebenso unmittelbar diese ihm gegebene Bestimmheit, denn diese geht an das Andere über, oder vielmehr ist schon an dasselbe übergegangen. Das fremde die Kraft Sollicitierende tritt als allgemeines Medium auf, aber nur dadurch, dass es von ihr dazu sollicitiert worden ist, d. h. aber, ‚sie setzt‘ es so und ‚ist‘ vielmehr selbst wesentlich‘ allgemeines Medium ; sie setzt das Sollicitierende so, darum weil diese andere Bestimmung ‚ihr‘ wesentlich, d. h. weil ‚sie vielmehr sie selbst ist‘.
한쪽 힘은 다른 것에 의해 비로소 자기 규정을 가지며,
자극하는 자가 되는 것도 오직 다른 힘이 그것을 자극자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 한해서다. 그리고 그것이 즉시 그 부여된 규정을 상실하게 되는 것은, 그 규정이 다른 쪽으로 이전되었거나 오히려 이미 이전된 상태이기 때문이다[자극자라는 역할은 잠시 머무는 것이지 지속되지 않음. 즉 자극자와 피자극자의 역할은 순간적으로 교차]. 힘을 자극하는 외적인 것은 일반적인 매개체로 나타난다. 하지만 그것은 그 자신이 그로부터 자극을 받아 그렇게 되었을 뿐이다. 즉, 본래 그 힘이 상대를 그렇게 설정한 것이며, 본질적으로 자기가 바로 그 일반적 매개체이다. 그 힘은 자극하는 자를 그렇게 설정하지만, 그 이유는 그러한 ‘다른 규정’이 본래 자기 자신에게 본질적이라서, 즉 그 '다른 것'이 오히려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타자(der Andere)”는 사실상 ‘자기 자신’의 한 순간이라는 것. 자기와 타자의 경계가 근본적으로 모호함. 타자(다른 힘, 외부의 것)는 그 자체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설정한 것으로서, 자기의 한 표현일 뿐만].
상동 107
Zur Vervollständigung der Einsicht in den Begriff dieser Bewegung kann noch darauf aufmerksam gemacht werden, dass sich die Unterschiede selbst in einem gedoppelten Unterschiede zeigen, einmal‘ als Unterschiede ‚des Inhalts‘, indem das eine Extrem in sich reflektierte Kraft, das andere aber Medium der Materien ist, ‚das anderemal‘ als Unterschiede der ‚Form‘, indem das eine Sollicitierendes, das andere Sollicitiertes, jene tätig, dieses passiv ist. Nach dem Unterschiede des Inhalts ‚sind‘ sie überhaupt, oder für uns unterschieden ; nach dem Unterschiede der Form aber sind Sie selbstständig, in ihrer Beziehung sich von einander selbst abscheidend und entgegengesetzt.
이 운동의 개념에 대한 통찰을 완성하기 위해 주목할 점은, 그 차이들 자체가 이중의 차이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한번은 내용의 차이로서, 한쪽 극은 자기 안으로 반성된 힘이지만 다른 한쪽은 물질들의 매개체이다[하나는 ‘응축되고 통일된 내적 힘’, 다른 하나는 ‘분산된 외적 장(場)’ 같은 개념]. 다른 하나는 형식의 차이로, 하나는 자극하는 힘이고, 다른 하나는 자극받는 힘으로서, 전자는 능동적이고 후자는 수동적이다[이로써 힘의 개념이 단지 물리적이지 않고, 존재론적·논리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제시]. 내용상의 차이에 따르면 그 둘은 일반적인 것으로, 혹은 [인식 주체인] 우리에게는 구별된 것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형식상의 차이에 따르면 그들은 자립적인 존재들이며, 서로의 관계 속에서 자기 자신을 스스로 분리하고 대립적으로 존재한다[내용에 있어서는, 두 힘은 단지 다르게 보일 뿐이다. 즉 우리가 개념상으로 구분하는 것이지, 그것이 진정한 실체적 분열은 아님. 그러나 형식에 있어서는, 이 두 힘은 실제로 각자 자기 자신으로 서 있으며, 상호 관계 속에서 대립을 통해 구체화됨. 즉 내용적 차이는 지성의 구분에 가깝고, 형식적 차이는 존재론적 분열과 대립을 수반].
상동
Dass so die Extreme nach diesen beiden Seiten nichts ‚an sich‘, sondern diese Seiten, worin ihr unterschiedenes Wesen bestehen sollte, nur verschwindende Momente, ein unmittelbares Übergehen jeder in die entgegengesetzte sind, dies wird für das Bewusstsein in der Wahrnehmung der Bewegung der Kraft. Für uns aber war, wie oben erinnert, auch noch dies, dass an sich die Unterschiede als Unterschiede des Inhalts und der Form‘ verschwanden und auf der Seite der Form dem Wesen nach das ‚Tätige‘, ‚Sollicitierende‘ oder ‚Fürsichseiende‘ dasselbe war auf der Seite des Inhalts als in sich zurückgedrängte Kraft, -das ‚Passive‘, ‚Sollicitierte‘, oder ‚Füreinandersseiende‘ auf der Seite der Form dasselbe, was auf der Seite des Inhalts als allgemeines Medium der vielen Materien sich darstellte.
이렇게 극단들이 이 두 측면에 있어서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아니며', 그 차별화된 본질이 자리한다고 여겨졌던 이러한 측면들이 단지 사라지는 계기들이며, 각각이 반대되는 것으로 즉각적으로 넘어가는 것일 뿐이라는 것 —이것이 바로 의식에게는 '힘의 운동'을 인식함으로써 일어난다[우리가 대립되는 항들을 고정된 실체로 여기는 것은 착각이며, 사실 이들은 서로를 전제로 하며 끊임없이 넘어가고 사라지는 관계 속에서만 존재]. 그러나 우리에게는, 앞서 상기된 것처럼, 다음 또한 분명하였다: 곧, 그 자체로 보았을 때, 내용과 형식의 차이가 사라졌으며, 형식의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능동적', '자극하는 자', 혹은 '자기 자신 안에 존재하는 자'는 내용의 측면에서는 '자기 안으로 되돌아간 힘'과 동일한 것이며, 반면에 '수동적', '자극받는 자', 혹은 '타자에게 존재하는 자'는 내용의 측면에서는 여러 물질들의 일반적 매개로 나타난 것과 동일하다[내용과 형식의 구분이 본질적으로 허구적이며, 그 구분은 결국 사라지는 관계임을 강조. 외적인 형식상의 차이(예: 활동/수동)가 실은 내용상에서도 하나의 동일한 본질에서 나오는 것. 즉 능동적이고 독립적인 것(Fürsichsein)은 실은 자기 안에 움츠러든 힘(즉, 자기 자신을 내면화한 것)이고,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것(Füreinandersein)은 일반적인 외부 세계의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과 같은 것].
상동 108
Es ergibt sich hieraus, dass der Begriff der Kraft durch die Verdopplung in zwei Kräfte ‚wirklich‘ wird, und wie er dies wird. Diese zwei Kräfte existieren als für sich seiende Wesen, aber ihre Existenz ist eine solche Bewegung gegen einander, dass ihr ‚Sein‘ vielmehr ein reines ‚Gesetztsein durch ein Anderes‘ ist, d. h. dass ihr Sein vielmehr die reine Bedeutung des ‚Verschwindens‘ hat ; sie sind nicht als Extreme, die etwas Festes für sich behielten und nur eine äußere Eigenschaft gegen einander in die Mitte und in ihre Berührung schickten, sondern was sie sind, sind sie nur in dieser Mitte und Berührung.
이로부터 다음이 도출된다: 힘의 개념은 두 개의 힘으로 이중화됨으로써 '현실적인 것'이 되며, 또한 그것이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도 드러난다. 이 두 힘은 각각 '자기 자신을 위해 존재하는 실체'로서 존재하지만, 그 존재는 서로에 대한 하나의 '운동'으로 되어 있어서,
그 '존재'는 오히려 순전히 '타자에 의해 설정된 존재'일 뿐이다. 즉 그 존재는 오히려 '소멸(사라짐)'이라는 순수한 의미를 가진다[독립적 실체처럼 보이는 것들의 실체성을 해체하고, 그것들이 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가지며, 그 존재 자체가 소멸 또는 관계적 설정일 뿐임을 보여줌. 이는 변증법의 핵심으로, 자기와 타자의 상호작용 속에서만 개념이 구체화되고, 동시에 사라지기도 한다는 것]. 그것들[두 힘]은 그 자신을 위해[각각 독립적으로] 고정된 어떤 것을 지니고 있으면서,
서로에 대해 단지 외적인 성질만을 가운데[중심]와 그 접촉[상호작용]에 보냈던 ‘극단들’이 아니라, 그것들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오직 바로 이 '가운데[중간지대]'와 '접촉' 안에서만 그러한 것이다[힘들이 정체성을 갖는 방식은 서로의 중심에서의 상호작용, 즉 접촉 안에서만 가능. 다시 말해, 이 힘들은 그 자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와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 의미를 가진다는 것. 즉 서로의 중간지점에 보내져 접촉된 속성들만이 존재성을 가짐].
상동
Es ist darin unmittelbar ebensowohl das Insichzurückgedrängt- oder das Fürsichsein‘ der Kraft wie die Äußerung, das Sollicitieren wie das Sollicitiertsein, ㅣ diese Momente hiermit nicht an zwei selbstständige Extreme verteilt, welche sich nur eine entgegengesetzte Spitze böten, sondern ihr Wesen ist dies schlechthin, jede nur durchs Andere und was jede so durchs Andere ist, unmittelbar nicht mehr zu sein, indem sie es ist.
여기에는 곧바로, ‘자신 속으로 수축된 상태’ 혹은 ‘힘의 자립적 존재’(Fürsichsein)가 그 외화인 자극함’(Sollicitieren), '자극받음’(Sollicitiertsein)과 똑같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든 계기들은 두 개의 독립적인 극단들에 분할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즉 그것들이 단지 서로 대립된 정점을 내밀고 있는 그런 것이 아니라 그 본질은 다음과 같다: 각각은 오직 다른 것을 통해서만 존재하며, 그렇게 다른 것을 통해 존재하게 되는 그 순간에, 즉 그가 그러한 것이 되는 동시에, 이미 더 이상 그러한 것이 아니다[힘의 다양한 측면(예: 내면적 수축, 외적 표현, 자극함과 자극받음)은
각각 두 개의 극단에 분산되어 있는 게 아니라 관계 속에서만 존재. '자신이 되려는 순간, 자신이 아니다'
이 문장이 가장 역설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 한 계기가 다른 것에 의해 자신의 역할이 규정될 때, 그 순간에는 이미 더 이상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관계 안에서만 존재하는 상호 의존적 순간일 뿐임].
상동 108-109
Sie haben hiermit in der Tat keine eigenen Substanzen, welche sie trügen und erhielten ; der Begriff‘ der Kraft erhält sich vielmehr als ‚das Wesen‘ in seiner ‚Wirklichkeit‘ selbst und die Kraft als wirkliche ist schlechthin nur in der Äußerung, welche zugleich nichts anderes als ein Sichselbstaufheben ist.
이로써, 그들[두 힘]은 사실상 자신들을 지탱하거나 보존해주는 고유한 실체들을 갖고 있지 않다. 오히려, ‘힘의 개념’은 바로 그 현실성 속에 본질을 갖는 것으로서 자기 자신을 유지한다. 그리고 ‘실제로 존재하는 힘’은 오직 그 외화에만 있으며, 그 외화는 동시에 자기 자신을 소멸시키는 것일 뿐이다[힘은 외적 실체에 의존하지 않고, 그 자체의 운동 속에서 존재를 확보. 힘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은, 그것이 외적으로 드러난다는 것(Äußerung)을 의미하지만 그 드러냄 자체가 동시에 자기소멸임. 즉 "힘은 드러나야 존재하고, 드러나는 순간 사라진다."].
상동 109
Diese ‚wirkliche‘ Kraft, vorgestellt als frei von ihrer Äußerung und für sich seiend, ist die in sich zurückgedrängte, aber diese Bestimmtheit ist in der Tat, wie sie ergeben hat, selbst nur ein Moment der Äußerung‘. Die Wahrheit der Kraft bleibt also nur der ‚Gedanke‘ derselben und haltungslos stürzen die Momente ihrer Wirklichkeit, ihre Substanzen und Ihre Bewegung in eine ununterschiedene zusammen, welche nicht die in sich zurückgedrängte Kraft ist(denn diese ist selbst nur ein solches Moment), sondern diese Einheit ist ihr ‚Begriff‘, ‚als Begriff‘.
자기의 외화로부터 자유롭고 그 자신을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된 이 '실제적인' 힘은 자기 안으로 억제된 것이지만 이 규정성은 사실상, 앞서 드러났듯이, 단지 외화의 한 순간일 뿐이다[실제적인 힘 = 자기 안으로 억제된 힘. 힘은 잠재된 상태로 이해가능. 즉 외화되지 않은 채 내부에 머무르는 상태, 이것이 'in sich zurückgedrängt' (자기 안으로 억제된) 힘. 그러나 이 상태조차도 '표현(Äußerung)'의 일부. 중요한 전환점은 이 '억제됨' 자체도 그저 표현의 한 순간일 뿐이라는 점. 즉 잠재성과 현현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의 국면일 뿐임]. 힘의 진리는 결국 단지 그것의 사유로 머무를 뿐이며, 그 힘의 현실성의 계기들, 그것의 실체들과 운동은 모두 지탱 없이 무차별적으로 무너져내린다. 그것은 자기 안으로 억제된 힘이 아니라(왜냐하면 그것 역시 단지 한 순간에 불과하므로) 오히려 그 통일은 그것의 '개념', 그것이 '개념으로서'인 것이다[힘의 진리는 감각적·경험적 실체나 운동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개념적 통일 속에 있다는 것. 즉 이 통일은 사유의 차원에서만 가능하며, 이로써 "힘"은 '자기 자신을 개념적으로 아는 것', 즉 진정한 의미에서 Begriff als Begriff로 전개. 비유 : 생명력, 중력, 자아… 이런 '힘'들은 외적인 작용(움직임, 표현 등)으로 드러나지만, 그 각각의 현상은 진짜 힘의 본질이 아니라 단지 순간적인 국면들일 뿐임. 결국 '힘'이란 그 모든 현상들을 가능하게 하는 개념 자체, 즉 순수한 사유의 구조임].
상동
Die Realisierung der Kraft ist also zugleich Verlust der Realität ; sie ist darin vielmehr ein ganz Anderes geworden, ㅣ nämlich die ‚Allgemeinheit‘, welche der Verstand zuerst oder unmittelbar als ihr Wesen erkennt, und welche sich auch als ihr Wesen an ihrer sein sollenden Realität an den wirklichen Substanzen erweist.
힘의 현실화는 동시에 현실성의 상실이다. 그것은 오히려 완전히 다른 것이 되었는데, 그것은 오성이 처음에 혹은 직접적으로 그 본질로서 인식한 '보편성'이다. 그리고 이 보편성은 그것이 실현되어야 할 현실성에서, 즉 실재적 실체들에서 그 본질로 드러난다[힘이라는 개념이 외적인 움직임으로 실현될수록 그 본래의 실체성을 잃고, 오히려 모든 구체적 현상을 포괄하는 추상적이고 본질적인 보편성으로 돌아온다는 것. 즉, 힘이 외적으로 드러날수록, 그것은 더 이상 진정한 실재가 아님. 진짜 실재는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사라지는 힘, 또는 그것을 가능케 하는 구조 혹은 개념임].
상동 109-110
Insofern wir das ‚erst‘ Allgemeine als den ‚Begriff‘ des Verstanden betrachten, worin die Kraft noch nicht für sich ist, so ist das zweite jetzt ihr ‚Wesen‘, wie es sich ‚an‘ und ‚für‘ sich darstellt. Oder umgekehrt, betrachten wir das erste Allgemeine als das ‚Unmittelbare‘, das ein ‚wirklicher‘ Gegenstand für das Bewusstsein sein sollte, so ist dieses zweite als das ‚Negative‘ der sinnlich gegenständlichen Kraft bestimmt ; es ist sie, wie sie in ihrem wahren Wesen nur als ‚Gegenstand des Verstandes‘ ist. Jenes erst wäre die in sich zurückgedrängte Kraft oder sie als Substanz, dieses zweite aber ist das ‚Innere‘ der Dinge, als ‚Inneres‘, welches mit dem Begriffe als Begriff dasselbe ist.
우리가 '처음'의 보편성을, 아직 힘이 자기 자신에 대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오성의 개념으로 고찰한다면, 이제 두 번째는, 자기 자신으로 그리고 자기 자신을 위해 드러나는 바, 그것[힘]의 본질이다[처음에는 '힘'을 머릿속 추상적인 그림처럼 이해되지만 그 힘이 실제 세계에서 자기 자신을 내적 본질과 외적 현상으로 나타낼 때 비로소 힘은 진짜 힘(두 번째 단계, 본질)으로 드러난다는 것]. 또는 반대로, 우리가 첫 번째 보편성을 의식에게 있어서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대상이어야 할 것으로 간주한다면, 이 두 번째는 감각적으로 대상적인 힘의 '부정'으로 규정된다. 즉 그것은 오직 '오성의 대상'으로서만 그것의 참된 본지로 있는 것이다[처음의 보편성은 의식에게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실제적인 대상'이 되려고 함. 이 단계에서는 힘이 ‘구체적인 것’처럼 나타나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임. 두 번째 단계에서 힘은 이 ‘감각적 실체성’을 부정. 즉 힘은 감각적, 구체적인 대상으로서의 존재를 넘어서,
오직 사유에 의해서만 존재하는 것이 됨. 여기서 'Negative'는 단순한 파괴가 아니라, 감각적 대상성(구체성)을 극복하고, 더 높은 차원(오성의 대상)으로 나아가는 의미]. 저 첫 번째 것은 자기 안으로 되돌려진 힘 혹은 실체로서의 힘일 것이다. 하지만 이 두 번째 것은 사물들의 '내부(Inneres)'이며, 이 '내부'는 개념(Begriff)으로서의 개념과 동일하다[첫 번째에서는
힘이 자기 안에 응축되어 있고, 어떤 실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낮만 두 번째에서는 힘이 더 이상 외적 실체로 남아 있지 않고, 사물들의 '내부'(Inneres) —
즉, 보이지 않는 본질로 파악됨. 이때 '내부'는 단순한 숨겨진 무엇이 아니라, 개념 그 자체임. 힘’의 본질은 외부에 존재하는 실체가 아니라, 개념이라는 것. 즉 사물의 진리는 보이는 힘이 아니라, 오성적 사유를 통해 파악되는 본질임]
상동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