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애굽에서 바빌론 유수까지 경과 시간은 역대상에 나오는 야곱(이스라엘)의 족보를 근거로 추정해 보면 아무리 길게 잡아도 1000 년 안팍으로 보인다. 요셉이 애굽의 총리가 되고 야곱의 12 아들들이 이집트에서 번성하다 출애굽하는데 까지는 불과 3 세대 밖에 걸리지 않는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의 수가 60만 이상이라면, 야곱의 아들들로만 이런 인구가 될 수 없고, 야곱을 따라 오거나 이후에 이집트로 추가유입된 상당한 인구가 있었다고 봐야할 것이다. 바빌론 유수(기원전 5세기)가 역사적 사실인 점을 볼 때, 이로부터 고고학적 증거가 희박한 그 이전의 구약 서사까지의 시간간격이 그리 멀지 않은 것이다.
솔로몬 이후 분열된 유다왕국과 이스라엘왕국의 존재는 어느 정도 역사적 실체를 갖고 있을 것이다. 마치 우리가 단군의 고조선을 보는 시각처럼 말이다. 바빌론 유수기 잡혀간 이스라엘 랍비들이 조로아스터교의 일신교로부터 강력한 영향을 받았다는 추정은 그렇다치더라도 규범과 서사를 통합시킨 경전을 태초의 세계와 그 묵시론적 종말의 선상에서 산출한 것은 일대 사건이다. 물론 신약이 없었다면, 그 문체가 이와 너무도 상이한 구약만으로는 제한된 영햔력만을 가졌을 것이다.
어느 민족이 이처럼 장대하고 파급력 깊은, 서사와 규범을 통합한 경전을 만들 수 있었을까? 그리고 그것이 그들 만의 것이 아닌 보편성에서도. 서경, 시경, 불경은 막스 베버가 보기엔 기독교가 도달한 보편주의에 못미치는 경전이다. 과연 그런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