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한국 입국 후기

여행 Reise 2021. 3. 12. 00:20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2021년 3월 10일 11시 50분(독일시각) 독일에서 출국해 암스테르담을 경유, 한국에 11일 15시 40분(한국시각)에 도착했다.  입국을 고려하는 분들께 참고도 될겸 그 과정을 서술한다. 

 

어차피 귀국을 하면 무려 2주간이라는 자가격리에 들어가야 하기에 급할 일도 없어서 비교적 저렴한 네덜란드 항공(KML)의 경유편을 끊었는데, 암스테르담에서 8시간을 대기해야 했다. 그러나 독일 관청에서의 더딘 일처리 때문에 고생한 일을 생각하면 8시간은 아무것도 아니다. 

 

그 전에 2월 24일부터 한국 입국시 외국인은 물론 내국인에게도 적용된 PCR 검사를 먼저 해야 했다. 72시간 내에 검사를 받고 나온 음성결과서가 유효하기에 주중에 출국하는 날짜는 수요일로 잡았다. 탑승일 기준이 아닌, 도착일 기준이라고 해도 월요일 12시에 검사를 받으면 목요일 12시(한국시각으로 20시)까지 입국하면 되는 것이었다. 나는 카셀에서 PCR 검사를 하는 의료센터를 알아봤는데, 신속 검사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한 검진센터의 경우 PCR 검사 결과가 나오는 시간이 48시간 내라고 해서 이곳은 망설여 졌는데, 다행히 24시간 내에 검사결과가 나오는 병원을 구글에서 찾았다. 검사결과가 48시간 내이면 귀국일정을 빠듯하게 잡아야 했을 것이다. 일단 69유로를 들여서 월요일 점심에 검사를 받고 24시간 후 음성결과서를 받았다.  

 

그런데 네덜란드 항공의 경우, 경유편을 포함해 네덜란드에 입국하는 모든 승객은 당일 출국 시각 4시간 내에 받은 신속 검사 음성결과서를 체크인 시 필히 제출해야 탑승이 가능하다. 산 넘어 산이다. 그래서 이리저리 정보를 알아보니 발권 현장에서 슈넬 테스트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프랑크푸르트 공항 기차역에 수요일 9시 20분에 도착하는 기차편을 예매했다. 암스테르담으로 떠나는 비행기 시각은 11시 50분으로 2시간 30분 정도의 여유가 있는 셈이었다. 자칫 신속검사 때문에 시간이 빠듯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들었으나 기차표를 다시 바꾸는 것도 비용이다. 

 

수요일, 카셀 빌헬름스훼어 역에서 7시 37분에 출발, 프랑크푸르트 공항 기차역에 9시 20분에 도착해서 여유롭게 공항사의 체크인 구역으로 넘어가는 다리를 건너는 중에 코로나 테스트 구역이 넓게 전개되어 있는 것을 보고 여기서 하고 가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일단 항공사의 발권 구역으로 갔다. 직원에게 물어보니 내가 지나친 코로나 검사장에서 검사를 받고 음성결과서를 가져와야 한다고 했다. 부리나케 검사장으로 돌아 갔고, 30분내에 검사결과가 나오는 59유로의 검사를 받아야 했다. 10시에 검사를 받았는데, 아무래도 체크인 시간이 촉박할 것 같아서 10시 20분에 음성결과서 출력본을 요청했는데, 다행스럽게도 정상으로 출력되었다.  내가 이날 암스테르담으로 가는 경유 비행기 승객 중 거의 마지막으로 수하물을 붙이고 발권을 한 경우 였을 것이다.

 

현재 세계 어느 공항이나 마찬가지로 한산한 암스테르담 공항의 입국장에서 걷고 읽고 먹으며 후딱 8시간이 지나고 한국행 비행기를 탔다. 10시간 후 도착한 한국의 입국심사 현장은 생각보다 불편하진 않았고, 군인들이 여러가지로 고생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T2에서 경기도로 가는 해외입국자 전용 버스의 막차 시각은 오후 8시 40분이었다. 암스테르담 공항의 출국장은 전체가 금연구역인데, 인천 공항엔 해외 입국자 버스 대기실 옆에 흡연장이 마련되어 있다. 

반응형

사회의 사회1 : 코드화와 프로그램

책들 Bücher 2021. 2. 23. 20:44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Deshalb bildet sich im Zuge der Evolution von Cordierungen eine Zustzsemantik von Kriterien, die festlegen, unter welchen Bedingungen die Zuteilung des positiven bzw. negativen Wertes richtig erfolgt.
따라서 코드화의 진화가 이뤄지는 가운데, 어떠한 조건에서 긍정값 내지 부정값의 할당이 적절히 수행되는지를 확정하는 기준들을 위한 추가적인 의미론이 형성된다.
 
Wir werden diese Konditionierungen ‘Programme’ nennen.
우리는 이러한 조건들을 프로그램이라고 부른다.
 
Sie hängen sich wie ein riesiger semantischer Apparat an die jeweiligen Codes; und während die Codes Einfachheit und Invarianz erreichen, wird ihr Programmbereich, gleichsam als Supplement dazu, mit Komplexität und Veränderlichkeit aufgeladen.
이것은 거대한 의미론적 장치처럼 각각의 코드에 부착되어 있다. 코드가 단순성과 불변성에 이르는 반면에 코드의 프로그램 영역은 말하자면 보조장치로서 복잡성과 가변성으로 채워진다.
 
Die jeweiligen semantischen ‘Bestände’ des Rechts zum Beispiel oder der Wissenschaft bestehen in diesem Sinne aus Programmen.
예를 들어 법과 과학의 의미론적 자산은 이러한 의미에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Niklas Luhmann, Die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Suhrkamp, 2018), s.364. 장춘익 역, 사회의 사회1(새물결, 2012), 426쪽 참조. 
 
 
코드화는 양갈림 중 하나로 귀결되는 구조인 반면 프로그램은 이런 코드화에 역동성을 부여한다고 할까?  이것은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연관지어도 흥미롭다. 코드 자체로는 아무런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프로그램화 됐을 때 코드는 살아있는 객체처럼 움직인다. 이러한 구분은 매체와 형식의 구별을 상기시킨다. 
 
 
Die Codes bezeichenen für ihren jeweiligen Funktionsbereich das zuständige Medium, also eine begrenzte, aber lose Kopplung von Möglichkeiten.
코드들은 그것의 각각의 기능영역에 대한 해당 매체를, 즉 제한된, 그렇지만 느슨한 결합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Sie können also nicht vergessen werden, während auf der Ebene der Programme sowohl Erinnern als auch Vergessen möglich ist, je nachdem, wie oft die Programme aufgerufen bzw., wenn nicht, aus dem Gedächtnis getilgt werden.
따라서 코드들은 망각될 수 없지만, 프로그램들의 층위에서는 프로그램이 얼마나 자주 소환되는지에 따라서, 그렇지 않으면 기억에서 삭제됨에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망각도 가능하다.
 
상동
 
 
이하는 2019년 12월 이후 페북에 남긴 관련 메모(역순)
 
매체와 형식의 구별 : 매체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표현도구로 문자, 신호, 그림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지속적이진 않더라도 구성요소들의 강한 결합을 이루는 형식과 달리 느슨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형식을 위한 무한에 가까운 원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한 조합을 위한 문자나 성당의 원형기둥 사이로 들어오는 빛이란 매체
 
루만은 단지 자신만의 독특한 사회이론을 펼치는 사회학자가 아니라 사회이론의 철학을 제시하는데, 어떤 면에서는 프랑스 철학의 독일적 수용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역설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세계는 부분이나 전체로 파악할 수 없는 불가해한 통일체로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만 접근가능한 구성물인 것이고(베르크손의 <창조적 진화> 1장) 이 방식 중 루만이 세계, 특히 세계사회를 이해하는 유력한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이다.
 
의식체계와 커뮤니케이션체계의 유력한 대체물인 컴퓨터가 인간지능의 모사인지 인간지능을 넘어서는 것인지가 문제가 아니라 컴퓨터가 구성한 실재와 의식 또는 커뮤니케션 체계 사이에 컴퓨터가 산출한 구조적 결합이 가져올 결과. .루만 GdG S.117-118..즉 체계의 인공적 대체물이 초래할 예측불가적인 결과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느냐의 문제.
 
루만에게 인구는, 문자나 기호 등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는 70억의 의식체계이며(S.115), 이들에게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어떤 합의점에 도달하기는 불가능하다. 통제에 어려움을 겪는 바이러스처럼.
 
루만의 체계이론 혹은 사회이론은 헤겔과는 다른 맥락과 여타 이론의 누적으로 정신현상의 발생에 관한 현대적 해석을 포괄 : 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의식체계의 발달은 신경생리학의 조건에서 가능하나 신경생리학에서 바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것은 아님. 문자를 비롯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발달에 관한 설명은 온전히 자연에 맡길 수 없음
 
사회의 재구성, 사회의 구별, 사회의 작동을 위한 시간 제약적 의사소통의 요소 : 일회적 놀람만 일으키는 정보, 행위로서 시점에 묶인 전달, 반복되지 않고 상기될 뿐인 이해
루만,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s.71
 
의사소통행위이론에 대한 간략 후기: 베버에서 비판이론으로 이어지는 독일 사회이론과 파슨스의 체계이론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을 통해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정립시키려는 거대한 시도로만 보임. 이론사를 등에 업고 이를 자신의 구상에 맞춰 절단하는 실력은 예리하지만 결국 반사적 구성물을 벗어나지 못함. 더이상 거대이론이 지속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통섭적 학문교류의 필요성을 역설한 점에서 선구적 귀감. 또한 하버마스 본인 스스로도 법학 강의 청강생으로 대학생들 틈에서 노학.

반응형

핑카드 정신현상학 영문대조 번역13

헤겔 Hegel 2021. 2. 20. 04:31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109)Bei dieser Berufung auf die allgemeine Erfahrung kann es erlaubt sein, die Rücksicht auf das Praktische zu antizipieren.

(109)With such an appeal to universal experience, we may be permitted some provisional anticipations of matters in the practical sphere.

(109)보편적 경험에 대한 이러한 호소와 함께 실제의 영역에 대한 고려를 예상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In dieser Rücksicht kann denjenigen, welche jene Wahrheit und Gewißheit der Realität der sinnlichen Gegenstände behaupten, gesagt werden, daß sie in die unterste Schule der Weisheit, nämlich in die alten Eleusischen Mysterien der Ceres und des Bacchus zurückzuweisen sind, und das Geheimnis des Essens des Brotes und des Trinkens des Weines erst zu lernen haben; 

In this respect, what one can say to those who make assertions about the truth and reality of sensuous objects is that they should be sent back to the most elementary school of wisdom, namely, to the old Eleusinian mysteries of Ceres and Bacchus and that they have yet to learn the mystery of the eating of bread and the drinking of wine.

이러한 고려에서 감각적 대상의 실재에 대한 확실성과 진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지혜의 가장 초보적인 학교로, 즉 세레스와 바쿠스의 고대 엘루시안의 신비로 보내져서 빵을 먹고 포도주를 마시는 비밀을 배워야 한다.

 

denn der in diese Geheimnisse Eingeweihte gelangt nicht nur zum Zweifel an dem Sein der sinnlichen Dinge, sondern zur Verzweiflung an ihm; und vollbringt in ihnen teils selbst ihre Nichtigkeit, teils sieht er sie vollbringen.

This is so because the person who has been initiated into these secrets not merely comes to doubt the being of sensuous things. Rather, he is brought to despair of them; in part he brings about their nothingness, and in part he sees them do it to themselves. 

이러한 비밀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은 감각적 사물의 존재를 의심하기 보다는 이것에 절망한다. 부분적으로 그는 이것의 없음을 알리고 부분적으로 그 자체로 그렇게 되는 것을 그는 본다. 

 

Auch die Tiere sind nicht von dieser Weisheit ausgeschlossen, sondern erweisen sich vielmehr am tiefsten in sie eingeweiht zu sein, denn sie bleiben nicht vor den sinnlichen Dingen als an sich seienden stehen, sondern verzweifelnd an dieser Realität und in der völligen Gewißheit ihrer Nichtigkeit langen sie ohne weiteres zu und zehren sie auf; und die ganze Natur feiert wie sie diese offenbare Mysterien, welche es lehren, was die Wahrheit der sinnlichen Dinge ist.

Nor are the animals excluded from this wisdom. To an even greater degree, they prove themselves to be the most deeply initiated in such wisdom, for they do not stand still in the face of sensuous things, as if those things existed in themselves. Despairing of the reality of those things and in the total certainty of the nullity of those things, they, without any further ado, simply help themselves to them and devour them. Just like the animals, all of nature celebrates these revealed mysteries which teach the truth about sensuous things.

동물 또한 이러한 지혜로부터 제외되지 않고 오히려 상당히 근본적으로 이러한 지혜에 적합한 것으로 드러난다. 왜냐하면 동물은 감각적인 사태 앞에서 이것이 그 자체로 있는 것으로 가만히 있을 수 없고  이러한 실재에 절망하면서 이것의 없음에 관한 충만한 확실성에서 지체없이 나아가 이것을 먹어 치운다. 그리고 동물처럼 전체 자연은 이렇게 계시된 신비를 축복하는데, 이 신비는 감각적 사물의 진리가 무엇인지 가르쳐 준다. 

반응형

핑카드 정신형상학 영문대조 번역12

헤겔 Hegel 2021. 2. 19. 03:57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109. Es erhellt, daß die Dialektik der sinnlichen Gewißheit nichts anders als die einfache Geschichte ihrer Bewegung oder ihrer Erfahrung, und die sinnliche Gewißheit selbst nichts anders als nur diese Geschichte ist.

109. It is clear both that the dialectic of sense-certainty is nothing but the simple history of its movement (that is, its experience) and that sense-certainty itself is nothing but just this history.

109.감각적 확실성의 변증법은 그것의 운동 내지 경험에 관한 단순한 역사 외에 다름 아니며 감각적 확실성 자체는 이러한 역사일 뿐임이 분명하다. 

 

Das natürliche Bewußtsein geht deswegen auch zu diesem Resultate, was an ihr das Wahre ist, immer selbst fort, und macht die Erfahrung darüber; aber vergißt es nur ebenso immer wieder, und fängt die Bewegung von vorne an.

For that reason, natural consciousness also arrives at this result, which is the truth in sensecertainty, and it presses ever forward. It learns from experience about it, but then it likewise forgets it once again, and then it starts the whole movement all over again from the beginning.

따라서 자연적 의식도 이러한 결과, 감각적 확실성에서 진리인 결과에 도달하며, 계속해서 나아가 그에 관한 경험을 한다. 그러나 언제고 다시 이것을 망각할 뿐이며 처음부터 운동을 다시 시작한다. 

 

Es ist daher zu verwundern, wenn gegen diese Erfahrung, als allgemeine Erfahrung, auch als philosophische Behauptung, und gar als Resultat des Skeptizismus aufgestellt wird, die Realität oder das Sein von äußern Dingen als diesen, oder sinnlichen, habe absolute Wahrheit für das Bewußtsein; eine solche Behauptung weiß zugleich nicht, was sie spricht, weiß nicht, daß sie das Gegenteil von dem sagt, was sie sagen will. 

It is thus a bit astonishing when, in the face of this experience, it is put forward as a philosophical assertion, or as a universal experience, or even as the outcome of skepticism, that the reality, that is, the being, of external things as this, that is, as sensuous, is to have absolute truth for consciousness. Such an assertion does not at the same time know what it is saying; it does not know that it is saying the opposite of what it wants to say.

따라서 이러한 경험에 직면해서 실재, 즉 감각적인 것으로서의 외적 사물의 존재가 의식에 대한 절대적 진리를 갖는다는 것이 철학적 주장 내지 보편적 경험, 또는 심지어 회의주의의 결과로서 제기된다면 다소 놀라운 일이다. 그러한 주장은 자신이 말하는 바를 알지 못하는 동시에 자신이 말하려고 하는 것과 반대되는 것에 관해 말하는 것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

 

Die Wahrheit des sinnlichen Diesen für das Bewußtsein soll allgemeine Erfahrung sein; aber vielmehr ist das Gegenteil allgemeine Erfahrung;

The truth of the sensuous this for consciousness is supposed to be a universal experience, but to an even greater degree, it is the opposite which is a universal experience.

의식을 위한 감각적인 이것의 진리는 보편적인 경험이어야 하지만 오히려 그 반대가 보편적인 경험이다. 

 

jedes Bewußtsein hebt eine solche Wahrheit, wie zum Beispiel: das Hier ist ein Baum, oder das Itzt ist Mittag, selbst wieder auf, und spricht das Gegenteil aus: das Hier ist nicht ein Baum, sondern ein Haus; und was in dieser die erste aufhebenden Behauptung wieder eine ebensolche Behauptung eines sinnlichen Diesen ist, hebt es sofort ebenso auf; und wird in aller sinnlichen Gewißheit in Wahrheit nur dies erfahren, was wir gesehen haben, das dieses nämlich als ein Allgemeines, das Gegenteil dessen, was jene Behauptung allgemeine Erfahrung zu sein versichert.

Each consciousness once again itself sublates such a truth as, for example, here is a tree, or now is midday, and declares the opposite: Here is not a tree, but rather a house; and likewise it once again straightaway sublates the assertion which sublated the first assertion as itself being merely once again an assertion of a sensuous “this.” What in truth has been experienced in all of sensecertainty is merely what we have seen, namely, the this as a universal, that is, the very opposite of what that assertion assured us was the universal experience.

각각의 의식은 그러한 진리, 예를 들어 여기에 나무가 있다든지 지금은 오전이라는 진리를 다시 스스로 지양해서 그 반대의 것을 표현한다. 즉 여기에 나무가 있지 않고 집이 있다라고. 이렇게 첫번째로 지양된 주장을 다시 감각적인 이것의 주장으로 삼는 것은 마찬가지로 즉시 지양된다.  진리에 관한 모든 감각적인 확실성에서 경험되는 것은 우리가 본 것, 즉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이것일 뿐이며, 이러한 주장이 보편적 경험이 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바로 반대이다.  

반응형

솔라리스 중

영화 Film 2021. 2. 17. 04:42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https://youtu.be/YPV-K--HF0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