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헤겔 Hegel'에 해당되는 글 34건

  1. 2010.04.09 『정신현상학』서론4
  2. 2010.04.06 『정신현상학』서론3
  3. 2010.04.05 『정신현상학』서론2
  4. 2010.04.04 『정신현상학』서론1
  5. 2010.02.19 『정신현상학』강독 시작 6

『정신현상학』서론4

헤겔 Hegel 2010. 4. 9. 22:39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egel Gesammelte Werke9(Felix Meiner, 1980)

Einleitung

 

Sollte das Absolute durch das Werkzeug uns nur überhaupt näher gebracht werden, ohne etwas an ihm zu verändern, wie etwa durch die Leimruthe der Vogel, so würde es wohl, wenn es nicht an und für sich schon bey uns wäre und seyn wollte, dieser List spotten; denn eine List wäre in diesem Falle das Erkennen, da es durch sein vielfaches Bemühen ganz etwas anderes zu treiben sich die Mieng gibt, als nur die unmittelbare und somit mühelose Beziehung hervor zu bringen.

절대자에게 어떤 변화를 주지 않은 채, 마치 새를 잡기 위한 끈끈이 올가미처럼, 도구를 이용해 절대자가 하여간 우리에게 근접해 온다 할지라도, 만약 절대자가 본래적으로 그리고 의식적으로 우리 곁에 있지도 않고 있을 수도 없다면, 그러한 책략은 아마도 무시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 경우 책략은 인식이기 때문인데, 그 이유는, 인식이 이러저런 노력을 함으로써, 직접적이고 따라서 별다른 노력이 들지 않는 관계를 산출할 뿐인 것과는 매우 다른 외양을 주는데 있다.


Oder wenn die Prüffung des Erkennen, das wir als ein Medium uns vorstellen, uns das Gesetz seiner Strahlenbrechung kennen lehrt, so nützt es eben so nichts, sie im Resultate abzuziehen; denn nicht das Brechen des Strahls, sondern der Stral selbst, wodurch die Wahrheit uns berührt, ist das Erkennen, und dieses abgezogen, wäre uns die reine Richtung, oder der leere Ort bezeichnet worden.

혹은 우리가 매개체로 생각하는 인식의 음미에 관해, 그 굴광의 법칙이 배울 수 있는 것이라 해도, 결과적으로 이 굴광을 떼어놓는 것은 쓸모없는 일이다. 왜냐하면 빛의 굴절이 아니라, 진리가 우리에게 접근하도록 해주는 빛 자체야 말로 인식인데, 인식이 제거된다면 우리가 볼 수 있도록 남겨지는 것은 순수한 방향 혹은 공허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반응형

『정신현상학』서론3

헤겔 Hegel 2010. 4. 6. 22:43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egel Gesammelte Werke9(Felix Meiner, 1980)

Einleitung


*이 글은 직역에 충실하려 하고, 의역은  삼가합니다. 헤겔의 서술 특성상 직역으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아 해설이 필요한 점이 있지만,  일단은 그대로 번역하려는 것으로 그칩니다.
 

Wir gebrauchen in beyden Fällen ein Mittel, welches unmittelbar das Gegentheil seines Zwecks hervorbringt; oder das Widersinnige ist vielmehr, daß wir uns überhaupt eines Mittel bedienen.

이 두 가지 경우에 우리는 한 수단을 사용하는데, 이 수단은 자신의 목적과 반대되는 것을 바로 산출한다; 혹은 모순되는 것은 우리가 이 수단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Es scheint zwar, daß diesem Uebelstande durch die Kenntniß der Wirkungweise des Werkzeugs abzuhelfen steht, denn sie macht es möglich, den Theil, welcher in der Vorstellung, die wir durch es vom Absoluten erhalten, dem Werkzeuge angehört im Resultate abzuziehen, und so das Wahre rein zu erhalten.

우리가 도구를 통해서 절대자에 대해 갖는 표상 안에 있는 부분을 도구에 귀속하는 것으로부터 결과적으로 이끌어 내고, 그래서 진리를 순수하게 갖는 것이 가능하다면, 앞서 말한 폐해는 도구의 작동방식을 앎으로써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Allein, diese Verbesserung würde uns in der That nur dahin zurückbringen, wo wir voher waren. Wenn wir von einem formirten Dinge das wieder wegnehmen, was das Werkzeug daran gethan hat, so ist uns das Dinge,-hier das Absolute-gerade wieder so viel als dieser somit überflüssiger Bemühung.

그러나 이러한 개선은 실제로, 우리가 이전에 있던 곳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다. 도구에 따라서 형태가 부여된 사물로부터, 도구가 첨가해 놓은 것이 제거된다면, 막대한 노력이 들여지기 전에, 사물-여기서는 절대자-이 다시 우리에게 존재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반응형

『정신현상학』서론2

헤겔 Hegel 2010. 4. 5. 22:23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egel Gesammelte Werke9(Felix Meiner, 1980)

Einleitung 

Diese Besorgniß muß sich wohl sogar in die Ueberzeugung verwandeln, daß das ganze Beginnen, dasjenige, was An-sich ist, durch das Erkennen dem Bewußtseyn zu erwerben, in seinem Begriffe widersinnig sey, und zwischen das Erkennen und das Absolute eine sie schlechthin scheidende Gräntze falle.

게다가 이러한 불안은 분명히 다음과 같은 시인으로 변한다. 완벽한 시초, 즉 본래적으로 있는 것을 인식으로 의식함으로써 자신의 개념과 어긋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인식과 절대자 사이에서, 이 양자를 다만 분리하는 정도의 한계에 그치지 않을까.


Denn ist das Erkennen das Werkzeug, sich des absoluten Wesen zu bemächtigen, so fällt sogleich auf, daß die Anwendung eines Werkzugs auf eine Sache, sie vielmehr nicht läßt, wie sie für sich ist, sondern eine Formirung und Veränderung mit ihr vornimmt.

왜냐하면 인식이 절대 실재를 포착하는 도구라면, 도구를 한 사물에 적용시키는 것은, [비록] 이 사물이 본래적으로 있는 것으로 지속하는 것이 아니라 형식과 변화를 이 사물에 부여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Oder ist das Erkennen nicht Werkzeug unserer Thätigkeit, sondern gewissermaßen ein passives Medium, durch welches hindurch das Licht der Wahrheit an uns gelangt, so erhalten wir auch so sie nicht, wie sie an sich, sondern wie sie durch und in diesem Medium ist.

또는 인식은 우리의 활동성의 도구가 아니라, 어느 정도 수동적인 매체로서, 이를 통해 진리의 빛이 우리에게 다가온다면, 우리는 진리를 본래적인 것으로서가 아니라, 이 매체를 통해서 그리고 이 매체 안에서 갖게 되는 것이다.



반응형

『정신현상학』서론1

헤겔 Hegel 2010. 4. 4. 15:25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egel Gesammelte Werke9(Felix Meiner, 1980)

Einleitung


*여기에 올리는 번역은 저의 원전 해석을 바탕으로 일어역본(樫山欽四郞, 2009)과 한글역본(임석진, 1995)을 참조해 올린 것입니다. 한글 번역문으로 이해하기에는 임석진의 2005년 개역본이 아무래도 신뢰할 만하다고 봅니다. 저의 번역문은 어디까지나 개인적 학습의 도구일 뿐이며, 이 번역의 신뢰도는 원문과 번역문의 대조를 통해 판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간에 가다가 혹시 멈출지라도, 일단 대장정의 첫발을 놓습니다. 


Es ist eine nätürlich Vorstellung, daß eh in der Philosophie an die Sache selbst, nemlich an das wirkliche Erkennen dessen, was in Wahrheit ist, gegangen wird, es nothwendig sey, vorher über das Erkennen sich zu verständigen, das als das Werkzeug, wodurch man des Absoluten sich bemächtige, oder das Mittel, durch welches hindurch man es erblicke, betrachet wird.

철학에서 문제로 삼는 것, 즉 참으로 존재하는 것에 관한 실재적 인식에 착수하기 전에, 절대자를 자기 것으로 하는 도구 혹은 절대자를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수단에 관한 인식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연히 생각되고 있다.


Die Besorgniß scheint gerecht, theils daß es verschiedene Arten der Erkenntniß geben, und darunter eine geschickter als eine andere zur Erreichung dieses Endzwecks seyn möchte, hiemit durch falsche Wahl unter ihnen,-theils auch daß, indem das Erkennen ein Vermögen von bestimmter Art und Umfange ist, ohne die genauere Bestimmung seiner Natur und Gräntze, Wolken des Irrthums statt des Himmels der Wahrheit erfaßt werden.

한편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인식이 있고, 그 최종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그 다양한 인식 중 어떤 하나가 다른 것보다도 적당하지 않을까, 그래서 거기엔 잘못된 선택이 있지 않을까 하는 불안[과], 또 한편으로는 인식이 일정한 종류와 범위를 갖춘 능력인데, 인식의 본성과 범위를 정확히 규정하지 않음으로써 진리의 천상 대신에 오류의 먹구름이 드러나지 않을까 하는 불안이 정당해 보인다.




 

반응형

『정신현상학』강독 시작

헤겔 Hegel 2010. 2. 19. 09:03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어제 사무실에 일역본이 도착했다. 퇴근 후 집에 가서 원서와 樫山欽四郞의 일역본(2009 초판 10쇄, 보정판)을 필사하며 한 문단을 번역해 봤다. 혹시나 싶어 임석진의 국역본(1995 초판 6쇄, 개역판)도 봤지만 아무래도 이상하다. 의미는 제대로 전달하는 듯 하지만 문형을 자기 이해에 맞춰 자의적으로 구성하는게 심하다. 일역본은 난삽한 원서의 긴 문장을 구두점으로 구획하고, 직역에 가깝게 문형을 원서와 일치시켜 이해하기 편하다. 이제 시작했으니 좀더 두고볼 일이다. 3년 전 강유원의 『정신현상학』서문 강독회에 몇번 참석 한 이후 다시 보는 원문은 느낌이 새롭다. 서문(Vorrede)은 건너뛰고 서론(Einleitung)부터 들어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