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1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신학정치단편과 1940년도의 역사철학테제가 상이한 시대적 단층을 이루고 있는 것과 아울러 이 사유의 퇴적물들은 희미하게나마 연속적이면서 극심한 단절을 보이고 있다. 이 길지 않은 두 단편들에서 훨씬 더 분량이 적은 첫번째 것은 두번째에 비해 오히려 의미이해가 더 쉽지 않은 아포리아로 신비적 색채도 풍긴다. 1921년도 라는, 변증법적 신학들이 신학과 법학에서 노도처럼 일어나는 시기에 분명 벤야민도 빠져들고 만 사유의 자취라고 하기에도 너무나 불분명한 계시적 풍모도 지닌 신학정치단편을 19년 후의 테제와 연관시켜 보려는 시도는 마치 다리를 걸쳐 놓을 저편 뚝방의 지대가 허물어져서 당장 교량건설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래도 이어 보려는 시도는 또 다른 관점, 그러면서도 철학자로 온당히 규정되어야 할 벤야민을 다른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면서 그의 문제의식이 현재적인 것으로 여전히 유효한지 음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야콥 타우베스는 벤야민의 신학정치단편에서 전도서 기자의 세상사에 대한 덧없음의 한숨을 발견한다. 지혜가 있으나 없으나 부자이거나 말거나 모두 죽음으로 무화시키는 솔로몬의 탄식이 벤야민에게서도 이어지고 있다고 보면서 타우베스는 벤야민을 자신과 마찬가지로 메시아주의자로 규정한다. 하지만 이 메시아는 역사철학테제에서 그런 신앙고백의 대상으로 읽혀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여기서 메시아는 과거인들, 특히 억압받는 이들의 전통을 비로서 새롭게 밝혀주는 미래인들의 모습으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콘텍스트를 통해 새롭게 해석되는 성서처럼 메시아는 콘텍스트를 통해 새롭게 나타난다.
역사 인식의 주체가 투쟁하는, 억압받는 계급이라는 테제12에서 인식(Erkenntnis)의 의미 : 이들이 가장 많이 위험에 노출된 상황에서 과거의 이미지가 현재와 병기하여 성좌구조처럼 나타나는 것을 포착하는 것. 이 이미지의 포착은 서사와 같은 연속적 시간상이라는 설명의 틀로 이루어질 수 없음.
신학정치 단편의 첫 문장에 관한 의미 해석 : "메시아 자신이 비로서 모든 역사적인 사건을 종결시킨다"에서 벤야민이 염두하는 메시아는 당시의 그와 마찬가지로 억압받는 계급으로도 볼 수 있음. 왜냐하면 가장 첨예한 투쟁조건에서 살아가는 계급으로부터 그 사건의 의미가 밝혀지기 때문이며, 이는 인식의 고통이면서 메시아가 들어오는 문이기도 함(현재 세대는 과거 세대에게 마치 메시아적인 힘이 있는 존재로 기다려지고 있던 사람들. 하지만 미약한 힘)
세속적인 것의 추구가 메시아적인 왕국의 도래를 촉진한다는 것은 행복이 어느 누구에게는 몰락을 촉진하기 때문. 즉 [타자가 누리는] 행복의 무거운 하중으로 짓눌리는 존재자들이 있다는 것. "이 세속적인 것을 메시아적인 것과 관련시키는 것이 역사철학의 과제"에서 역사철학은 그 자신의 역사철학테제 암시. 따라서 신학정치단편은 신학이 아닌 정치, 사회철학적 주제의식을 드러내는데(신정정치의 거부) 이는 타우베스의 해석과 상이.
"개별인간의 내적인, 마음에 있는 직접적인 메시아적인 것의 강렬함은 고통이라는 의미에서 불행을 통과해 가기 마련이다"에서 메시아적인 것의 강렬함은 고통이며, 이 고통의 하중, 즉 불행은 억압받는 계급에게 집중. 이 고통은 인식이기도 함. 아는 것이 향유되는 지식으로서가 아니라 마치 아담의 원죄의식처럼 앎이 강요되는 사회현상.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내재된 지식이 작업하달 단말기로서의 기능으로 심화발전. 쿠팡의 로켓배송 단말기
따라서 벤야민의 기획은 '자본 : 정치경제학 비판'의 또 다른 전개방식. 즉 맑스의 미완의 과제, 필요에 따른 분배가 보장되는 자유로운 개인의 연합으로서의 공산사회를 향한 지향점을 보여주는 것이고 그 방법은 사회문화사적 전면관찰(파사주 프로젝트)을 통한 자본 비판. 여기서 자본은 맑스주의 식으로 이해된 일면적 자본 만이 아닌, 상징자본도 포함. 이는 보드리야르의 소비의 사회에 연결.
다음의 과제 : 파사주 프로젝트라는 소비의 사회 해체 구상으로 이 억압적인 질서로부터의 출구가 가능한가?
https://youtu.be/qOV_1XobtzQ?si=9a_SFN2x1TImTqQb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