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과 철학2

창작 Produktion 2011. 3. 20. 10:47 Posted by 산사람
반응형

전의 글에서 저는 종교적 신념으로 공통의 합의를 만들 수 없다고 했으며, 이에 대해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에서도 비슷한 관점을 끌어낼 수 있다고 했습니다. 오늘 트윗을 보다 보니, 로크가 이런 말도 했다는군요.   

"각 개인이 종교에 관심을 갖는 것은 합당한 일일 수도 있다. 그러나 종교가 공공활동의 기반이 되어서는 안된다. 알 수 없는 존재가 어떻게 통치의 적절한 기초가 된단 말인가"
 
종교의 문제, 그러니까 신이 있느냐 없느냐, 사후 세계가 있냐 없냐의 문제는 인간이 알 수 없는 영역이며, 안다고 해도 그 앎에는 다양한 종교적 신념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 알 수 없고, 안다고 해도 서로 합의할 수 없는 신념으로 공공활동의 기반을 마련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전에도 말했다시피, 종교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종교가 현실의 힘으로 작용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가 보입니다. 도대체 일본의 대지진이 이들의 신앙과 무슨 관련이 있다고 여의도 체육관 교회의 목사는 악담을 퍼붓고, 전철에서 기독 노인은 일본에서 일어날 만한 일이 일어났다고 괴성을 지릅니다. 이것은 종교가 저 소망교회 교민들의 정치 참여와 같은 현실의 영역 뿐만 아니라 초자연적 영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거죠.
 
사실, 기독교로 치면, 일본이 한국보다 더 오래되고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치밀한 경전 연구를 바탕으로 한 일본과는 달리, 한국의 기독교 수용은 신비적 복음주의 일파에서 비롯됐다는 종교사적 근거도 있습니다(그 전폭제는 20세기 초반에 있었던 평양의 대규모 부흥집회). 함석헌과 같은 이들은 오히려 일본을 통해 계수된 기독교를 받아들여 독창적인 주의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현실은 종교의 영역으로부터 끊임없는 간섭과 영향에 놓여 있습니다. 심지어 갑오농민전쟁 조차도 동학이라는 신흥종교의 배경없이 이해할 수는 없는 사건입니다. 오래 전에 정읍에 생명운동을 하는 청년모임에 간 일이 있었는데, 여기서 동학을 오랜 기간 공부한 박맹수란 분과 뒤풀이 때 동학에 대해 얘기하다가 제가 결국 동학은 새로운 신비주의 종교가 아니냐는 얘기를 했더니, 이분은 동학이란 모든 종교를 포함하면서도 초월한 주의라고 했습니다. 그때 술이 잔뜩 취한 상태라 정확한 말은 기억안나지만, 저한테 동학은 또 하나의 종교로 생각되었지만, 이 분에게는 종교이면서 종교 이상의 가치로 읽혀졌습니다. 표영삼의 <동학>을 보면, 최제우가 도를 깨우치는 과정에는 분명 신비주의적인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최시형을 필두로 억압받는 조선민중의 투쟁과 어우러져 전개되는 동학은 시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하나의 굵직한 운동으로 퍼져 나간 거죠. 이런 핍박의 과정은 제정 로마시대에 기독교가 수용되는 과정과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종교는 피압박 민중의 눈물을 닦아 주고 위안을 주며, 때로는 힘을 보태주는 데에서, 그 부당한 현실참여에 대한 비판을 감수할 여지가 있을지 모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