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회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는 조선족은 애매한 정체성에 갇혀 있다. 민족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아니 그러한 민족적 동근원성이 이들을 특이한 외국인으로 분류시킨다. 멀게는 삼국시대부터 가깝게는 조선 말기의 간도 영토분쟁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압록강 너머 만주 일대는 중국와 조선의 완충지대였다(그래서 間島인가?). 특히 일제 식민시대에 간도는 삶의 폭압과 일제의 폭정에 시달린 이들을 맞아준 기회의 땅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연변 조선족 자치주까지 이룬 지금의 조선족, 2010년에 나온 이 영화의 첫장면이 말하듯 인구가 80만에 이르지만 그 태반이 한국에서 불법 내지 합법적 활동으로 삶을 영위해 가는 조선족은 언제까지 이 영화에서와 같은 불온한 집단으로 낙인받을까?
아내가 한국으로 떠나 버린 뒤, 아내의 불법 한국 이주를 위해 들어간 브로커 비용에 허덕이던 구남에게 구세주가 나타난다. 개장수를 하며 연변 조선족의 한국 밀항 루트를 관리하는 면사장. 그의 또 다른 사업은 살인청부였는데, 그가 5만 8천 위안이 찍힌 통장을 미끼로 구남을 돌아오지 못할 배편으로 한국에 보낸 것이다. 영화는 구남의 열흘간의 서울 일정을 흔들리는 카메라로 따라간다. 그렇게 복잡할 것 없는 스토리라인 위에 영화는 시종일관 팽팽한 긴장감이 베어있다. 도끼질이 난무하는 난투 장면과 트레일러가 전복되고 차량들이 뒤엉켜 박살나는 질주 장면은 영화적 허구가 아닌, 영화적 사실성에 승부를 건 감독의 근성을 드러낸다. 촬영현장에서 스텝들이 두들겨 맞고 대거 교체되었다는 풍문이 프레임 밖에서 역력히 보인다.
얼마 전 한국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한 조선족의 잔혹한 살인사건은 이 영화를 부각시킨다. 사람이 사람 대접을 받지 못하는 사회에서 사람은 정육점의 고깃덩어리처럼 취급되는 것일까? 몇 년 전인가, 연변 조선족을 다룬 한 시사 프로그램에서 한 조선족은 한국민에 대한 증오감을 드러냈다. 살기 위해, 더 나은 삶을 위해 밀항을 불사하며 기회의 땅으로 몰려 오는 조선족에게 여전히 한국은 구한말의 조선과 일제 치하의 식민지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다가서기 힘든 땅이다. 그러나 나는 구남을 비롯해, 그 연변인들이 거세게 파도치는 황해 한 가운데 밀항선의 밑바닥에서 온몸을 비틀어 견뎌내며 한국에 상륙하려는 분투에서, 그들의 생존의지나 다른 삶을 향한 거친 욕망을 너머 어떤 진실의 염원이 보인다. 생계를 위해서든 독립을 위해서든 그들의 조상이 떠나야만 했던 고국에, 여전히 그들을 거부하는 조국에 온 몸을 던져 오려는 그들의 몸부림은 그들의 역사적 권리를 반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