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반까지 읽어온 이 책은 러시아 혁명기를 배경이라기 보다는, 혁명이라는 기관차가 휩쓸고 지나가는 삶의 지반, 궤도 주변에 모여 있는 삶들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이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원어로는 빠스쩨르나끄)가 유일하게 남긴 장편소설이라고 알려진 것처럼, 시인인 저자 자신도 시작(詩作)을 마치 이 서사를 위한 유년기의 뎃생 정도로 묘사하는 대목도 있다. 전반적인 느낌은 도스트예프스키와 같은 광란의 저술이 아니라,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당대의 문학 시책을 존중하면서도 혁명이 할퀴고 지나가는 이면 구석구석을 담담히 전하는 저술이다. 어떻게 보면 작가는 가공의 인물을 통해 시대 상황을 기술하는 반(半)사실주의 내지 문학 다큐를 썼다고 볼 수도 있다. 유리 지바고는 마치 <카탈로니아 찬가>의 조지 오웰처럼 혁명의 두 전쟁(전장의 전란과 생활세계의 전쟁)을 겪어 나가며 시대를 기술하는데 그치지 않고 폭로하면서도, 파스테르나크의 문학과 철학의 세계관도 투사한다. 작가는 힘과 독창성이야말로 예술의 본질이며, 역사는 죽음에 대항하기 위한 기억의 보존과 연장이라고 밝힌다. 장기간 지속된 폐렴으로 죽음을 얼마 안 남긴 또냐의 어머니께 유리는 의식이란 인간 내부를 향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 외부, 곧 인간의 활동을 겨냥하고 있다고 말한다. 의식이 인간의 죽음과 무관하게 지속되는 것은 의식이 어떤 매개를 통해 인간 사이에 공유되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이 부분은 의식의 불멸을 얘기한 톨스토이의 영향이 보인다. 톨스토이는 문학 작품과 같은 매체가 바로 죽은 저자와 미래의 독자가 만날 수 있는 의식의 산물로 봤다. 그렇다면 기억의 연장물이나 기록물인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저장 파일이 바로 의식의 산물인가? 영혼없는 사진은 그냥 사진이듯이, 재능과 노력이 결부되지 않은 저술이나 영상은 단지 기록물일 뿐, 작품은 아니다. 이런 기록물을 바로 작품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예술가의 직무이다. 마치 빔 벤더스가 <파리 텍사스>에서 두 가족의 필름 영상을 재투사하는 장면처럼. 그러나 이러한 예술가의 직무가 아직까지도 유효할까. 김수영이 문단추천제를 비판하면서 등단도 독창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한 것처럼, 예술가는 다른 삶을 살고 다른 형식의 작품을 내놓지 않는다면 더이상 예술가가 아니며, 사고 보다는 행동이 앞서는 기질의 소유자가 예술가라고도 하지만, 벤야민이 인쇄 문자에 대해서 지적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런 예술가의 기질은 오히려 광고판에 적합한 것이 아닐까? 등단 시인들을 흡수했던 국내의 모 기획사처럼, 연극판을 기웃거리는 영화 감독들처럼, 예술은 자본의 투하에 맞춰 자신의 몸을 내어줄 준비가 된 창부로 변한 세상이기도 하다. 인문학 교수들이 노년까지 정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재지 논문지침에 맞춰 논문 편수를 맞춰 가듯이 예술도 무언가로 팔리기 위해 생산된 제품이 되었다.
에피소드와 같은 대목 하나. 유리 지바고가 서부 전선에 군의관으로 징집되었을 때, 야전병원으로 쓰인 외진 시골 별장에 한 난로공이 있었다. 유리는 처음 만난 이 사람에게 흥미를 느꼈는데, 그와 헤겔과 크로체에 관해 1시간 동안 얘기를 나눴기 때문이다. 이 난로공은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철학박사 출신이었는데, 정작 난로를 손보는데는 서툴렀다. 그 자신도 철학을 공부했던 저자가 철학에 대해 보이는 어떤 조소가 느껴진다. '유리 지바고'라는 인물 설정에서도, 그가 파스테르타크처럼 문학과 철학, 복음서에 관심이 있으면서도 현실의 대처를 위해 의사라는 직업을 부여한 것에도 어떤 의미가 있을까. 현실보다는 의식이 앞섰던 독일과 달리, 현실을 무시하고 나아가는 의식의 실험이 러시아에서 실행되고 있다는 풍자로도 보인다. 결국 대화의 상대로서 흥미롭지만 정작 자신의 업무에서는 무능한 이 난로공 덕분에 유리는 제 스스로 실내 난로의 연통을 제대로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획득했다. 이것도 실용지식에 대한 무지를 가장한 산파술인가.
텍스트 : 박형규 옮김,『닥터 지바고』상권(열린책들: 2007, 보급판 3쇄)
*발터 벤야민, 조형준 역 ,『일방통행로』Einbahnstraβe (새물결, 2007) 중 '공인회계사', p.58 : "인쇄된 책 속에서 자율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하나의 피난처를 발견했던 문자는 지금은 광고에 의해 인정사정없이 거리로 내쫓겨나 경제적 혼돈에 의한 잔혹한 타율성에 복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