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세계에서 원전 밀집도가 가장 높은 국가, 도호쿠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붕괴 사고가 일어났을 때 원전 수출의 호재를 외칠 정도로 콘크리트로 대갈통을 꽉 채운 당국자들이 에너지 정책을 몰아붙이는 후안무치의 국가, 이런 자들에게 정권을 이어준 대다수 국민들은 먹을거리의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지만 그들의 생활을 이어주는 에너지원의 위험성과 불평등에 대해서는 눈과 귀를 가리고 있다. 멀리 부산 기장군에서 사망유예를 위해 긴급 수혈 2000억이 요구되는 고리 원전에서 불과 몇 백 미터 떨어진 울산의 신고리 원전에서 뽑아낼 전기를 송출하기 위한 한전의 밀양 송전탑 건설에 목숨을 던지며 10년간 투쟁한 노인들의 존재를 그들은 보상요구로만 보는 걸까? 사리에 분명한 이들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이천만 수도권 인구와 산업이 돌아가려면 햇빛만 가지고 되겠냐? 더군다나 원전들은 모두 수도권에서 300km 이상 떨어져 있으니 만약의 사고가 일어난다 해도 크게 상관없는 일 아니냐? 내일은 생각않고 오늘 잘 처먹고 죽은 귀신이 때깔이라도 좋다는 논리와 다름 없다. 그렇다. 한국에서는 지금만을 생각하는 유령이 의식을 지배하고 있다. 오늘 마시고 죽자는. 그러나 어른들에게 무감각한 핵재앙이 초등생들에게서 민감한 반응이 나오는 점은 세대 격차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준다. 삶은 오늘만 있는 것이 아니며, 삶의 지속성이 담보되어야 미래세대에게 물려줄 삶이 있다. 파괴된 강토를 물려줄 수 밖에 없는 선대는 후대에게 무책임할 뿐만 아니라 미래세대가 온전히 사용할 강토를 강탈한 것과 다름없다. 그래서 가동중인 원전 자체의 위험과 원전 폐기물의 초역사적 잔존의 위험을 안겨주지 않는 것은 정의의 문제이기도 하다. 정의가 온전히 구현되지 않는다면, 세대간 전쟁이 필요하다. 자, 초등생들이여 일어나 단결하라! 보관중인 비비탄 총기와 플라스틱 도끼를 들고  거리로 나와라!

반응형